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에 대한 인식 연구
이용수 78
- 영문명
- A Study on the Gender Perception of Mothers with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고선영 전효정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1호, 801~8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국내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性)’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이후 성교육프로그램개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포괄적 성교육이 활성화되던 2001년부터 새로운 성교육 흐름이 도입되는 2022년까지 국내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찾아본 문헌은 총 7,614건으로 그 가운데 부모의 성인식 관련 8건의 문헌을 선정하여 고찰하였다. 관련 문헌은 초록, 연구설계 및 연구 방법, 연구 결과를 살펴보고 부모의 성인식 변화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문헌에서 미흡한 부분은 2022년 11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경남 K 지역 성교육 전문기관에 초등 5⋅6학년 자녀성교육을 신청한 어머니 20명의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여 2023년 1월 2일부터 3월 3일까지 자녀 학년에 따라 어머니 5명씩 4팀으로 선정하여 팀별로 2시간씩 2회 총 16시간 8회 인터뷰 면접을 진행하였다. 인터뷰 면접 내용은 어머니의 언어적 표현⋅몸짓⋅비언어적 표현⋅팀 분위기 등 두드러지거나 특색이 있는 경우 전부 포함하여 전사하였으며 관련 내용은 알아보기 쉽게 빈도분석과 워드 클라우드로 시각화하였다.
결과 국내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性)’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어머니의 사회적 인식과 개인적 인식에 따라 성인식이 달랐으며, 부정적 성인식과 부정적 성 태도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는 성교육에 대하여 피상적 이해로 그쳤으며, 자녀와 ‘성(性)’에 대한 원활한 상호작용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 문제 발생에 대한 인식 변화와 실제적 예방 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넷째, 친밀한 어머니⋅자녀 관계에도 ‘성’에 대한 의사소통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녀의 성적 호기심에 대한 현실적 대처가 부족하고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어머니에 대한 성교육이 어머니⋅자녀의 교량 역할로서 기능하며 자녀의 올바른 성에 대한 이해를 견인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결론 국내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에게 더 이상 ‘성’은 민감한 주제가 아닌, 일상에서 자녀와 나누며 성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교육이 되도록 체계적 방법과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며, 아버지에 대한 성인식이 자녀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경향도 매우 높으므로 아버지의 성인식을 알아보는 연구가 추후에 필요함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t is intended to be provided as basic data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sex” of mothers with children in fifth and six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in Korea and seek ways to develop sex education programs thereafter.
Methods From 2001 when comprehensive sex education was activated to 2022, when a new trend of sex education was introduced, a total of 7,614 documents were searched to find out the gender perception of mothers with 5th and 6th graders in Korea. Related literature examined abstracts, research design and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results, and looked at parents' satisfaction with changes in adulthood. Next, from November 1st to December 30th, 2022, 20 mothers who applied for child sex education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ere recruited to conduct a total of 16 hours and 8 interviews for 2 hours per team from January 2nd to March 3rd, 2023. Interview interviews were transcribed including all prominent or distinctive cases such as mother's verbal expression, body movement, non-verbal expression, and team atmosphere, and related contents were visualized with frequency analysis and word cloud for easy recognition.
Results The perception of “sex” of mothers with children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Korea was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adulthood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mother's social and personal perceptions, and negative perception and sexual attitude were shown. Second, mothers only had a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sex education, and it was found that smooth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about “sex” was difficult. Third, changes in perception of the occurrence of sex problems and the need for practical preventive education were highlighted. Fourth,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about “sex” was difficult even in close mother-child relationships. Fifth, it was found that realistic response to children's sexual curiosity was insufficient and difficult. Sixth, it was confirmed that sex education for mothers functions as a bridge for mothers and children and leads to an understanding of their children's proper sex.
Conclusions For mothers with fifth and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n Korea, “sex” should no longer be a sensitive topic, but systematic methods and measures should be sought to educate them to prevent sexual issues in their daily liv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1호 목차
- 학교급별 보건교사의 학교보건 실무역량과 전문직 태도
- 30년 이상 고경력 국⋅공립 유치원 교사의 교직 생애 경험의 의미
- 지혜의 개념화와 지혜 교육의 방법
- 한 초등학생의 1-4학년 일기글 사례의 연대기성 발달
- 중국의 비즈니스 광고와 공익 광고의 동성체계(Transitivity) 연구
- 초⋅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한 ADHD 성향 유아의 자연체험 효과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연구
- 집단 수퍼비전에서 초심 수퍼바이저의 경험과 인식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학생의 진로 발달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교육 방법
-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모형 적용 사례 분석
- 고혈압을 진단받은 중년여성의 노화인식이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분석 데이터 탐색 및 검증
- 2022년 초등학교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목표 이행을 위한 실기수업 및 교사 전문성 개선안
- 중년여성의 신명(神明)경험과 삶의 의미성 지각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 국내 집단상담 연구 동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연구동향 분석
- 고학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환경태도와 관광경험이 환경의식 및 환경보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 인천 학생의 생활실태 및 인식 비교
-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 유아 교육복지에 관한 온라인 기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중소기업 직장어린이집 설치⋅운영에 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구조적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중도탈락 연구동향 분석
- 부모의 성격 5요인, 스마트폰 중독,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학교적응 간 관계
-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I 교과서 듣기활동의 어휘적⋅구문적 특성
-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이상적인 간호조직문화 유형
-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A Corpus-Based Study on Historical Changes in the Usages of the Be/get Passives in American English
-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격수업 환경 분석
- 상담수련생의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영재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사례연구를 통한 지역사회 작은학교 활성화 방안
- 자기자비 글쓰기가 여자 대학(원)생의 신체 수용과 신체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외국인 유학생 내담자의 자살을 겪은 유학생 상담자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접근성 현황 분석
-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 고찰
- 현대물리 관련 도서를 읽은 후 중등 과학 영재 학생들이 작성한 인포그래픽의 특징 분석
- 영유아 특기적성교육의 실태와 영재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 2015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읽기 상위인지 수용 양상
- 시뮬레이션 간호교육에서 자가 및 동료주도 디브리핑의 임상수행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및 만족도 비교
-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매개 효과
- 호네트의 인정 이론에 기초한 긍정적 자아관 형성 및 인성교육의 방향 고찰
- 대학생의 재학 중 일경험과 직업가치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 고전극 교육 제재로서 우희의 의의와 교육 방안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SNS 중독경향성이 외모수용에 미치는 영향
- 영화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의 종단적 관계가 교사교육에 주는 함의
-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에 대한 인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