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의 비즈니스 광고와 공익 광고의 동성체계(Transitivity) 연구
이용수 154
- 영문명
- A Study on the Transitivity of Business and Public Interest Advertising in Chines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주업봉 한정한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1호, 821~83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논문의 목적은 체계기능언어학(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의 관점에서 중국의 비즈니스 광고 언어와 공익 광고 언어의 동성체계(Transitivity)를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비즈니스 광고는 소비자를 설득해야 하는 목적으로 광고 카피에 소비자의 감성이 잘 깃들어 있는 장르이고, 공익 광고는 시대나 나라의 사회적 관심사와 변화가 가장 잘 반영된 장르이다.
방법 체계기능언어학에 따르면 동성체계의 과정 유형(Process Types)을 물리적 과정, 정신적 과정, 관계적 과정, 존재적 과정, 행동적 과정, 전언적 과정, 크게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과정 유형의 차이에 의해 중국의 광고 언어를 분석해 본 결과 우리는 비즈니스 광고의 특징, 공익 광고의 특징, 비즈니스 광고와 공익 광고의 차이점, 그리고 중⋅한 번역 차원에서 동성체계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에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 첫째, 비즈니스 광고의 특징은 물질적 과정과 정신적 과정이 아주 많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특히 술/음료/식품류의 광고에서는 정신적 과정이 더 많이 나타났다. 특히 술/음료/식품류 업종 광고는 업종의 특성상 음용(飮用)이라는 시각과 미각의 감각을 주로 사용하여 관객들에게 제품을 추천한다. 이러한 특성은 비즈니스 광고는 간결한 언어를 통해 소비자의 구매욕을 일으키고 기업의 이윤을 창출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둘째, 비즈니스 광고에서 정신적 과정이 많이 사용되는 것과 다르게, 공익 광고에서는 매우 낮은 비율로 나타난다. 그리고, 물질적 과정은 공익 광고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공익 광고에 물질적 과정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은 국민 전체의 이익과 연관된 것으로, 일반 대중의 협력을 얻기 위해서 설득과 호소라는 의사소통 목적이 강조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셋째, 중국 광고 언어를 한국 광고 언어로 번역하는 과정 중에 나타나는 동성체계의 변이 양상도 살펴보았다. 광고 원문과 번역문의 동성체계를 비교해 본 결과, 변이 양상은 추가, 감소, 전환 총 3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우리는 주요 번역 변이 사례의 제시를 통해, 각각의 변이의 특징과 그것이 발생 원인을 고찰해 보았다.
결론 이상의 과정에서 도출된 중국 광고 카피의 체계기능언어학적 특성은 독자가 중국 광고 언어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아울러 중국 광고 언어를 연구하거나 중문 슬로건을 개발하거나 학습자 중심 교육을 할 때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transitivity of business advertising language and public service advertising language in China from the perspective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Business advertising is a genre that aims to persuade consumers and is highly embedded with consumer sensibilities, while public service advertising is a genre that best reflects the social concerns and changes of an era or country.
Methods According to SFL, there are six types of Process Types in the transitivity: material process, mental process, relational process, existential process, behavioral process, and verbal process. By analyzing Chinese advertising language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process types, we can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advertising,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ervice advertising, the differences between business advertising and public service advertising, and the changes in the transitivity at the level of Chinese-Korean translation. Our findings on these issues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business advertising is characterized by a large number of material and mental processes. In particular, mental processes are more prevalent in advertising for alcohol, beverages, and food products. Due to the nature of the industry, advertising for alcohol, beverages, and food products mainly use the senses of sight and taste to recommend products to the audience. This is likely due to the fact that business advertisements use concise language to arouse consumers' desire to buy and generate profits for companies. Second, unlike the high use of mental processes in business advertising, they are very low in public service advertising, and material processes are most prevalent in public service advertising. The prevalence of material processes in public service advertising is likely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 related to the interests of the people as a whole and emphasize the communication purpose of persuasion and appeal to gain the cooperation of the general public. Third, we also examined the changes in the transitivity during the translation process from Chinese to Korean. By comparing the transitivity of the original and translated advertising, we found three types of changes: addition, reduction, and conversion. Through the presentation of major cases of translation variation,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variation and the reasons for its occurrence.
Conclusions The systematic functional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advertising derived from the above analyses would help reader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advertising language, and may also be helpful for those who study Chinese advertising language, develop Chinese slogans, or teach Chinese slogans.
목차
Ⅰ. 서론
Ⅱ. 장르와 체계기능언어학의 동성체계(Transitivity)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1호 목차
- 학교급별 보건교사의 학교보건 실무역량과 전문직 태도
- 30년 이상 고경력 국⋅공립 유치원 교사의 교직 생애 경험의 의미
- 지혜의 개념화와 지혜 교육의 방법
- 한 초등학생의 1-4학년 일기글 사례의 연대기성 발달
- 중국의 비즈니스 광고와 공익 광고의 동성체계(Transitivity) 연구
- 초⋅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한 ADHD 성향 유아의 자연체험 효과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연구
- 집단 수퍼비전에서 초심 수퍼바이저의 경험과 인식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학생의 진로 발달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교육 방법
-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모형 적용 사례 분석
- 고혈압을 진단받은 중년여성의 노화인식이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분석 데이터 탐색 및 검증
- 2022년 초등학교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목표 이행을 위한 실기수업 및 교사 전문성 개선안
- 중년여성의 신명(神明)경험과 삶의 의미성 지각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 국내 집단상담 연구 동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연구동향 분석
- 고학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환경태도와 관광경험이 환경의식 및 환경보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 인천 학생의 생활실태 및 인식 비교
-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 유아 교육복지에 관한 온라인 기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중소기업 직장어린이집 설치⋅운영에 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구조적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중도탈락 연구동향 분석
- 부모의 성격 5요인, 스마트폰 중독,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학교적응 간 관계
-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I 교과서 듣기활동의 어휘적⋅구문적 특성
-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이상적인 간호조직문화 유형
-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A Corpus-Based Study on Historical Changes in the Usages of the Be/get Passives in American English
-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격수업 환경 분석
- 상담수련생의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영재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사례연구를 통한 지역사회 작은학교 활성화 방안
- 자기자비 글쓰기가 여자 대학(원)생의 신체 수용과 신체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외국인 유학생 내담자의 자살을 겪은 유학생 상담자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접근성 현황 분석
-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 고찰
- 현대물리 관련 도서를 읽은 후 중등 과학 영재 학생들이 작성한 인포그래픽의 특징 분석
- 영유아 특기적성교육의 실태와 영재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 2015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읽기 상위인지 수용 양상
- 시뮬레이션 간호교육에서 자가 및 동료주도 디브리핑의 임상수행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및 만족도 비교
-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매개 효과
- 호네트의 인정 이론에 기초한 긍정적 자아관 형성 및 인성교육의 방향 고찰
- 대학생의 재학 중 일경험과 직업가치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 고전극 교육 제재로서 우희의 의의와 교육 방안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SNS 중독경향성이 외모수용에 미치는 영향
- 영화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의 종단적 관계가 교사교육에 주는 함의
-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에 대한 인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