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집단상담 연구 동향
이용수 665
- 영문명
- Research Trends of Group Counseling in Korea: from 2011 to 2021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옥진 이윤희 김봉환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1호, 837~85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집단상담 연구의 최근 동향과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알아보는 데 있다.
방법 RISS에서 2011년부터 2021년까지 ‘집단상담’ 또는 ‘집단치료’라는 주제어로 검색한 후,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논문 중 원문을 제공하는 연구 695편을 선정하여 권경인, 조수연(2010)의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상담 성과연구, 과정연구, 기타연구로 분류하였다. 그 중, 성과연구에 대하여 집단상담 효과연구, 메타연구, 프로그램 개발연구로 세분류하였다. 효과연구는 권경인, 조수연(2010)의 11개 항목과 코리더와 관찰자, 신뢰도 계수(Cronbach α), 자료분석방법, 이론적 접근을 추가하여 15개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과정연구는 집단의 과정과 성과 연계, 치료적 요인, 집단과정에 대한 사례의 질적분석, 집단상담자, 내담자 특성에 따른 성과 예측, 피드백으로 세분류하였다. 끝으로 기타연구는 개관연구와 이론연구, 기타로 세분류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성과연구가 604편, 과정연구 77편, 기타연구가 15편이었다. 성과연구의 유의미한 결과로는 집단원의 특성이 다양화되어 노인, 쌍, 다문화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등장하였다. 이론적 접근에서는 인지행동 이론이 가장 많았으며, 통합적 접근이 뒤를 이었다. 과정연구의 유의미한 결과로는 집단상담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 및 사례의 질적분석 연구가 가장 많았다. 끝으로 기타연구에서는 집단상담 윤리와 관련된 연구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결론 김계현(2001), 권경인, 조수연(2010)의 집단상담 동향 연구 이후로 발전된 집단상담 연구의 특징과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을 서술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the recent trends in domestic group counseling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follow-up studies.
Methods The authors searched for the subjects of “group counseling” or “group therapy” from 2011 to 2021 from RISS, selected 695 articles published in the Korean Research Foundation's registered (candidate) journals, and analyzed them according to the analysis frame of Kwon Kyung-in and Jo Su-yeon(2010). The articles were classified into outcome studies of group counseling, process studies, and other studies. Among them, outcome studies were classified into effect studies, studies using meta analysis, and program development studies. The effect studies were classified into total 15 items by adding 4 items(co-leader & observer, Cronbach α, data analysis method, theoretical approach) to 11 items of Kwon Kyung-in and Jo Su-yeon(2010). Process studies were classified into group process-outcome studies, therapeutic factors, case qualitative analysis of group process, outcome prediction from group counselor and client characteristics, and feedback. Finally, other studies were subdivided into overview studies, theoretical studies, and others.
Results 604 outcome studies of group counseling, 76 process studies, and 15 other studies were classified. As a significant result of outcome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group members were diversified, and studies targeting the elderly, pair, and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emerged. In the theoretical approach, cognitive behavior theory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an integrated approach. As a significant result of process studies, studies targeting group counselors and case qualitative analysis of group process were the most common. Finally, in other studies, studies related to group counseling ethics began to appear.
Conclusions The authors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group counseling studies developed after the research on group counseling trends of Kim Kay-Hyon(2001), Kwon Kyung-in and Jo Su-yeon(2010). Also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at the e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1호 목차
- 학교급별 보건교사의 학교보건 실무역량과 전문직 태도
- 30년 이상 고경력 국⋅공립 유치원 교사의 교직 생애 경험의 의미
- 지혜의 개념화와 지혜 교육의 방법
- 한 초등학생의 1-4학년 일기글 사례의 연대기성 발달
- 중국의 비즈니스 광고와 공익 광고의 동성체계(Transitivity) 연구
- 초⋅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한 ADHD 성향 유아의 자연체험 효과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연구
- 집단 수퍼비전에서 초심 수퍼바이저의 경험과 인식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학생의 진로 발달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교육 방법
-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모형 적용 사례 분석
- 고혈압을 진단받은 중년여성의 노화인식이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분석 데이터 탐색 및 검증
- 2022년 초등학교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목표 이행을 위한 실기수업 및 교사 전문성 개선안
- 중년여성의 신명(神明)경험과 삶의 의미성 지각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 국내 집단상담 연구 동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연구동향 분석
- 고학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환경태도와 관광경험이 환경의식 및 환경보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 인천 학생의 생활실태 및 인식 비교
-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 유아 교육복지에 관한 온라인 기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중소기업 직장어린이집 설치⋅운영에 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구조적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중도탈락 연구동향 분석
- 부모의 성격 5요인, 스마트폰 중독,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학교적응 간 관계
-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I 교과서 듣기활동의 어휘적⋅구문적 특성
-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이상적인 간호조직문화 유형
-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A Corpus-Based Study on Historical Changes in the Usages of the Be/get Passives in American English
-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격수업 환경 분석
- 상담수련생의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영재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사례연구를 통한 지역사회 작은학교 활성화 방안
- 자기자비 글쓰기가 여자 대학(원)생의 신체 수용과 신체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외국인 유학생 내담자의 자살을 겪은 유학생 상담자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접근성 현황 분석
-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 고찰
- 현대물리 관련 도서를 읽은 후 중등 과학 영재 학생들이 작성한 인포그래픽의 특징 분석
- 영유아 특기적성교육의 실태와 영재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 2015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읽기 상위인지 수용 양상
- 시뮬레이션 간호교육에서 자가 및 동료주도 디브리핑의 임상수행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및 만족도 비교
-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매개 효과
- 호네트의 인정 이론에 기초한 긍정적 자아관 형성 및 인성교육의 방향 고찰
- 대학생의 재학 중 일경험과 직업가치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 고전극 교육 제재로서 우희의 의의와 교육 방안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SNS 중독경향성이 외모수용에 미치는 영향
- 영화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의 종단적 관계가 교사교육에 주는 함의
-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에 대한 인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