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행동활성화체계 및 행동억제체계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6

영문명
The Effect of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and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on SNS Addiction Proneness: The Mediation Effect of SNS Use Motives and the Moderation Effect of Self-Control and Distress Toleranc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강나연(Na-Yeon Kang) 이영호(Young-Ho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2호, 583~59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1.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행동활성화체계 및 행동억제체계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관계에서 SNS 사용의 정적 강화 동기 및 부적 강화 동기의 매개효과와 더불어 SNS 사용동기와 자기통제력 및 고통감내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SNS 이용 경험이 있는 342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행동활성화체계, 행동억제체계, SNS 사용동기, 자기통제력, 고통감내력, SNS 중독경향성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기술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조절 효과를 분석하고,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로, 행동활성화체계 및 행동억제체계 수준은 각각 SNS 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로, SNS 사용동기 중 정적 강화 동기는 행동활성화체계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매개하였으며, 부적 강화 동기는 행동억제체계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셋째로, 수동적 SNS 사용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행동활성화체계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정적 강화 동기의 매개효과를 자기통제력이 조절하였다. 넷째로, 행동억제체계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SNS 사용의 부적 강화 동기가 가지는 매개효과를 고통감내력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기질 및 동기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고통감내력의 조절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행동억제체계 수준이 높은 사람들의 SNS 중독경향성을 감소시키는데 고통감내력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behavioral activation system(BAS) and the be-havioral inhibition system(BIS) on social network service(SNS) addiction proneness, the mediation effect of SNS use motives,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control and distress tolerance in the link between BAS, BIS, SNS use motives, and SNS addiction proneness. Methods BAS, BIS, SNS use motives, self-control, distress tolerance, and SNS addiction proneness of 342 adults were measured online. Results First, BAS and BIS predicted SNS addiction proneness. Second, positive reinforcement motiv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AS and SNS addiction proneness, and negative reinforcement motiv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IS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ird, self-control moderated the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reinforcement motives between BAS and SNS proneness among passive users. Fourth, distress tolerance moderated the path from negative reinforcement motives to SNS addiction proneness in the mediation model. Conclusions These results expanded the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the organic and motivational factors on SNS addiction proneness, and suggested that distress tolerance could have a significant role in reducing the effect of BIS on SNS addiction prone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나연(Na-Yeon Kang),이영호(Young-Ho Lee). (2024).행동활성화체계 및 행동억제체계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2), 583-599

MLA

강나연(Na-Yeon Kang),이영호(Young-Ho Lee). "행동활성화체계 및 행동억제체계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2024): 583-5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