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rategy for Community Small-school Activation through a Case Study: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small - school teachers in Gyeongsangnam-do provi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송승준 위미나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1호, 159~18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15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농산어촌 지역은 학령인구의 감소와 도시 학교로의 학생 이동에 따라 학교 존립까지 걱정해야 하는 실정이다. 원도심 지역의 작은학교 또한 폐교가 발생하고 있다. 작은학교의 구체적인 발생 이유가 자연적인 인구감소 추세 때문인지, 산업 여건의 변화에 따른 이촌현상 때문인지, 지역의 교육적 여건이 열악하여 주민이 떠나는 것이지, 아니면 생계를 유지할 수 없어 떠나는지 등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작은학교 활성화 방안은 학교와 지역사회의 여건과 상황에 맞춰서 다르게 접근되어야 한다. 또한 현재 작은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의 학교 만족도, 학생과 학부모의 교육 만족도를 높이는 것도 작은학교 활성화에 있어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작은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작은학교에 대한 인식과 경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작은학교의 교육적 가치와 장점을 최대한 살려 지역에 적합한 작은학교가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먼저 학교의 당해연도 운영계획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작은학교에 대하여 작은학교에 대한 인식과 경험, 의견을 조사하였다. 실제 다양한 작은학교의 사정을 파악하고자 연구 대상 학교를 선정할 때 도시형(행정구역상 시이지만 면에 소재한 학교 포함)과 농촌형으로 구분하고, 학교 규모도 20명 미만에서 약 180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규모로 구분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6개 학교의 교사를 대상으로 1차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심층적으로 알고 싶은 질문을 중심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6개교 전체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조사에 응한 교사는 전체 교사 66명 중 47명으로 약 72.3%의 응답률을 보였다. 응답자 47명 중 9명은 관리자였다. 재직 경력은 15년 미만이 55%, 15년 이상 25년 미만이 21%, 25년 이상이 24%를 차지하였다.
결과 초등학교 시기의 교육은 학생들의 발달 단계를 고려할 때, 실험과 관찰, 놀이 등 직접 몸으로 느끼고 조작해 볼 수 있는 활동이 필요하다. 이런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으며, 이런 활동을 할 때, 학습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날 수 있다. 작은학교는 정규 수업의 교육적 효과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과후 수업에서도 학부모들의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대다수의 연구 대상 학교에서 모든 방과후 수업이 학생들에게 무상으로 지원되고 있었으며, 기악, 학습, 스포츠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고 있었다. 이는 학교급에 얽매이지 않는 학년제 개념의 교육과정 운영 가능성을 염두에 두는 것인데, 향후 더욱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 작은학교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먼저, 수업과 교육과정의 내실화 및 기초학력 강화 등이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작은학교에서의 교사들의 업무 부담과 수업에 전념하기 어려운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분석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 간의 교류 촉진과 학교급 간 연계(초-중-고)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넷째, 지역의 문제를 극복하고 학교와 지역의 상생을 위해서는 지역교육 공동체(지역교육 생태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단위학교 위주에서 지역교육 공동체 형성으로 교육 투자의 범위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Agricultural, mountainous and fishing villages realistically have to worry about the existence of schools due to the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movement of students to urban schools. Small-schools in the old city center are also closing down. The specific reasons for the occurrence of small-schools could be so different that they might include whether the reason is because of the natural trend of population decline, the migration phenomenon caused by changes in industrial conditions, poor educational conditions in the region which cause residents to leave, or leaving because they couldn't make ends meet. Therefore, the small-school activation strategy should be approach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the school and community. In addition, increasing the school satisfaction of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small-schools and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students and parents can be a major factor in small-school activation.
Methods To this end,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operation plan and curriculum of the school for the year, and surveyed teachers' perceptions, experiences, and opinions about small-school. To grasp the actual circumstances of various small-schools, when selecting schools for the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urban type (including schools located in myeon although they belong to city districts in terms of administrative division) and rural type, and the school size was also divided into various sizes ranging from less than 20 to about 180 students. The first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teachers of the six selected schools, an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questions to know in depth. The survey was conducted on all teachers of six schools, and 47 out of 66 teacher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showed a response rate of about 72.3%. Nine out of 47 respondents were managers.
