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의 종단적 관계가 교사교육에 주는 함의
이용수 96
- 영문명
- The Implications of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tudents' Media Use and Sociality Development on Teacher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오희정 신수범 설양환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1호, 453~46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 8~1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의 종단적인 관계를 분석하고, 교사교육에 주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방법 전국 254명의 초등학교 1학년부터 4학년까지 4년간의 종단 자료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의 구인을 측정하였다. 추출한 요인들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고,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종단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변인별 기술통계, 상관분석,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그 결과, 첫째,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 간에는 전반적으로 부적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일부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이었다. 셋째,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 역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이었다. 넷째, 이전 시점의 미디어 사용은 다음 시점의 사회성 발달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다섯째, 이전 시점의 사회성 발달은 다음 시점의 미디어 사용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 그리하여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분석하였을 때, 동일 변인간의 지속적인 영향력은 확인할 수 있었으나, 서로에 대한 종단적 영향관계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이 후속하는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유의미하므로 이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관리하기 위한 지도 방법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교사교육 영역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자료의 결측치를 줄이고, 연구 대상자 수를 보다 많이 확보하여 변인들의 관계를 더 자세히 규명하기 위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tudents' media use and social development was analyzed using data from the 8th to 11th years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nd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for teacher education were presented.
Methods Using longitudinal data for four years from the first to fourth grades of 254 elementary students nationwide, the constructs of media use and social development were measur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extracted factors, and reliability was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these longitudinal relationships, descriptive statistics by variable, correlation analysis, and autoregressive cross- lagged modeling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As a result, First, there was an overall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lementary students' media use and social development. However,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some cases. Second, elementary students' media use was stable over time. Third, the social development of elementary students was also stable over time. Fourth, media use at the previous time point had a negative effect on social development at the next time point,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social development at the previous time poin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media use at the next time point,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ither.
Conclusions Thus,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use and social development was analyzed longitudinally, the continuous influence between the same variables could be confirmed, but the longitudinal influence relationship on each other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is, the following were suggested. First, since the influence of elementary students' media use and social development on subsequent media use and social development is continuously significan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teaching method to manage them in a positive direction. Also,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media literacy education in the field of teacher education. Second, a follow-up study was suggested to further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by reducing missing data and securing a larger number of study subjec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교사교육에 주는 함의
Ⅵ.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1호 목차
- 학교급별 보건교사의 학교보건 실무역량과 전문직 태도
- 30년 이상 고경력 국⋅공립 유치원 교사의 교직 생애 경험의 의미
- 지혜의 개념화와 지혜 교육의 방법
- 한 초등학생의 1-4학년 일기글 사례의 연대기성 발달
- 중국의 비즈니스 광고와 공익 광고의 동성체계(Transitivity) 연구
- 초⋅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한 ADHD 성향 유아의 자연체험 효과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연구
- 집단 수퍼비전에서 초심 수퍼바이저의 경험과 인식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학생의 진로 발달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교육 방법
-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모형 적용 사례 분석
- 고혈압을 진단받은 중년여성의 노화인식이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분석 데이터 탐색 및 검증
- 2022년 초등학교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목표 이행을 위한 실기수업 및 교사 전문성 개선안
- 중년여성의 신명(神明)경험과 삶의 의미성 지각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 국내 집단상담 연구 동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연구동향 분석
- 고학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환경태도와 관광경험이 환경의식 및 환경보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 인천 학생의 생활실태 및 인식 비교
-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 유아 교육복지에 관한 온라인 기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중소기업 직장어린이집 설치⋅운영에 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구조적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중도탈락 연구동향 분석
- 부모의 성격 5요인, 스마트폰 중독,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학교적응 간 관계
-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I 교과서 듣기활동의 어휘적⋅구문적 특성
-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이상적인 간호조직문화 유형
-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A Corpus-Based Study on Historical Changes in the Usages of the Be/get Passives in American English
-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격수업 환경 분석
- 상담수련생의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영재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사례연구를 통한 지역사회 작은학교 활성화 방안
- 자기자비 글쓰기가 여자 대학(원)생의 신체 수용과 신체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외국인 유학생 내담자의 자살을 겪은 유학생 상담자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접근성 현황 분석
-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 고찰
- 현대물리 관련 도서를 읽은 후 중등 과학 영재 학생들이 작성한 인포그래픽의 특징 분석
- 영유아 특기적성교육의 실태와 영재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 2015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읽기 상위인지 수용 양상
- 시뮬레이션 간호교육에서 자가 및 동료주도 디브리핑의 임상수행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및 만족도 비교
-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매개 효과
- 호네트의 인정 이론에 기초한 긍정적 자아관 형성 및 인성교육의 방향 고찰
- 대학생의 재학 중 일경험과 직업가치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 고전극 교육 제재로서 우희의 의의와 교육 방안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SNS 중독경향성이 외모수용에 미치는 영향
- 영화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의 종단적 관계가 교사교육에 주는 함의
-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에 대한 인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