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재가노인복지시설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18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at Home Elderly Welfare Faciliti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경숙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2호, 821~83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재가노인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한 감정노동과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영향, 감정노동과 직무만족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D광역시에 소재한 재가노인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 18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감정노동을독립변인, 회복탄력성을 매개변인, 직무만족을 종속변인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재가노인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가 인식한 내면적 감정노동,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의 회복탄력성, 직무만족 간에유의한 정적 관계가 나타났고, 감정노동의 내면적 행동과 회복탄력성의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면적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은 완전매개변수로서 유의한 효과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사회복지사가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통제하고 긍정적이고 진심을 다하는 행동이표출되면 직무에 대한 만족감이 증대될 수 있었다. 따라서 재가노인복지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이 노인들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자신의 직무에 대한 만족감을 제고하기 위해 회복탄력성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resilience on job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184 social workers working at home-based senior welfare facilities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a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emotional labor as the independent variable, resilience as the mediating variable, and job satisfac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For the data,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o derive the research results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ner emotional labor, control, positivity, sociability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recognized by social workers engaged in home-based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t was found that positivity and sociabi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as a complete parameter in the effect of internal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Conclusions The qu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s depends on the quality of social workers who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to the elderly in the field.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can increase when social workers appropriately control their emotions and express positive and sincere behavior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ir duties. Therefore, social workers engaged 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should actively promote various measures to strengthen resilience in order to provide better services to the elderly and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숙. (2023).재가노인복지시설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2), 821-833

MLA

김경숙. "재가노인복지시설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2(2023): 821-8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