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소외계층 영재학생 대상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자의 학습양식 선호도 차이 분석

이용수 457

영문명
Analysis of Differences of Learning Styles Preference in Online Learning for Underprivileged Gifted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지선(Kim Jiseon) 류지영(Ryu Jiyo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2호, 481~49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소외계층 영재학생들을 위한 온라인 교육에서 학습자들의 학습선호도 차이를 분석하여 맞춤형 온라인 교육을 지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소외계층 초중등 학생들의 온라인 학습에서 학생 개인 변인에 따른 학습양식 선호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변인은 학교급과 성별, 영재교육 경험 여부, 소외계층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참가 학생은 초등학생이 74명, 중학생 38명으로 총 112명이 참가하였으며, 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10차시 수학, 과학, 정보 분야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였다. 학습양식은 학습자와 교수자의 상호관계에 초점을 둔 Grasha-Reichmann (1974)의 학습양식을 조은순과 김인숙(2007)이 수정한 학습양식을 사용하였다. 수정한 검사도구를 통해 참가 학생대상으로 학습양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소외계층 학생들의 변인에 따른 학습양식의 선호도 차이를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한 결과, 학교급에 따라서는 유의수준 .05에서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협동학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수준 .05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자기주도학습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교육경험과 소외계층 유형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학습양식간 상관관계를 Pearson의 R계수로 분석한 결과 협동학습 선호형과 자기주도학습 선호형에서 정적상관(r=.739, p<.01)관계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소외계층 대상 온라인 교육에서 맞춤형 지원을 위해서는 변인에 따른 차별화된 학습지원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urpose to support customized online education by analyzing differences in learners preference for learning in online education for underprivileged gifted students. For the purpose, the preferred learning style in online learning by the underprivileged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was analyzed for differences in preference of the learning style according to the student individual variables. Individual variables for students were divided into school-level, gender, gifted education experience, and types of underprivileged people. A total of 112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 74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38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students were given online education on 10 subjects. The learning style uses Grasha-Reichmann s learning style, which focuses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and professors, modified by Cho Eun-soon and Kim In-sook.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preference of learning styles based on the variables of underprivileged student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fer collaborative learning to middle school students at a significant level of 05. Girls than boys in some significance level. 05 on gender shown to prefer the self-directed learning.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 experience and types of underprivileged peopl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styles by Pearson s R coefficien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operative learning prefer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preference. Research shows that customized support for online education for the underprivileged requires differentiated learning support based on variabl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선(Kim Jiseon),류지영(Ryu Jiyoung). (2020).소외계층 영재학생 대상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자의 학습양식 선호도 차이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2), 481-497

MLA

김지선(Kim Jiseon),류지영(Ryu Jiyoung). "소외계층 영재학생 대상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자의 학습양식 선호도 차이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2(2020): 481-4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