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격수업 환경 분석
이용수 81
- 영문명
- The Analysis of the Factors in E-Learning Environment Affecting on 2020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 Achievement for English Subject among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1호, 45~5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하여 실시된 원격수업에서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2020년 국가수준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격수업의 환경 변인들을 분석하였다.
방법 고등학교 2학년 표집학급 학생 10,526명의 영어 학업성취도 평가 점수를 종속변수로, 원격수업 환경에 관한 설문자료에서 추출한 변인들을 독립변수로, 인구학적 특성인 성별과 지역 규모를 통제변수로 사용하여 위계적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원격수업 환경이 영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결과, 영어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원격수업이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느끼고 학교생활과 유사하다고 인지하였지만, 원격수업 만족도는 떨어졌다. 사교육에 사용하는 시간, 자기주도학습 시간, 학교 성적에 대한 불안감, 학습에 대한 흥미는 영어 학업성취도와 정적 상관을 보이는 반면, 학교에 대한 소속감, 생활 전반 및 진로, 진학 관련 선생님과의 의사소통, 친구와의 교류, 학교에서 제공하는 과제의 양, 학습의 양, 수업 관련 선생님과의 의사소통, 규칙적인 생활은 영어 학업성취도와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코로나19라는 특수 상황에서 비대면 수업으로 학업을 진행하였을 때 영어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원격수업의 유용성은 인지하고 있으나 실제 원격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떨어졌고, 과제의 양이나 학습의 양이 대면 수업에 비하여 오히려 원격수업 환경에서 감소하였다고 인식하였고, 이는 학습에 대한 불안감으로 이어져 학습결손을 자기주도 학습과 사교육에 시간을 할애하여 만회한 것으로 해석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factors in E-learning environment due to COVID19 on 2020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 Achievement(NAEA) for English subject among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About 3 % of sampling classes were participated in NAEA. The achievement test results and the survey results of 10,526 2nd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used in the analysis except the missing value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gender and regional scale) were served as the control variabl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identifies the factors in E-learning environment affecting scholastic achievement of the English subject after controlling gender and regional scale. Model 1 explains approximately 3.6% and Model 2 shows about 11.9% of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espectably. Students who acknowledge the usefulness of E-learning have higher English scores. Also, students with higher English scores feel that E-learning environment is similar to that of school life. The variables such as ‘time used on private tutoring’, ‘time used on self-directed learning’, ‘anxiety on grade’, ‘interest in learning’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of the English subject. On the other hand, the variables such as ‘sense of belonging to the school’, ‘communication with the teachers regarding career plan’, ‘hangout time with friends’, ‘the amount of home work’, ‘the amount of study’, ‘communication with teachers regarding academic matters’, ‘life style on regular base’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English subject.
Conclusions The students with high level of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tend to perceive that the amount of homework and that of learning are reduced in E-learning environment due to COVID19 compared to in-class learning environment. They feel more anxiety on grade, thus spend more time on tutoring and self-directed study in order to make up the lack of study. It is desirable that the results of current study help aware education gap caused by COVID19 and are able to served as a springboar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establish sound educational poli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1호 목차
- 학교급별 보건교사의 학교보건 실무역량과 전문직 태도
- 30년 이상 고경력 국⋅공립 유치원 교사의 교직 생애 경험의 의미
- 지혜의 개념화와 지혜 교육의 방법
- 한 초등학생의 1-4학년 일기글 사례의 연대기성 발달
- 중국의 비즈니스 광고와 공익 광고의 동성체계(Transitivity) 연구
- 초⋅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한 ADHD 성향 유아의 자연체험 효과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연구
- 집단 수퍼비전에서 초심 수퍼바이저의 경험과 인식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학생의 진로 발달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교육 방법
-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모형 적용 사례 분석
- 고혈압을 진단받은 중년여성의 노화인식이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분석 데이터 탐색 및 검증
- 2022년 초등학교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목표 이행을 위한 실기수업 및 교사 전문성 개선안
- 중년여성의 신명(神明)경험과 삶의 의미성 지각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 국내 집단상담 연구 동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연구동향 분석
- 고학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환경태도와 관광경험이 환경의식 및 환경보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 인천 학생의 생활실태 및 인식 비교
-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 유아 교육복지에 관한 온라인 기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중소기업 직장어린이집 설치⋅운영에 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구조적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중도탈락 연구동향 분석
- 부모의 성격 5요인, 스마트폰 중독,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학교적응 간 관계
-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I 교과서 듣기활동의 어휘적⋅구문적 특성
-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이상적인 간호조직문화 유형
-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A Corpus-Based Study on Historical Changes in the Usages of the Be/get Passives in American English
-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격수업 환경 분석
- 상담수련생의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영재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사례연구를 통한 지역사회 작은학교 활성화 방안
- 자기자비 글쓰기가 여자 대학(원)생의 신체 수용과 신체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외국인 유학생 내담자의 자살을 겪은 유학생 상담자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접근성 현황 분석
-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 고찰
- 현대물리 관련 도서를 읽은 후 중등 과학 영재 학생들이 작성한 인포그래픽의 특징 분석
- 영유아 특기적성교육의 실태와 영재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 2015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읽기 상위인지 수용 양상
- 시뮬레이션 간호교육에서 자가 및 동료주도 디브리핑의 임상수행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및 만족도 비교
-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매개 효과
- 호네트의 인정 이론에 기초한 긍정적 자아관 형성 및 인성교육의 방향 고찰
- 대학생의 재학 중 일경험과 직업가치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 고전극 교육 제재로서 우희의 의의와 교육 방안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SNS 중독경향성이 외모수용에 미치는 영향
- 영화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의 종단적 관계가 교사교육에 주는 함의
-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에 대한 인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