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5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읽기 상위인지 수용 양상
이용수 294
- 영문명
- Acceptance Phase of Metacognition in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Based on 2015 Revised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유선 이경화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1호, 233~24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15개정 국어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국어 교과서에 읽기 상위인지가 어떻게 수용되어있는지 분석하는 데에 있다.
방법 문헌 연구를 통해 상위인지를 지식(선언적, 절차적, 조건적 지식)과 조절(계획, 점검 평가)로 나누어 상위인지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분석 대상은 2015개정 국어교과서 중 6학년 1, 2학기 읽기 관련 단원 11개로, 이중 일반 단원은 단원 도입/마무리, 읽기 전 안내 텍스트, 날개, 학습 활동, 도움말로, 독서 단원은 독서 준비, 독서 중, 독서 후로 나누어 각각을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11개 단원을 분석한 결과, 읽기 관련 단원 중 일반 단원은 상위인지의 조절보다는 특정 기능의 지식에 편중되어 있었으며, 교과서에서 상위인지 조절 중 점검이 직접적으로 반영된 곳은 6학년 1학기 독서 단원뿐이었다. 또한 상위인지에 관한 학년별, 단원별 연계가 부족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 향후 초등 국어 교과서를 위한 제언은 첫째, 상위인지의 지식과 조절 및 각각의 하위요소들을 균형 있게 제시하고, 상위인지 자체에 대한 지식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여러 독서 단원에서 점검과 조정을 풍부하게, 반복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셋째, 상위인지에 대한 학년별, 단원별 교육 내용의 연계와 체계화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metacognition is reflected in the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based on the revised 2015 curriculum.
Method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metacognition was divided into knowledge (declarative, procedural, conditional knowledge) and regulation (planning, monitoring, evaluation), and an analysis framework was established. The subject of analysis is 11 reading-related chapters in the 6th grade 1st and 2nd semester Korean language textbooks.
Results After dividing the 11 chapters into general chapters and reading chapters, and analyzing them according to the framework, it was found that the general chapters were biased towards specific functional knowledge rather than regulating the metacognition. Moreover, only one reading chapter in the 1st semester of the 6th grade reflected monitoring of the metacognitive regulation in the textbook. In addition, there was a lack of linkage between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metacognition by grade and chapter.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recommendations for future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are as follows: Firstly, metacognitive knowledge and regulation, and their sub-elements should be presented in a balanced manner, and knowledge about the metacognition itself should be provided. Secondly, monitoring and regulation should be richly and repeatedly covered in various reading chapters. Thirdly,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linkage and systemat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 on the metacognition by grade and chapter.
목차
Ⅰ. 서론
Ⅱ. 상위인지의 개념과 요소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1호 목차
- 학교급별 보건교사의 학교보건 실무역량과 전문직 태도
- 30년 이상 고경력 국⋅공립 유치원 교사의 교직 생애 경험의 의미
- 지혜의 개념화와 지혜 교육의 방법
- 한 초등학생의 1-4학년 일기글 사례의 연대기성 발달
- 중국의 비즈니스 광고와 공익 광고의 동성체계(Transitivity) 연구
- 초⋅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한 ADHD 성향 유아의 자연체험 효과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연구
- 집단 수퍼비전에서 초심 수퍼바이저의 경험과 인식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학생의 진로 발달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교육 방법
-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모형 적용 사례 분석
- 고혈압을 진단받은 중년여성의 노화인식이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분석 데이터 탐색 및 검증
- 2022년 초등학교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목표 이행을 위한 실기수업 및 교사 전문성 개선안
- 중년여성의 신명(神明)경험과 삶의 의미성 지각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 국내 집단상담 연구 동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연구동향 분석
- 고학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환경태도와 관광경험이 환경의식 및 환경보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 인천 학생의 생활실태 및 인식 비교
-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 유아 교육복지에 관한 온라인 기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중소기업 직장어린이집 설치⋅운영에 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구조적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중도탈락 연구동향 분석
- 부모의 성격 5요인, 스마트폰 중독,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학교적응 간 관계
-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I 교과서 듣기활동의 어휘적⋅구문적 특성
-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이상적인 간호조직문화 유형
-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A Corpus-Based Study on Historical Changes in the Usages of the Be/get Passives in American English
-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격수업 환경 분석
- 상담수련생의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영재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사례연구를 통한 지역사회 작은학교 활성화 방안
- 자기자비 글쓰기가 여자 대학(원)생의 신체 수용과 신체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외국인 유학생 내담자의 자살을 겪은 유학생 상담자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접근성 현황 분석
-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 고찰
- 현대물리 관련 도서를 읽은 후 중등 과학 영재 학생들이 작성한 인포그래픽의 특징 분석
- 영유아 특기적성교육의 실태와 영재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 2015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읽기 상위인지 수용 양상
- 시뮬레이션 간호교육에서 자가 및 동료주도 디브리핑의 임상수행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및 만족도 비교
-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매개 효과
- 호네트의 인정 이론에 기초한 긍정적 자아관 형성 및 인성교육의 방향 고찰
- 대학생의 재학 중 일경험과 직업가치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 고전극 교육 제재로서 우희의 의의와 교육 방안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SNS 중독경향성이 외모수용에 미치는 영향
- 영화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의 종단적 관계가 교사교육에 주는 함의
-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에 대한 인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