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 고찰
이용수 479
- 영문명
- A Study on Rousseau's Naturalistic Education Theory: Focusing on 『Emil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1호, 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에밀』을 중심으로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을 살펴보고 사회와 이성, 도덕을 위한 교육원리가 전제되어 있음을 고찰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1차 자료인 루소의 작품과 루소 교육의 해석을 다루고 있는 2차 문헌을 분석하여 자연에 대한 세 개의 개념들을 도출해 내었다. 그리고 자연의 개념에 근거하여 루소의 자연 교육의 원리를 분석하였다.
결과 이를 통하여 루소에게서는 인위적인 것에 반대되는 원시적인 1차적인 자연만이 아니라, 사회를 재정립하는 규범 원리로서 제2의 자연의 개념을 찾을 수 있었다. 이에 근거하여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은 사회와의 연결성을 염두에 두고 새로운 사회 형성을 위한 교육 원리로 작용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루소는 개인과 사회를 매개할 수 있는 가정의 역할을 강조하였고, 사회의 관습과 편견으로부터 자유로운 유예공간을 만들어 주는 소극적 교육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은 새로운 미래를 위한 교육적 규범으로서의 제2의 자연을 형성하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자연주의 교육은 사회에서의 자연인을 형성하기 위해서 과잉욕망이 아니라 필요성에 의한 교육과 사물 자체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사물에 의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살펴보았다.
결론 이상의 내용을 통하여 루소가 제시하고자 한 자연주의 교육은 사회와 단절된 인간 형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새로운 사회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도덕적 존재로서 인간 형성에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it was examined that Rousseau's natural education, which had a great influence on modern child education, was not an education cut off from society, but premised on educational principles for society, reason, and morality, which are the main pillars of civic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this thesis derives three concepts of nature by analyzing the primary source material, Rousseau's work, and secondary literature dealing with the interpretation of Rousseau's education. And based on the concept of nature, Rousseau's principles of nature education were analyzed.
Results Through this, Rousseau was able to find not only the primitive primary nature as opposed to the artificial, but also the concept of a second nature as a normative principle that re-establishes society. Based on this, it is analyzed that Rousseau's nature education is acting as an educational principle for the formation of a new society with the connection with society in mind. Rousseau emphasized the role of the family as a mediator between the individual and society, and suggested a passive education that creates a respite space free from social customs and prejudices. Furthermore, Rousseau's nature education can be said to be an education that forms a second nature as an educational norm for a new future. In this regard, in order to form a natural person in society, we examined the need for education based on necessity, not excessive desire, and education based on things that can judge the value of things themselves.
Conclusions Through the above contents,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at the nature education that Rousseau was trying to suggest does not consist in the formation of human beings cut off from society, but rather lies in the formation of human beings as moral beings that can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new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자연의 의미
Ⅲ.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1호 목차
- 학교급별 보건교사의 학교보건 실무역량과 전문직 태도
- 30년 이상 고경력 국⋅공립 유치원 교사의 교직 생애 경험의 의미
- 지혜의 개념화와 지혜 교육의 방법
- 한 초등학생의 1-4학년 일기글 사례의 연대기성 발달
- 중국의 비즈니스 광고와 공익 광고의 동성체계(Transitivity) 연구
- 초⋅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한 ADHD 성향 유아의 자연체험 효과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연구
- 집단 수퍼비전에서 초심 수퍼바이저의 경험과 인식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학생의 진로 발달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교육 방법
-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모형 적용 사례 분석
- 고혈압을 진단받은 중년여성의 노화인식이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분석 데이터 탐색 및 검증
- 2022년 초등학교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목표 이행을 위한 실기수업 및 교사 전문성 개선안
- 중년여성의 신명(神明)경험과 삶의 의미성 지각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 국내 집단상담 연구 동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연구동향 분석
- 고학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환경태도와 관광경험이 환경의식 및 환경보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 인천 학생의 생활실태 및 인식 비교
-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 유아 교육복지에 관한 온라인 기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중소기업 직장어린이집 설치⋅운영에 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구조적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중도탈락 연구동향 분석
- 부모의 성격 5요인, 스마트폰 중독,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학교적응 간 관계
-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I 교과서 듣기활동의 어휘적⋅구문적 특성
-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이상적인 간호조직문화 유형
-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A Corpus-Based Study on Historical Changes in the Usages of the Be/get Passives in American English
-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격수업 환경 분석
- 상담수련생의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영재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사례연구를 통한 지역사회 작은학교 활성화 방안
- 자기자비 글쓰기가 여자 대학(원)생의 신체 수용과 신체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외국인 유학생 내담자의 자살을 겪은 유학생 상담자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접근성 현황 분석
-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 고찰
- 현대물리 관련 도서를 읽은 후 중등 과학 영재 학생들이 작성한 인포그래픽의 특징 분석
- 영유아 특기적성교육의 실태와 영재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 2015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읽기 상위인지 수용 양상
- 시뮬레이션 간호교육에서 자가 및 동료주도 디브리핑의 임상수행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및 만족도 비교
-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매개 효과
- 호네트의 인정 이론에 기초한 긍정적 자아관 형성 및 인성교육의 방향 고찰
- 대학생의 재학 중 일경험과 직업가치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 고전극 교육 제재로서 우희의 의의와 교육 방안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SNS 중독경향성이 외모수용에 미치는 영향
- 영화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의 종단적 관계가 교사교육에 주는 함의
-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에 대한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