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립유치원 교사의 자유놀이에서 실내 놀이공간 구성에 대한 인식과 실천

이용수 245

영문명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Indoor Play Space Composition in Free Playtim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사임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2호, 587~61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 교사들을 대상으로 자유놀이 시간 동안의 실내 놀이 공간 구성에 대한 인식과 교사의 놀이 지원의 실천경험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서울과 경기도의 공립유치원 교사 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은 개인 심층면담을 90~100분간 진행하였고, 교실공간 배치도 및 놀이 사진 및 기록물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면담 내용을 반복적으로 읽고, 주제별로 분석하여범주화하였으며, 유아교육 전문가 2인에 의한 삼각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공립유치원 교사들은 놀이 영역을 비정형화된 공간으로 인식하였으며, 놀이공간 주체로 유아와 교사 사이의 균형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교실에서는 놀이 영역의 통합과 세분화가 이루어지고, 교실 중앙 공간에 새롭게 주제 놀이 영역이 나타났다. 복도놀이는 반과 반을 연결하고, 이 과정에서 유아들은 다양한 관계를 경험하였다. 교사들은 놀이 자료를 즉각적으로 제공하고, 교실의벽면 환경을 현수막 등으로 꾸미는 방식의 지원을 하였다. 교사들은 교실 급식의 어려움, ‘방과후 과정반’과 교실 공유의 어려움, 정리 정돈의 어려움, 사회극 놀이 위주의 놀이에 대한 우려와 혼자 놀이를 하는 유아의 지도에 어려움을 나타났다. 결론 공립유치원 교사들은 실내 놀이공간의 유연함을 인식하였고, 다양한 놀이 지원을 하고 있었지만 공간 구성에 어려움도 나타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내 공간의 주체가 되는 교사와 유아, 교사들 간의 이해와 협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composition of indoor play spaces and their experiences in the practice of play support during free play time in public kindergartens. Methods 9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data collection, in-depth pers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90 to 100 minutes, and classroom layout and play photos and records of childre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data analysis, interviews were repeatedly read, analyzed by subject, and categorized, and triangular verification was conducted by two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Results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play area was flexible, and that a balance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was needed as the owner of the play space. n the classroom, the play area was integrated and subdivided, and a new theme play area appeared in the central space of the classroom. Hallway play connects classes and classes, and children experienced various relationships in it. Teachers immediately provided play materials and provided support by decorating the classroom's wall environment with banners. Teachers found it difficult to organize and organize the classroom space due to meals, the ‘after-school course class’ and classroom sharing difficulties. In addition, there were many social role plays and difficulties in guiding children playing alone. Conclusions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d the flexibility of indoor play areas and provided various play support, but there were also difficulties in organizing the spa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was found that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s well as teachers and teachers who are the owners of indoor spaces, were necessar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사임. (2023).공립유치원 교사의 자유놀이에서 실내 놀이공간 구성에 대한 인식과 실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2), 587-610

MLA

이사임. "공립유치원 교사의 자유놀이에서 실내 놀이공간 구성에 대한 인식과 실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2(2023): 587-6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