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혜의 개념화와 지혜 교육의 방법
이용수 162
- 영문명
- A Conceptualization of Wisdom and Method of Wisdom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종훈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1호, 27~4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지혜를 개념화하고, 지혜교육의 방법을 제시한다.
방법 지식과 지혜, 그리고 통찰을 정의하고, 동양의 철학 사상을 기반으로 통찰과 지혜를 고찰한다. 철학과 과학의 관점으로 통찰과 지혜를 이해하여 지혜의 모습을 설명함으로써 지혜를 개념화한다. 지혜 개념화를 바탕으로 지혜 교육의 방법을 제시한다.
결과 지식과 지혜는 앎이라는 면에서는 같지만 앎의 차원이 다르다. 통찰이 있어야 새로운 관점에서 현상이나 대상을 볼 수 있다. 변화에 대해 불변의 실체 없이 완전히 다르다고 통찰함으로써 십팔계에 계합할 수 있다. 십팔계에 계합한 상태가 지혜이다. 양자 물리학의 창시자들은 미시세계에 대해 통찰함으로써 양자 역학을 창시할 수 있었다. 양자역학적 패러다임은 지혜이다. 지식을 기반으로 통찰하여 지혜로 나아가고, 다시 확장된 지식을 기반으로 통찰하여 더 깊은 지혜로 나아갈 수 있다. 이러한 지혜를 교육하는 방법으로 알아차림 명상을 제안하였다. 다른 관점과 인식 대상으로 지혜의 개념화를 시도하였으나 지혜를 얻는 방법은 알아차림 명상으로 귀결되었다.
결론 지혜를 개념화하고, 알아차림 명상 체험을 기반으로 지혜 교육의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지혜 개념화와 알아차림 명상의 관련성을 설명하였다. 이제 지혜교육이 필요하고 시급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wisdom is conceptualized and a method of wisdom education is presented.
Methods Defines knowledge, wisdom, and insight, and investigates insight and wisdom base on Eastern philosophical thoughts. Conceptualize wisdom by understanding insight and wisdom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and science and explaining the image of wisdom. Based on conceptualization of wisdom, a method of wisdom education is presented.
Results Knowledge and wisdom are the same in terms of knowledge, but the dimensions of knowledge are different. Only when you have insight can you see the phenomenon or object from a new perspective. By insighting that change is completely different without an immutable substance, it can be joined to the Eighteen Realms. Wisdom is the state of being involved in the Eighteen Realms. The founders of quantum physics were able to create quantum mechanics by gaining insight into the micro-world. The quantum mechanical paradigm is wisdom. Based on knowledge, insight move on to wisdom, and again, insight based on expanded knowledge move on to deeper wisdom. Mindfulness meditation was suggested as a method of educating this wisdom. Although the conceptualization of wisdom was attempted with different perspectives and recognition objects, the method of obtaining wisdom resulted in mindfulness meditation.
Conclusions Wisdom was conceptualized, a method of wisdom education was presented based on mindfulness meditation experi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isdom conceptualization and mindfulness meditation was explained. Wisdom education is now necessary and urgency.
목차
Ⅰ. 서론
Ⅱ. 지혜의 개념화
Ⅲ. 지혜 교육의 방법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1호 목차
- 학교급별 보건교사의 학교보건 실무역량과 전문직 태도
- 30년 이상 고경력 국⋅공립 유치원 교사의 교직 생애 경험의 의미
- 지혜의 개념화와 지혜 교육의 방법
- 한 초등학생의 1-4학년 일기글 사례의 연대기성 발달
- 중국의 비즈니스 광고와 공익 광고의 동성체계(Transitivity) 연구
- 초⋅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한 ADHD 성향 유아의 자연체험 효과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연구
- 집단 수퍼비전에서 초심 수퍼바이저의 경험과 인식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학생의 진로 발달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교육 방법
-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모형 적용 사례 분석
- 고혈압을 진단받은 중년여성의 노화인식이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분석 데이터 탐색 및 검증
- 2022년 초등학교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목표 이행을 위한 실기수업 및 교사 전문성 개선안
- 중년여성의 신명(神明)경험과 삶의 의미성 지각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 국내 집단상담 연구 동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연구동향 분석
- 고학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환경태도와 관광경험이 환경의식 및 환경보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 인천 학생의 생활실태 및 인식 비교
-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 유아 교육복지에 관한 온라인 기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중소기업 직장어린이집 설치⋅운영에 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구조적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중도탈락 연구동향 분석
- 부모의 성격 5요인, 스마트폰 중독,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학교적응 간 관계
-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I 교과서 듣기활동의 어휘적⋅구문적 특성
-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이상적인 간호조직문화 유형
-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A Corpus-Based Study on Historical Changes in the Usages of the Be/get Passives in American English
-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격수업 환경 분석
- 상담수련생의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영재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사례연구를 통한 지역사회 작은학교 활성화 방안
- 자기자비 글쓰기가 여자 대학(원)생의 신체 수용과 신체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외국인 유학생 내담자의 자살을 겪은 유학생 상담자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접근성 현황 분석
-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 고찰
- 현대물리 관련 도서를 읽은 후 중등 과학 영재 학생들이 작성한 인포그래픽의 특징 분석
- 영유아 특기적성교육의 실태와 영재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 2015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읽기 상위인지 수용 양상
- 시뮬레이션 간호교육에서 자가 및 동료주도 디브리핑의 임상수행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및 만족도 비교
-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매개 효과
- 호네트의 인정 이론에 기초한 긍정적 자아관 형성 및 인성교육의 방향 고찰
- 대학생의 재학 중 일경험과 직업가치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 고전극 교육 제재로서 우희의 의의와 교육 방안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SNS 중독경향성이 외모수용에 미치는 영향
- 영화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의 종단적 관계가 교사교육에 주는 함의
-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에 대한 인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