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 개관

이용수 168

영문명
An Overview of the Transition Process of Specialized Subjects Curriculum in Vocational High School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지영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2호, 299~31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1차 교육과정부터 2022 개정 교육과정까지 우리나라 직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육과정이 어떻게 변화하여 왔는지 교육과정 편성·운영 체제 및 편제상 특징을 중심으로 변천 과정을 개관하였다. 방법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에 탑재된 고등학교 교육과정 원문을 수집하여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시기별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 전문 교과 편제 및 시간 배당 기준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변천 과정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산업 구조 및 직업 세계의 변화에 따라 전문 교과를 중심으로 직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을 일관성 있게제시하여 왔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산업 수요 및 인력 양성 유형, 직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취업 역량과 경력 개발 등을 고려하여전문 교과 편제를 개편하여 왔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지역사회 및 직업계 고등학교 실정을 고려하여 전문 교과의 시간 배당 기준을설정하고, 이수 시간을 제시함으로써 시간 계획의 효율성을 제고하여 왔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첫째, 직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 변화를 고려하여 최적화된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평생 직업 준비를위한 교육 차원에서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을 보다 유연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신산업기술 및 직업 세계의 직무 변화에 따른인력 양성 유형, 직업계 고등학교의 특성, 학생의 진로와 발달 수준, 전문 교과의 학습 위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전문교과목을체계적으로 재구조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직업계 고등학교 학점제 운영으로 교육과정 이수 기준을 단위에서 학점으로 전환함에따라 전문 교과의 시간 배당 기준 및 이수 시간에 대해 면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study outlined the change process focusing on the curriculum organization, operation system,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how Korea's vocational high school specialized subjects curriculum has changed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by collecting the original text of the high school curriculum mount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r. The change process was analyzed by studying the criteria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voc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organizing specialized subjects, and time allocation criteria presented in the curriculum documents for each period. Result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consistently presented standards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curricula centered on specialized subjects in consideration of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vocational world.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pecialized curriculum system has been reorganized in consideration of industrial demand and manpower training types,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employment capabilities, and career development. Thir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efficiency of time planning has been improved by setting the time allocation standard for specialized subjects and presenting the completion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conditions of community and vocational high schools. Conclusions First, in order to implement an optimized student-tailored curriculum in consideration of career chang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further flex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standards in terms of education for lifelong job prepar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restructure specialized subjects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types of manpower training,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high schools, students' career and development levels, and learning hierarchy of specialized subjects according to job changes in the new industrial technology and professional world. As the curriculum completion criteria are converted from units to credit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it is necessary to closely review the time distribution criteria and completion time of specialized subjec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영. (2023).직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 개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2), 299-317

MLA

이지영. "직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 개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2(2023): 299-3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