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인 학부생의 한국어 말하기 불안 요인 연구

이용수 1707

영문명
A Study on the Factors of Korean-Speaking Anxiety of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전형길(Jeon, Hyeoung-gil) 장미정(Jang, Mi-j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2호, 89~11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학부생의 한국어 말하기 불안의 양상을 조사하고, 각 불안 요인들이 학습자 변인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피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에 소재한 A대학의 학부생 164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말하기 불안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이들의 한국어 말하기 불안은 중앙값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또한 한국어 말하기 불안의 하위 요인은 제2언어교실 불안, 자기주도성 불안, 대인관계 불안, 교사 불안, 경쟁 불안, 평가 불안으로 나타났다. 숙달도별로 학습자의 한국어 말하기 불안의 정도를 비교해 보았을 때,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한국어 말하기 불안의 하위 요인은 대체로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초급에서 고급으로 숙달도가 상승한다고 하더라도 대인관계 불안을 제외한 다른 불안은 감소하지 않았으며, 고급 학습자의 경우도 평가에 대해 민감하고 불안을 느끼고 있었다. 중국인 학부생에게 있어 ‘교실-교사-경쟁’의 구도는 한국어 말하기 불안을 유발하는 핵심 구도였으며, 교실 현장에서 학습자는 불안에 대처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자기주도성 전략을 선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실 혹은 한국어로 강의되는 교실 상황에서 중국인 학부생들이 느끼는 말하기 불안이 부정적 감정이 아닌 학습에 촉진적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Korean-speaking anxiety of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anxiety factor according to learner variables. In this study, we surveyed 164 undergraduate students from A University in Daejeon about the Korean-speaking anxiety of foreign students.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Korean-speaking anxiety of foreign undergraduates was higher than the median. Furthermore, the subfactors of Korean-speaking anxiety were secondary language classroom anxiety, self-directed anxiety, interpersonal anxiety, teacher anxiety, competitive anxiety, and evaluation anxiety. We observed that when comparing the degree of Korean-speaking anxiety with the level of proficiency, the subfactors of Korean-speaking anxiety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th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In other words, even if the proficiency rose from beginner to advanced, other anxieties did not decrease except interpersonal anxiety, and even advanced learners were sensitive and anxious about evaluation. For Chinese undergraduates, the composition of Classroom-Teacher-Competition was the core component that causes Korean-speaking anxiety. In addition, in the classroom, learners actively chose self-directed strategies to cope with anxiety. Thus,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peaking anxiety felt by Chinese undergraduates in Korean classrooms or classrooms taught in Korean could play a facilitating role in learning rather than negative emo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형길(Jeon, Hyeoung-gil),장미정(Jang, Mi-jung). (2020).중국인 학부생의 한국어 말하기 불안 요인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2), 89-110

MLA

전형길(Jeon, Hyeoung-gil),장미정(Jang, Mi-jung). "중국인 학부생의 한국어 말하기 불안 요인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2(2020): 89-1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