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 협동활동에 대한 국내 학술지 연구 동향

이용수 299

영문명
Domestic research trends for collaborative activities of young childre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은미(Lee, Eunmi) 정은희(Jung, Eunh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0호, 907~93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0.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육에 있어서 협동활동이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어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유아교육 학계에서도 많은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아 협동 활동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고찰하므로 효과적인 유아 협동활동에 대한 방향 모색과 나아갈 방향을 살펴보고 한다. 이를 위해 처음 연구가 시작된 1991년부터 현 재 2018년 6월까지의 국내학술지 총 227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준거는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유형이며, 분석결과는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연구 문제에 대한 결과는 첫째, 시기별 동향은 2001년부터 연구가 5배 이상으로 증가하면서 현재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대상별 동향은 유아가 68.7%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교사, 기타, 특수아와 문헌, 기관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적연구가 77.1%로 가장 높았고, 질적연구, 문헌연구,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형별 동향은 교수방법이 76.2%로 가장 높았고, 인식 및 실태, 관련변인모색,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개발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유아교육에 있어서 협동활동에 대한 철학적 고찰이 깊이 있게 연구되어져야 한다. 유아의 협동활동 연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본질과 가치를 바르게 인식 될 수 있도록 기초연구가 심도 있게 연구 되어져야 한다. 둘째, 협동활동을 구조화할 수 있는 교사나 원장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져 교육현장에서 제대로 구현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체계적인 협동활동의 교육적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Cooperative activities in education have a very positive effect, and studi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and many studies have been report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cadem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the effective cooperative activities of infants and analyze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To do this, we selected 227 Korean journals from 1991, the first time the research started, to June, 2018. nalysis criteria were research time, study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type, and analysis results were calculated as frequency and percentage. irst, the trends in the study period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2001 as the number of researches has increased more than five times. Second, the trends by subject were highest in infants (68.7%), followed by teachers, others, special children, literature, and institutions. Third,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highest at 77.1%,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nd others. Fourth, trends by type were the highest with 76.2% of teaching methods, followed by awareness and actual condition, seeking related variables, followed by curriculum and program developmen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hilosophical considerations about cooperative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studied in depth. Although research on cooperative activities of young children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basic studies should be studied in depth so that the essence and value can be correctly recognized. Second, it is necessary to make a wide study on teachers and directors who are able to structure collaborative activities so that they can be implemented properly in the education field. Third, an educational system of systematic cooperative activities should be establish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미(Lee, Eunmi),정은희(Jung, Eunhee). (2018).유아 협동활동에 대한 국내 학술지 연구 동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20), 907-931

MLA

이은미(Lee, Eunmi),정은희(Jung, Eunhee). "유아 협동활동에 대한 국내 학술지 연구 동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0(2018): 907-9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