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판 다차원적 공허감 척도(K-MSES)의 타당화

이용수 59

영문명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ultidimensional Sense Emptiness Scale (K-MS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소민(So-Min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4호, 745~756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Ermis-Demirtas, Smith 그리고 Watson(2022)이 개발한 다차원적 공허감 척도(MSES)를한국판으로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국의 성인 300명을 대상으로 2024년 2월 19일부터 24일까지 예비척도를 설문자료로 설문을 실시하여 MSES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전국의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2024년 3월 1일부터 10일까지 본척도의 설문자료를 설문을 실시하여 확인적요인분석을 확인하였다. 이 때에, 예비조사의 참여인원이 본 조사에도 포함되었다. 결과 이를 통해 원척도와 같이 한국판 다차원적 공허감 척도(K-MSES)는 총 13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내면의 공허함(5문항), 관계성의 부재(5문항), 무의미함(3문항) 3개의 하위요인을 확인하였다. 먼저 한국판 다차원적 공허감 척도(K-MSES)와 자살사고 척도(K-USSIS)의 상관관계로 수렴타당도를 확인하였고, 또한 한국판 다차원적 공허감 척도(K-MSES)와 한국판 희망척도(K-UHS)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결론 위 결과들은 한국판 다차원적 공허감 척도(K-MSES)가 개인의 공허감에 대한 인식을 측정해볼 수 있는 유효한 도구임을 증명하였다. 끝으로 본연구에 대한 의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Multidimensional Sense Emptiness Scale (MSES) developed by Ermis-Demirtas, Smith, and Watson (2022). Methods For this purpos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MSES preliminary scale as questionnaire data targeting 300 adults nationwide,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validity were confirmed for 500 adults nationwide. Results Through this, like the original scale, the Korean version of the Multidimensional Sense Emptiness Scale (K-MSES) consisted of a total of 13 questions, with three subfactors: inner emptiness (5 questions), absence of relationships (5 questions), and meaninglessness (3 questions). was confirmed. First, convergent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orean version of the Multidimensional Sense Emptiness Scale (K-MSES) and the Suicidal Ideation Scale (K-USSIS), and also the Korean version of the Multidimensional Sense Emptiness Scale (K-MSES) and the Korean Hope Scale (K-UHS). Discriminant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with. Conclusions The above results prov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Multidimensional Sense Emptiness Scale (K-MSES) is a valid tool to measure an individual's perception of emptiness.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follow-up research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소민(So-Min Lee). (2024).한국판 다차원적 공허감 척도(K-MSES)의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4), 745-756

MLA

이소민(So-Min Lee). "한국판 다차원적 공허감 척도(K-MSES)의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4(2024): 745-7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