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대물리 관련 도서를 읽은 후 중등 과학 영재 학생들이 작성한 인포그래픽의 특징 분석
이용수 55
- 영문명
- Analysis of Infographics Written by Secondary Science Gifted Students after Reading Books Related to Modern Physic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신정윤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1호, 263~28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현대물리 관련 도서를 이용한 과학영재 수업에서 학생들이 작성한 인포그래픽의 외형적 유형과 과학적 서술 내용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대학부설영재교육원에서 과학영재 수업에 참여하는 중학교 2학년 학생 6명이 수업 시간에 제작한 인포그래픽 31편을 연구 대상으로 외형적 유형과 내용 유형을 분석하였다. 외형적 유형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한 인포그래픽 분석틀을 이용해 시각화 표현 방법과 구성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내용 유형으로는 서술되거나 표현된 과학 개념이 정확한지, 명료하게 서술되거나 표현되었는지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내용에 오류나 오개념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대응되는 과학 개념을 탐색해 보았다.
결과 그 결과 외형적 유형으로는 일러스트형과 재구성, 단순재구성 형태의 인포그래픽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학생들이 많이 다룬 주제는 특수상대성 이론, 뉴턴 역학, 일반상대성 이론 순이었다. 또한 과학적으로 타당하게 서술된 부분과 과학적 오류를 분석한 결과 빛의 이중성, 불확정성 원리 주제에 대해서는 과학적 오류 서술이 없었으나 양자 중첩이나 이중 슬릿 실험 장치 모형, 작용과 반작용에 관한 주제에서는 그 의미를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거나 불명확하게 서술하는 부분이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는 현대물리에 관한 도서 읽기와 동영상 시청 활동 등을 통해 과학영재학생들이 현대물리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가 일부 되었음을 보여준다. 과학영재 학생들은 양자 역학 내용보다는 상대성 이론에 관한 내용에 학습이 더 잘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xternal types and scientific descriptions of infographics written by science gifted students.
Methods For this purpose, 31 infographics written during class by six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cience-gifted classes were analyzed. Visualization expression method and composition level were analyzed as external type, and content elements, content accuracy, and errors in scientific description were analyzed as content type.
Results As a result, as for the external type, infographics in the form of illustration, reconstruction, and simple reconstruction were the most common. The topics that students dealt with the most were special relativity, Newtonian mechanics, and general relativity in that order.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cientifically valid descriptions and scientific errors, there was no scientific error description on the subject of the duality of light and uncertainty principle, but the meaning was fully expressed in the subject of quantum superposition, double slit experimental device model, and action and reaction. There were parts that could not be explained or described unclearly.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science gifted students have partially understood the basic concepts of modern physics through activities such as reading books about modern physics and watching videos. As a result, it is judged that science gifted students learned more about the theory of relativity than about quantum mechanic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1호 목차
- 학교급별 보건교사의 학교보건 실무역량과 전문직 태도
- 30년 이상 고경력 국⋅공립 유치원 교사의 교직 생애 경험의 의미
- 지혜의 개념화와 지혜 교육의 방법
- 한 초등학생의 1-4학년 일기글 사례의 연대기성 발달
- 중국의 비즈니스 광고와 공익 광고의 동성체계(Transitivity) 연구
- 초⋅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한 ADHD 성향 유아의 자연체험 효과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연구
- 집단 수퍼비전에서 초심 수퍼바이저의 경험과 인식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학생의 진로 발달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교육 방법
-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모형 적용 사례 분석
- 고혈압을 진단받은 중년여성의 노화인식이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분석 데이터 탐색 및 검증
- 2022년 초등학교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목표 이행을 위한 실기수업 및 교사 전문성 개선안
- 중년여성의 신명(神明)경험과 삶의 의미성 지각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 국내 집단상담 연구 동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연구동향 분석
- 고학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환경태도와 관광경험이 환경의식 및 환경보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 인천 학생의 생활실태 및 인식 비교
-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 유아 교육복지에 관한 온라인 기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중소기업 직장어린이집 설치⋅운영에 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구조적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중도탈락 연구동향 분석
- 부모의 성격 5요인, 스마트폰 중독,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학교적응 간 관계
-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I 교과서 듣기활동의 어휘적⋅구문적 특성
-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이상적인 간호조직문화 유형
-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A Corpus-Based Study on Historical Changes in the Usages of the Be/get Passives in American English
-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격수업 환경 분석
- 상담수련생의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영재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사례연구를 통한 지역사회 작은학교 활성화 방안
- 자기자비 글쓰기가 여자 대학(원)생의 신체 수용과 신체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외국인 유학생 내담자의 자살을 겪은 유학생 상담자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접근성 현황 분석
-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 고찰
- 현대물리 관련 도서를 읽은 후 중등 과학 영재 학생들이 작성한 인포그래픽의 특징 분석
- 영유아 특기적성교육의 실태와 영재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 2015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읽기 상위인지 수용 양상
- 시뮬레이션 간호교육에서 자가 및 동료주도 디브리핑의 임상수행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및 만족도 비교
-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매개 효과
- 호네트의 인정 이론에 기초한 긍정적 자아관 형성 및 인성교육의 방향 고찰
- 대학생의 재학 중 일경험과 직업가치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 고전극 교육 제재로서 우희의 의의와 교육 방안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SNS 중독경향성이 외모수용에 미치는 영향
- 영화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의 종단적 관계가 교사교육에 주는 함의
-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에 대한 인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