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모형 적용 사례 분석
이용수 513
- 영문명
- Problem-Based Learning (PBL) Instructional Model Application Case Analysis: A Non-Face-to-Face Online Cla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성미영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1호, 15~2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모형을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적용한 사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D대학교 아동학과 전공교과목인 언어지도 과목을 2020-1학기와 2021-1학기에 비대면 문제중심학습(PBL) 수업으로 진행한 후 PBL 수업의 주차별 운영 내용과 방식, 성적 평가, 만족도를 사례로 제시하고, 학습자의 강의평가 점수와 만족도 평가 점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비대면으로 진행된 PBL 수업 모형의 적용 결과, 2020-1학기 PBL 수업 운영 결과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하여 2021-1학기 수업에 이를 개선함으로써 강의평가 점수와 만족도 평가 점수가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동기 유발, 심화 학습, 자기 주도 학습 등 역량 제고를 위해 대학 수업의 PBL 적용 확대 필요성을 보여준다. 또한, COVID-19로 인해 대면 수업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PBL 수업을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한 본 연구의 결과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 수업의 새로운 모형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해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se of applying a problem-based learning (PBL) class model conducted with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Methods To this end, the language guidance subject, a major subject in children's studies at D University, was conducted as a non-face-to-face problem-based learning (PBL) class in the 2020-1 and 2021-1 semesters,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learner's lecture evaluation score and satisfaction evaluation score.
Result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non-face-to-face PBL class model, it was confirmed that the lecture evaluation score and satisfaction evaluation score improved overall by supplementing the problems found in the PBL class operation for the 2020-1 semester.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need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PBL in university classes to enhance capabilities such as motivation, deep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necessar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conducted PBL classes as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in a situation where face-to-face classes are impossible due to COVID-19,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model of university classes in the post-COVID er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PBL 적용 사례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1호 목차
- 학교급별 보건교사의 학교보건 실무역량과 전문직 태도
- 30년 이상 고경력 국⋅공립 유치원 교사의 교직 생애 경험의 의미
- 지혜의 개념화와 지혜 교육의 방법
- 한 초등학생의 1-4학년 일기글 사례의 연대기성 발달
- 중국의 비즈니스 광고와 공익 광고의 동성체계(Transitivity) 연구
- 초⋅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한 ADHD 성향 유아의 자연체험 효과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연구
- 집단 수퍼비전에서 초심 수퍼바이저의 경험과 인식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학생의 진로 발달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교육 방법
-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모형 적용 사례 분석
- 고혈압을 진단받은 중년여성의 노화인식이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분석 데이터 탐색 및 검증
- 2022년 초등학교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목표 이행을 위한 실기수업 및 교사 전문성 개선안
- 중년여성의 신명(神明)경험과 삶의 의미성 지각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 국내 집단상담 연구 동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연구동향 분석
- 고학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환경태도와 관광경험이 환경의식 및 환경보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 인천 학생의 생활실태 및 인식 비교
-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 유아 교육복지에 관한 온라인 기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중소기업 직장어린이집 설치⋅운영에 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구조적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중도탈락 연구동향 분석
- 부모의 성격 5요인, 스마트폰 중독,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학교적응 간 관계
-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I 교과서 듣기활동의 어휘적⋅구문적 특성
-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이상적인 간호조직문화 유형
-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A Corpus-Based Study on Historical Changes in the Usages of the Be/get Passives in American English
-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격수업 환경 분석
- 상담수련생의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영재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사례연구를 통한 지역사회 작은학교 활성화 방안
- 자기자비 글쓰기가 여자 대학(원)생의 신체 수용과 신체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외국인 유학생 내담자의 자살을 겪은 유학생 상담자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접근성 현황 분석
-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 고찰
- 현대물리 관련 도서를 읽은 후 중등 과학 영재 학생들이 작성한 인포그래픽의 특징 분석
- 영유아 특기적성교육의 실태와 영재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 2015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읽기 상위인지 수용 양상
- 시뮬레이션 간호교육에서 자가 및 동료주도 디브리핑의 임상수행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및 만족도 비교
-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매개 효과
- 호네트의 인정 이론에 기초한 긍정적 자아관 형성 및 인성교육의 방향 고찰
- 대학생의 재학 중 일경험과 직업가치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 고전극 교육 제재로서 우희의 의의와 교육 방안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SNS 중독경향성이 외모수용에 미치는 영향
- 영화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의 종단적 관계가 교사교육에 주는 함의
-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에 대한 인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