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프로젝트 기반 놀이 실행에 참여한 예비 유아교사의 경험에 대한 연구

이용수 209

영문명
In the implementation of project-based play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d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효진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2호, 635~65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프로젝트 기반 놀이 실행에 참여한 예비 유아교사들의 경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S시 소재의 3년제 유아교육과의 1학년 학생 중 영유아 교수방법을 수강하는 34명을 대상으로 2022년 9월 1일부터 12월 8일까지 총 15주 동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진행 방법은 영유아교수방법 수업 시간에 진행되었으며, 문연심(2017)이제시한 프로젝트 접근법의 전개 방법과 최정임, 장경원(2015)의 PBL 수업하기를 참고하여 준비-실행-평가의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은 주차별 활동 보고서, 놀이 매체 분석지, 최종 보고서, 놀이실행의 동영상 및 사진, 예비 유아교사의 반성적저널, 연구자와의 면담자료이며, 수집된 자료는 김영천(2016)가 제시한 개방적 코딩 방법으로 분석을 하였다. 결과 첫째, 프로젝트 기반 놀이 실행을 통해서 예비 유아교사들은 놀이중심의 교육과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먼저 경험을해보아야 한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둘째, 프로젝트 기반 놀이 실행을 통해서 예비 유아교사들은 놀이에 대한 직접적 경험을 통해실천적 지식을 경험하였다. 셋째, 프로젝트 기반 놀이 실행 과정에서 예비 유아교사들은 조 활동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 자발적 학습자가 되어가는 경험을 하였다. 넷째, 프로젝트 기반 놀이 실행을 통해서 예비 유아교사들은 놀이에 대한 생각이 변화하는 경험을하였다. 결론 프로젝트 기반 놀이 실행의 경험을 통해서 예비 유아교사들은 영유아에게 놀이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알게 되었으며, 프로젝트활동과 같은 실천적 지식의 대한 교육적 논의가 이루어 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periences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project-based play execution. Methods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5 weeks from September 1 to December 8, 2022, targeting 34 first-year students in the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S City. The method of conducting the study was conducted during the infant teaching method class, and the process of preparation-execution-evaluation was conducted by referring to the development method of the project approach proposed by Moon Yeon-sim (2017) and the PBL class of Choi Jung-im and Jang Kyung-won (2015).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re activity reports, problem analysis papers, final reports, video and photos of play execution, reflective journals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nterview data with researchers. Results First, through project-based play implementation,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that teachers must first experience in order to conduct a play-oriented curriculum. Second, through project-based play implementation,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practical knowledge through direct experience of play. Thir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project-based play,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becoming voluntary learners to help with group activities. Fourth, through project-based play implementation,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changing their thoughts on play. Conclusions Through the experience of project-based play execution,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learne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play for infants and toddlers, suggesting that educational discussions on practical knowledge such as project activities need to be mad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효진. (2023).프로젝트 기반 놀이 실행에 참여한 예비 유아교사의 경험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2), 635-655

MLA

정효진. "프로젝트 기반 놀이 실행에 참여한 예비 유아교사의 경험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2(2023): 635-6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