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화상상담에 대한 태도와 사용 의도에 대한 연구

이용수 62

영문명
Research on attitudes toward and intention to use online counseling: Us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예지(Yeji Cho) 김은하(Eunha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호, 413~43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1.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검증된 화상상담에 대한 통합기술수용모형을 기반으로, 지각된 화상상담 장점, 지각된 화상상담 단점, 화상상담 유용성, 화상상담 사용 의도, 그리고 화상상담 사용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의 일반 성인 3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그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화상상담 사용 의도가 높고, 60대가 20대보다 화상상담 유용성을 높게 지각하고 사용 의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면상담이나 화상상담 경험이 있는 집단과 경험이 없는 집단을 비교했을 때, 전자가 후자에 비해 화상상담 사용 의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통합기술수용 모형을 지지하는 결과가 확인되었다. 결론 즉, 지각된 화상상담 장점은 화상상담 유용성을 높이는 기제를 통해 화상상담 사용 의도 및 사용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지각된 화상상담 단점의 경우, 화상상담 유용성을 낮춤으로써 화상상담 사용 의도 및 사용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 상담에서의 시사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Methods For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350 adults. For data analysi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were conducted. Results As a result, men scored higher on intention to use online counseling than women and participants on their 60s scored higher on both usefulness of and intention to use online counseling. In addition, participants who re-ceived face-to-face counseling and online counseling showed higher levels of intention to use online counseling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received any counseling. Finally, results supported the UTAUT. Conclusions The results supported the UTAUT by revealing a casual chain in which perceived advantages of online counseling were positively related to utilization of online counseling through the perceived usefulness of online counseling. In contrast, perceived barriers of online counseling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utilization of on-line counseling through the perceived usefulness of online counsel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예지(Yeji Cho),김은하(Eunha Kim). (2024).화상상담에 대한 태도와 사용 의도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 413-430

MLA

조예지(Yeji Cho),김은하(Eunha Kim). "화상상담에 대한 태도와 사용 의도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2024): 413-4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