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이용수 193
- 영문명
-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화 강하경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1호, 101~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사용하여 유아 미술능력 발달을 위한 효율적인 미술교육 프로그램 진행과정을 유아교육 현장에 제시하고, 미술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시사점과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분석대상 논문은 2000년부터 2021년 3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유아 미술교육과 관련된 학술지 69편, 학위논문 168편이었다. 자료의 분석은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V3)를 활용하였다. 총 237편의 논문으로부터 250개의 표본수준 효과크기와 364개의 변수수준 효과크기가 추출되었다. 효과크기의 분석모형은 무선모형을 선택하였으며, 분석의 수준은 표본수준과 변수수준에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1.207로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결과변인별 평균효과크기는 결과변인 전체 평균효과크기와 통합변인에 따른 결과변인의 평균효과크기로 살펴보았다. 결과변인의 전체 평균효과크기는 미술태도가 가장 높은 평균효과크기를 보였고, 표현능력이 가장 낮았다. 통합변인에 따른 결과변인의 평균효과크기는 미술영역의 경우 미술태도가 가장 높았고, 미적반응이 가장 낮았다. 타 영역 통합은 미적반응이 가장 높고, 활동과정이 가장 낮았다. 조절변수별의 평균효과크기는 논문특성, 연구대상 지역, 유아 기관, 유치원 유형별, 연구대상 특성, 처치변인, 내용변인, 결과변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논문특성에서 출판년도는 유의하였으나 출간유형은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대상 지역과 유아기관은 유의하지 않았고, 유치원 유형은 유의하였다. 연령과 연령구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처치횟수와 회당시간은 유의하였고, 처치기간은 유의하지 않았다. 내용변인의 활동내용과 통합변인은 유의하지 않았고, 통합영역은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미술 관련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미술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rogress of efficient art education programs for the development of art skills in infants using meta-analysis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present comprehensive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art education.
Methods From 2000 to March 2021, 69 academic journals and 168 degree papers related to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were published in Korea. Comprehensive Meta Analysis (CMA) was used for data analysis. From a total of 237 papers, 250 sample-level effect sizes and 364 variable-level effect sizes were extracted. As for the analysis model of the effect size, a wireless model was selected, and the analysis level was analyzed at the sample level and the variable level.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was 1.207, showing a large effect size, and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the result variable showed the highest art attitude, and the lowest expression ability. The average effect size of the outcome variable according to the integrated variable was the highest in the art area and the lowest in the aesthetic response. In the integration of other areas, the aesthetic response was the highest and the activity process was the lowest. In the case of the average effect size for each control variable, the publication year was significant for each thesis characteristic, but the publication type was not significant. The study target area and infant institutions were not significant, and the type of kindergarten was significa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e and age composition. The number of treatments and time per session were significant, and the treatment period was not significant. The activity content of the content variable and the integrated variable were not significant, and the integrated area was significant.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effect of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rogram on children's art-related abilities and provided comprehensive implications for art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1호 목차
- 학교급별 보건교사의 학교보건 실무역량과 전문직 태도
- 30년 이상 고경력 국⋅공립 유치원 교사의 교직 생애 경험의 의미
- 지혜의 개념화와 지혜 교육의 방법
- 한 초등학생의 1-4학년 일기글 사례의 연대기성 발달
- 중국의 비즈니스 광고와 공익 광고의 동성체계(Transitivity) 연구
- 초⋅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한 ADHD 성향 유아의 자연체험 효과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연구
- 집단 수퍼비전에서 초심 수퍼바이저의 경험과 인식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학생의 진로 발달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교육 방법
-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모형 적용 사례 분석
- 고혈압을 진단받은 중년여성의 노화인식이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분석 데이터 탐색 및 검증
- 2022년 초등학교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목표 이행을 위한 실기수업 및 교사 전문성 개선안
- 중년여성의 신명(神明)경험과 삶의 의미성 지각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 국내 집단상담 연구 동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연구동향 분석
- 고학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환경태도와 관광경험이 환경의식 및 환경보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 인천 학생의 생활실태 및 인식 비교
-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 유아 교육복지에 관한 온라인 기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중소기업 직장어린이집 설치⋅운영에 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구조적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중도탈락 연구동향 분석
- 부모의 성격 5요인, 스마트폰 중독,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학교적응 간 관계
-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I 교과서 듣기활동의 어휘적⋅구문적 특성
-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이상적인 간호조직문화 유형
-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A Corpus-Based Study on Historical Changes in the Usages of the Be/get Passives in American English
-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격수업 환경 분석
- 상담수련생의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영재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사례연구를 통한 지역사회 작은학교 활성화 방안
- 자기자비 글쓰기가 여자 대학(원)생의 신체 수용과 신체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외국인 유학생 내담자의 자살을 겪은 유학생 상담자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접근성 현황 분석
-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 고찰
- 현대물리 관련 도서를 읽은 후 중등 과학 영재 학생들이 작성한 인포그래픽의 특징 분석
- 영유아 특기적성교육의 실태와 영재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 2015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읽기 상위인지 수용 양상
- 시뮬레이션 간호교육에서 자가 및 동료주도 디브리핑의 임상수행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및 만족도 비교
-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매개 효과
- 호네트의 인정 이론에 기초한 긍정적 자아관 형성 및 인성교육의 방향 고찰
- 대학생의 재학 중 일경험과 직업가치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 고전극 교육 제재로서 우희의 의의와 교육 방안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SNS 중독경향성이 외모수용에 미치는 영향
- 영화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의 종단적 관계가 교사교육에 주는 함의
-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에 대한 인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