Results When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stage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e activities that can be directly felt and manipulated with body such as experimentation, observation, and play, etc. are needed. Through these activities, students' creativity can be increased, and when doing these activities, the learning effect can be higher. Small-school showed high satisfaction of parents not only in the educational effects of regular classes but also in various after-school classes. This is to keep in mind the possibility of operating a curriculum based on the concept of a grade system that is not tied to the school level, and it will need to be more activated in the future.
Conclusions In order for small-schools to be activated, classes, education, internalization of justice, and strengthening of basic academic skills should be prece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analyze policies to improve the workload of teachers in small-schools and the environment in which it is difficult to concentrate on teaching. Third,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promotion of exchange between teachers and the connection between school levels (elementary-middle-high school). Fourth, a local education community (local education eco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overcome regional problems and coexist with schools and reg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작은학교 상황과 교사들의 작은학교에 대한 인식과 경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11호 목차
- 학교급별 보건교사의 학교보건 실무역량과 전문직 태도
- 30년 이상 고경력 국⋅공립 유치원 교사의 교직 생애 경험의 의미
- 지혜의 개념화와 지혜 교육의 방법
- 한 초등학생의 1-4학년 일기글 사례의 연대기성 발달
- 중국의 비즈니스 광고와 공익 광고의 동성체계(Transitivity) 연구
- 초⋅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평가를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한 ADHD 성향 유아의 자연체험 효과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연구
- 집단 수퍼비전에서 초심 수퍼바이저의 경험과 인식
- 과학기술특성화대학 학생의 진로 발달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상위인지를 활용한 시 교육 방법
-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모형 적용 사례 분석
- 고혈압을 진단받은 중년여성의 노화인식이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러닝 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학습분석 데이터 탐색 및 검증
- 2022년 초등학교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목표 이행을 위한 실기수업 및 교사 전문성 개선안
- 중년여성의 신명(神明)경험과 삶의 의미성 지각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 국내 집단상담 연구 동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연구동향 분석
- 고학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환경태도와 관광경험이 환경의식 및 환경보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 인천 학생의 생활실태 및 인식 비교
-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재교육 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 유아 교육복지에 관한 온라인 기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중소기업 직장어린이집 설치⋅운영에 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구조적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중도탈락 연구동향 분석
- 부모의 성격 5요인, 스마트폰 중독, 초등학생의 미디어 기기 중독, 학교적응 간 관계
- 2015 개정 교육과정 영어I 교과서 듣기활동의 어휘적⋅구문적 특성
-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이상적인 간호조직문화 유형
- 유아 미술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A Corpus-Based Study on Historical Changes in the Usages of the Be/get Passives in American English
-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에서 고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격수업 환경 분석
- 상담수련생의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영재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사례연구를 통한 지역사회 작은학교 활성화 방안
- 자기자비 글쓰기가 여자 대학(원)생의 신체 수용과 신체 수치심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외국인 유학생 내담자의 자살을 겪은 유학생 상담자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접근성 현황 분석
-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론 고찰
- 현대물리 관련 도서를 읽은 후 중등 과학 영재 학생들이 작성한 인포그래픽의 특징 분석
- 영유아 특기적성교육의 실태와 영재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 2015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읽기 상위인지 수용 양상
- 시뮬레이션 간호교육에서 자가 및 동료주도 디브리핑의 임상수행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효능감 및 만족도 비교
-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매개 효과
- 호네트의 인정 이론에 기초한 긍정적 자아관 형성 및 인성교육의 방향 고찰
- 대학생의 재학 중 일경험과 직업가치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반추,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 고전극 교육 제재로서 우희의 의의와 교육 방안
-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SNS 중독경향성이 외모수용에 미치는 영향
- 영화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초등학생의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의 종단적 관계가 교사교육에 주는 함의
- 초등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성에 대한 인식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