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년여성의 신명(神明)경험과 삶의 의미성 지각
이용수 95
- 영문명
- Middle-aged women's ‘Shinmyeong’ experiences and meaning in life: Analyses on mediating effects of self-value expression, self-value affirmation, and a sense of we-ne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지혜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1호, 217~23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한국문화의 토착적 심리현상인 신명경험이 삶의 의미성 지각과 갖는 관계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특히, 신명분출과 삶의 의미성 사이의 관계에서 신명경험의 하위 변인인 ‘자기가치 표현’, ‘자기가치 인정’ 및 ‘우리의식 확인’이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중년 여성(N=392)을 대상으로 자기보고 방식의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변인은 신명분출, 신명경험(자기가치 표현, 자기가치 인정, 우리의식 확인), 삶의 의미(삶의 의미발견, 삶의 의미추구)이며, 척도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요인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포함한 기초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정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행한 후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신명분출, 신명경험 및 삶의 의미성 지각 사이에 정적 관련성이 있었으며, 신명분출과 삶의 의미성 간에 신명경험의 하위 변인인 ‘자기가치의 표현’, ‘자기가치의 인정’ 및 ‘우리의식의 확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자기가치의 표현이 가장 중요한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신명이라는 토착적 긍정적 정서경험이 중년 여성들에게 삶의 의미성을 지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발견하였으며 상담현장에서 중년여성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잠재적 도구로 개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inmyeong’ experiences on meaning of lif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hinmyeong’s sub-factors(self-value expression, self-value affirmation, and a sense of we-ness) in order to explain positive psychological effects of Korean indigenous phenomenon, ‘Shinmyeong’.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report method with 392 middle-aged women. Variables included ‘Shinmyeong’ experience, ‘Shinmyeong’ behavior (self-value expression, self-value affirmation, a sense of we-ness), perception of life meaning, pursuit of life meaning.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measure used, a factor analysis, correlational anaysis, were conducted whil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 were conducted for hypothesis tests to analyze mediating effect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re exist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Shinmyeong’ experience, ‘Shinmyeong’ behavior, and perception of the meaning of lif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value expression, self-value affirmation, and a sense of we-ness were also confirmed. All hypotheses were confirmed.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that ‘Shinmyeong’ experience, an indigenous positive psychological experience, plays an important role for middle-aged women’s finding a sense of meaning of life. Potential application on counseling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is also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1호 목차
- 학교급별 보건교사의 학교보건 실무역량과 전문직 태도
- 30년 이상 고경력 국⋅공립 유치원 교사의 교직 생애 경험의 의미
- 지혜의 개념화와 지혜 교육의 방법
- 한 초등학생의 1-4학년 일기글 사례의 연대기성 발달
- 중국의 비즈니스 광고와 공익 광고의 동성체계(Transitivity) 연구
- 초⋅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한 ADHD 성향 유아의 자연체험 효과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연구
- 집단 수퍼비전에서 초심 수퍼바이저의 경험과 인식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학생의 진로 발달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교육 방법
-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모형 적용 사례 분석
- 고혈압을 진단받은 중년여성의 노화인식이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분석 데이터 탐색 및 검증
- 2022년 초등학교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목표 이행을 위한 실기수업 및 교사 전문성 개선안
- 중년여성의 신명(神明)경험과 삶의 의미성 지각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 국내 집단상담 연구 동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연구동향 분석
- 고학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환경태도와 관광경험이 환경의식 및 환경보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 인천 학생의 생활실태 및 인식 비교
-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 유아 교육복지에 관한 온라인 기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중소기업 직장어린이집 설치⋅운영에 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구조적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중도탈락 연구동향 분석
- 부모의 성격 5요인, 스마트폰 중독,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학교적응 간 관계
-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I 교과서 듣기활동의 어휘적⋅구문적 특성
-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이상적인 간호조직문화 유형
-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A Corpus-Based Study on Historical Changes in the Usages of the Be/get Passives in American English
-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격수업 환경 분석
- 상담수련생의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영재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사례연구를 통한 지역사회 작은학교 활성화 방안
- 자기자비 글쓰기가 여자 대학(원)생의 신체 수용과 신체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외국인 유학생 내담자의 자살을 겪은 유학생 상담자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접근성 현황 분석
-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 고찰
- 현대물리 관련 도서를 읽은 후 중등 과학 영재 학생들이 작성한 인포그래픽의 특징 분석
- 영유아 특기적성교육의 실태와 영재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 2015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읽기 상위인지 수용 양상
- 시뮬레이션 간호교육에서 자가 및 동료주도 디브리핑의 임상수행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및 만족도 비교
-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매개 효과
- 호네트의 인정 이론에 기초한 긍정적 자아관 형성 및 인성교육의 방향 고찰
- 대학생의 재학 중 일경험과 직업가치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 고전극 교육 제재로서 우희의 의의와 교육 방안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SNS 중독경향성이 외모수용에 미치는 영향
- 영화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의 종단적 관계가 교사교육에 주는 함의
-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에 대한 인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