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반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체제의 변천 과정 개관

이용수 84

영문명
Overview of the Transition of the General High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Syste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지영(Ji-Young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호, 121~13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1.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우리나라 일반 고등학교 교육과정이 어떻게 편성·운영하여 왔는지 전반적인 흐름을 시계열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문헌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1차 교육과정부터 2022 개정 교육과정까지 고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문서를 수집하고 일반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체제, 교과 편제와 시간 배당 기준의 개정 시기별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교과 편제와 시간 배당 기준을 중심으로 일반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체제를 구축하고 표준화하여 왔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필수와 선택의 구분 하에 일반 고등학교 학생의 소질과 적성, 능력 및 진로에 적합한 교과목을 알맞게 부과하여 왔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일반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효율화 측면에서 지역사회와 학교의 실정, 학생의 요구, 교과의 특성과 내용 등을 고려하여 교과 시간 배당 기준과 이수 시간을 설정하여 왔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첫째, 평생 학습 차원에서 일반 고등학교 학생 스스로 자신의 소질과 적성, 능력을 개발하고 진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학생의 진로에 기반하여 최적화된 맞춤형 교육과정 체제를 구현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을 내실 있게 편성·운영하기 위해서는 일반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별로 교과를 재구조화하고 균형성·계열성·집중성 측면에서 교과의 성격, 범위, 역할, 지위, 비중 등을 고려하여 교과목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수업량 기준이 단위에서 학점으로 전환됨에 따라 일반 고등학교 교과 이수 학점을 최소한의 수업량으로 제한하기보다는 학교에서 필요한 경우 교과 시간 배당 기준 및 증감 범위와 과목별 이수 학점을 자율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overall flow of how the general high school curriculum in Korea has been organized and operated in a time series.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used literature research methods to collect general high school curriculum docu-ments from the 1st curriculum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analyzed changes by revision period, focusing on the general high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system, subject organization, and time dis-tribution standards. Result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 general high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system has been established and standardized, focusing o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ime distribution standard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ubjects suitable for the talents, aptitudes, abilities, and careers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have been properly imposed under the distinction between essential and optional. Third, in terms of efficiency in organizing and operating general high school curriculum, it was confirmed that the criteria for allocation and com-pletion time have been set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of the local community and school, the needs of stu-dent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the subject. Conclu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customized curriculum system optimized based on the student's career so that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can develop their own talents, aptitudes, and abilities and pioneer ca-reers in terms of lifelong learning. Second, to organize and operate a customized curriculum for students, it is nec-essary to restructure the subject by career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reorganize the subject in consid-eration of the nature, scope, role, status, and weight of the subject in terms of balance, sequence, and concentration. Third, as the class volume standard shifts from unit to credit, it is necessary to autonomously adjust the criteria and scope of the class time distribution and the completion credit for each subject if necessary at school rather than limiting the general high school course completion credit to the minimum amount of instruction.

목차

Ⅰ. 서론
Ⅱ. 분석 방법
Ⅲ. 분석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영(Ji-Young Lee). (2024).일반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체제의 변천 과정 개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 121-138

MLA

이지영(Ji-Young Lee). "일반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체제의 변천 과정 개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2024): 121-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