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이용수 224
- 영문명
- A Survey Research on the Perception and Needs of Secondary Music Teachers about Graduate College of Education as In-Service Training Institu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가연 정주연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1호, 431~45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등 음악교사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에 관한 인식과 교육과정 요구도를 조사하여 현직 중등 음악교사 재교육을 위한 학위과정 재구성 방향성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전국의 현직 중등 음악교사 1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현행 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 요구하는 교육과정을 알아보았다. 더불어, 수집된 설문조사 결과의 통계 분석 및 자율 기술 문답 결과에 따른 구체적인 원인과 인식을 현직교사 관점에서 논의하기 위하여 2인의 교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결과 현직 중등 음악교사들은 현행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의 기능을 현직교사 재교육 기관보다는 예비 교원 양성기관으로 특성화하여 인식하는 경향이 뚜렷하였다. 이는 현재 교육대학원의 기능이 최초 설립 목적에서 멀어져 있음을 나타내며,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기능을 보다 강화할 필요성을 시사는 바이다. 나아가, 중등 음악교사들은 현장 연계성이 높은 교사 재교육 과정을 기대하였으며, 이는 주로 교수법 개발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첫째,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은 장기 교육이 필요한 내용을 중심으로 현직교사 재교육 교육과정을 구성하여야 한다. 더불어,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필요에 따라 자율적인 교육과정 결정과 이수 과정을 거칠 수 있는 이수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급변하는 사회의 요구와 최신 교육과정의 철학을 선도적으로 이해하여 교사들이 수용할 수 있도록 돕는 현직교사 재교육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로써 실제 교육 현장에 알맞게 응용하게 되기까지 교사가 전문성 발달에 책무성을 가지도록 양질의 교수학습 방법 및 자료 개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demand of in-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regarding graduate college of education as in-service training institution; and discuss about the curriculum improvement of graduate college of education for in-service training.
Methods A survey of 139 secondary music teachers nationwide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awareness and necessity of the current graduate college of education as in-service training institution and its curriculum. In addition, interviews with two music teachers were conducted to find more specific causes and perceptions of the survey results and discuss about the future direction of the instit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service teachers.
Results In-service secondary music teachers tended to characterize the functions of the current graduate college of education and music education major as a pre-servic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rather than for in-servicet teacher training. This indicates that the functions of the graduate college of education are far from the purpose of initial establishment, and suggests the need to further strengthen the functions to enhance the expertise of in-service music teachers. Furthermore, secondary music teachers expected curriculum with high field connectivity, which was main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Conclusions First, the music education major of graduate college of education should develop curriculum for in-service training, focusing on the contents that require long-term education. In addition, a completion system that teachers have more autonomous curriculum decision should be provided as well as comple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needs of in-service teachers. Second, curriculum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should be developed to help teachers understand the rapidly changing needs of society and the latest philosophy and theory. In this way, research on developing high-quality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materials should be conducted; so that teachers can be far more accountabl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mproving their classrooo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1호 목차
- 학교급별 보건교사의 학교보건 실무역량과 전문직 태도
- 30년 이상 고경력 국⋅공립 유치원 교사의 교직 생애 경험의 의미
- 지혜의 개념화와 지혜 교육의 방법
- 한 초등학생의 1-4학년 일기글 사례의 연대기성 발달
- 중국의 비즈니스 광고와 공익 광고의 동성체계(Transitivity) 연구
- 초⋅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한 ADHD 성향 유아의 자연체험 효과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연구
- 집단 수퍼비전에서 초심 수퍼바이저의 경험과 인식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학생의 진로 발달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교육 방법
-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모형 적용 사례 분석
- 고혈압을 진단받은 중년여성의 노화인식이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분석 데이터 탐색 및 검증
- 2022년 초등학교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목표 이행을 위한 실기수업 및 교사 전문성 개선안
- 중년여성의 신명(神明)경험과 삶의 의미성 지각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 국내 집단상담 연구 동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연구동향 분석
- 고학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환경태도와 관광경험이 환경의식 및 환경보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 인천 학생의 생활실태 및 인식 비교
-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 유아 교육복지에 관한 온라인 기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중소기업 직장어린이집 설치⋅운영에 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구조적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중도탈락 연구동향 분석
- 부모의 성격 5요인, 스마트폰 중독,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학교적응 간 관계
-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I 교과서 듣기활동의 어휘적⋅구문적 특성
-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이상적인 간호조직문화 유형
-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A Corpus-Based Study on Historical Changes in the Usages of the Be/get Passives in American English
-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격수업 환경 분석
- 상담수련생의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영재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사례연구를 통한 지역사회 작은학교 활성화 방안
- 자기자비 글쓰기가 여자 대학(원)생의 신체 수용과 신체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외국인 유학생 내담자의 자살을 겪은 유학생 상담자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접근성 현황 분석
-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 고찰
- 현대물리 관련 도서를 읽은 후 중등 과학 영재 학생들이 작성한 인포그래픽의 특징 분석
- 영유아 특기적성교육의 실태와 영재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 2015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읽기 상위인지 수용 양상
- 시뮬레이션 간호교육에서 자가 및 동료주도 디브리핑의 임상수행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및 만족도 비교
-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매개 효과
- 호네트의 인정 이론에 기초한 긍정적 자아관 형성 및 인성교육의 방향 고찰
- 대학생의 재학 중 일경험과 직업가치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 고전극 교육 제재로서 우희의 의의와 교육 방안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SNS 중독경향성이 외모수용에 미치는 영향
- 영화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의 종단적 관계가 교사교육에 주는 함의
-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에 대한 인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