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재학 중 일경험과 직업가치의 관계 분석
이용수 174
- 영문명
- Relational Analysis of between the Work Experience in School and the Job Values of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2017-2020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윤서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1호, 629~64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재학 중 일경험과 직업가치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성별에 따라 일경험이 직업가치에 미치는 변화와 영향을 확인하고, 일관된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2017~2020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를 활용하여 대학생의 일경험이 직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의 4년제 남녀 대학생 35,217명(2017년 8,933명, 2018년 9,116명, 2019년 9,350명, 2020년 7,8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녀 대학생의 일경험에 따른 직업가치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고,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남학생의 일경험 유무와 전공과 연관된 일경험이 일관되게 내재적 직업가치를 높이고, 내재적 직업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학생의 전공과 연관된 일경험은 일관되게 내재적 직업가치를 높이고, 내재적 직업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경험 유무는 일관되게 여학생의 외재적 직업가치를 높이고, 외재적 직업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남학생과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셋째 대학생의 일경험 횟수의 일관적인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고, 2020년을 제외하고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생의 재학 중 일경험은 직업가치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첫째 대학생의 내재적 직업가치를 높이기 위해 전공과 관련된 일경험을 해야 하겠다. 둘째 일경험 유무는 남학생에게는 내재적 직업가치를 높이는 반면 여학생에게는 외재적 직업가치를 높이는 상반된 결과가 나타나 일경험과 직업가치에 대한 진로교육에 세분화된 차별성이 필요해 보인다. 셋째 일경험의 횟수는 대학생의 진로발달에 도움이 되지 않는 반복적인 일경험보다 의미있는 일경험을 선택하고 집중해야 하겠다. 이 결과는 대학생의 직업가치 형성을 위한 일경험의 방향점 제시와 학교와 정부의 대학생의 일경험에 대한 정책수립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xperience in school and job values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particular, it is to confirm the effect of work experience on job value according to gender. Using the 2017~2020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let's analyze the consistent effect of college student's work experience in school on job value.
Methods Using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2017-2020 and subjects of this surveys were 35,217 people who four-year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8,933 people in 2017, 9,116 people in 2018, 9,350 people in 2019, and 7,824 people in 2020). A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hange in job value according to the work experience in school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mpact.
Result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ale students' work experience and work experience related to their major consistently increased intrinsic job value and had a positive (+) effect. Second, it was found that female students' work experience related to their major consistently increased the intrinsic job value and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other hand, it was analyzed that female students' work presence or absence of work experience consistently increases the external job value and has a positive (+) effect. Third, the consistent effect of the number of work experiences of unversity students was not confirmed.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effect except for 2020.
Conclusions The work experience in school of a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job values. First,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should have work experience related to their major in order to increase their intrinsic job values. Second, it seem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career guidance of male and female students. Third, the number of work experiences in school should be selected and focused on meaningful work experiences rather than work experiences that do not help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velopment. This result presents the direction of work experience in school for the development of job values of university students. And I think it will be helpful for the school and the government to establish policies on the work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1호 목차
- 학교급별 보건교사의 학교보건 실무역량과 전문직 태도
- 30년 이상 고경력 국⋅공립 유치원 교사의 교직 생애 경험의 의미
- 지혜의 개념화와 지혜 교육의 방법
- 한 초등학생의 1-4학년 일기글 사례의 연대기성 발달
- 중국의 비즈니스 광고와 공익 광고의 동성체계(Transitivity) 연구
- 초⋅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한 ADHD 성향 유아의 자연체험 효과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연구
- 집단 수퍼비전에서 초심 수퍼바이저의 경험과 인식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학생의 진로 발달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교육 방법
-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모형 적용 사례 분석
- 고혈압을 진단받은 중년여성의 노화인식이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분석 데이터 탐색 및 검증
- 2022년 초등학교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목표 이행을 위한 실기수업 및 교사 전문성 개선안
- 중년여성의 신명(神明)경험과 삶의 의미성 지각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 국내 집단상담 연구 동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연구동향 분석
- 고학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환경태도와 관광경험이 환경의식 및 환경보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 인천 학생의 생활실태 및 인식 비교
-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 유아 교육복지에 관한 온라인 기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중소기업 직장어린이집 설치⋅운영에 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구조적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중도탈락 연구동향 분석
- 부모의 성격 5요인, 스마트폰 중독,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학교적응 간 관계
-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I 교과서 듣기활동의 어휘적⋅구문적 특성
-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이상적인 간호조직문화 유형
-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A Corpus-Based Study on Historical Changes in the Usages of the Be/get Passives in American English
-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격수업 환경 분석
- 상담수련생의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영재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사례연구를 통한 지역사회 작은학교 활성화 방안
- 자기자비 글쓰기가 여자 대학(원)생의 신체 수용과 신체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외국인 유학생 내담자의 자살을 겪은 유학생 상담자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접근성 현황 분석
-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 고찰
- 현대물리 관련 도서를 읽은 후 중등 과학 영재 학생들이 작성한 인포그래픽의 특징 분석
- 영유아 특기적성교육의 실태와 영재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 2015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읽기 상위인지 수용 양상
- 시뮬레이션 간호교육에서 자가 및 동료주도 디브리핑의 임상수행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및 만족도 비교
-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매개 효과
- 호네트의 인정 이론에 기초한 긍정적 자아관 형성 및 인성교육의 방향 고찰
- 대학생의 재학 중 일경험과 직업가치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 고전극 교육 제재로서 우희의 의의와 교육 방안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SNS 중독경향성이 외모수용에 미치는 영향
- 영화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의 종단적 관계가 교사교육에 주는 함의
-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에 대한 인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