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트남에서의 한국어교육 실천 양상 연구
이용수 96
- 영문명
- The Stud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practices in Vietnam: Focusing on the Practi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t Hanoi Thang Long Univers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은진(Eun Jin Park) TRAN THI BICH PHU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4호, 43~6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국내외 연구자의 협력과 소통 속에서 베트남에서의 한국어교육의 실천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베트남 최초의 사립대학인 탕롱대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교육의 양상을 살피고 그것이 한국어교육에서 갖는 시사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단순히 해외 한국어 교육의 양상을 타자의 관점에서 기술하는 데 그치지 않고, 두 나라의 연구자가 이를 협력적 관점에서 함께 검토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국내외 한국어 교육 현장을 실질적으로 개선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직접 베트남 탕롱대학교 현지의 교육 실천양상을 조사하는 현장연구방법론을 통해 양상을 파악한 후 그 양상을 기술하였으며, 이를 국내외 연구자의 소통과 협력 속에서 검토하여, 교육에 있어서의 개선점이나 보완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결과 탕롱대학교 한국어 교육과정의 특징은 한국어 학습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문화적 자본을 주요하게 다룬다는 점과, 최상위 수준의 수업으로 통⋅번역 수업을 두어 학습자의 모국어와 목표 언어를 두루 활용할 수 있는 글로벌 인재 양성을 교육의 목표로 삼고 있다는 점에 있다. 탕롱대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최상위 수준의 수업인 <번역 3> 수업을 중심으로 교재, 교수학습의 실제 양상을 고찰한 결과, 소통 속에서 점진적으로 번역을 완성해나가는 협동학습방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실제 수업의 국면에서도 한국어 학습자의 자발적인 학습의지와 역량 등을 존중하는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 이러한 베트남 탕롱대학교의 한국어 교육 실천 양상은 한국어 교육의 목표 설정과 교수학습에서의 실천 방안과 관련한 여러 가지 논의거리를 제공함으로서 한국어 교육에서의 학습자 중심주의의 실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actice aspec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 through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rs. We sought to examine the aspec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eing conducted at Thang Long University, the first private university in Vietnam, and identify its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Rather than simply describing the aspec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broad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s, researchers from both countries examine this together from a collaborative perspective to ultimately seek implications that can contribute to substantially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cene at home and abroad.
Methods Rather than simply describing the aspec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broad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s, researchers from the two countries examine this together from a collaborative perspective to ultimately seek implications that can contribute to substantially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at home and abroad.
Results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re that it mainly deals with the cultural capital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already have, and that it provides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classes as the highest level classes to foster global talent who can utilize both the learner's native language and the target language. The point is that it is aimed at .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ctual aspects of textbooks and teaching and learning, focusing on , the highest level class held at Thang Long University, it was found that this is being achieved through a cooperative learning method that gradually completes translation through communication. We were able to discover, and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aspect of respecting Korean language learners' voluntary learning will and capabilities even in the actual class.
Conclusions This aspec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actice at Thang Long University in Vietnam provides various topics for discussion regarding the goal setting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action plans in teaching and learning,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realization of learner-centerednes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목차
Ⅰ. 문제제기
Ⅱ.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육 실천에 대한 접근 방법
Ⅲ. 하노이 탕롱대학교의 한국어 교육 실천 양상
Ⅳ. 국내외 연구자의 상호 검토를 통한 시사점 도출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4호 목차
- 임파워링리더십과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을 통한 성격5요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청소년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을 위한 온라인 프로젝트학습(PjBL)의 만족도와 태도가 차세대영재기업인 핵심역량 및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에서의 한국어교육 실천 양상 연구
- Relationships between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in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 역량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수퍼비전 기대 차이
- 거부민감성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초등 과학과 교수학습과정에서 학습자 유형에 따른 시각자료 선택의 신경과학적 중요성과 교육적 제언
- 한국과 중국 교사 자격제도 비교연구
- 유아 자기조절력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 행복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 학교 주도적 교육과정 혁신을 지원하는 국가
- 대학 핵심 역량기반 혁신교수법 적용 강의 효과 분석
-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이 요통 노인환자의 골반움직임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 비교과 프로그램을 참여한 전문대학생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와 프로그램 만족도가 평생교육 학습 지속 의향에 미치는 영향
- 무용학과 대학생의 창의적 마인드셋과 과제수행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자기개념의 매개효과
- 청소년이 지각하는 모의 심리적 통제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에 대한 매개효과 연구
- 뉴스에 나타난 지역 간 교육격차 경향과 인구감소지역과의 비교
- 감성지능이 대학생 학습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수준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글쓰기 지도 방안
- B대학 교수자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 체계 개발
- 서울 소재 주요 대학교의 금관악기 입시곡 분석 연구
- 학습과제특성이 대학신입생의 영어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 성향점수매칭 기법을 이용한 PISA와 TIMSS의 수학 영역별 성취도 분석
- 국내 도덕과 교육 학계의 공감 연구 동향 분석
- 드론의 자율주행기술을 활용한 고등학생 대상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 학생활동중심 수업 참여 경험 및 선호도 분석 연구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예비영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한 전공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 전공자율선택제 도입에 따른 대학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방안 연구
- 코로나(COVID-19) 이전과 이후의 사교육 이용 과목의 변화 탐색
-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 대상 학습자 중심 수업 방법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 웹기반 PBL 환경에서 복잡한 정구조 문제해결을 지원하는 스캐폴딩 전략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 QR코드 학습과 동영상 자가학습 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반한 2015 및 2022 개정 과학과 공통교육과정의 생명 영역 성취기준 분석
- 초등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국악수업 개발과 2022 개정 교육과정 기반의 교과 연계 가능성 모색
- 교육 상담에서의 의사소통 중심 보드게임 활용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신규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지식과 수행자신감이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저경력 초등 교사의 육상부 운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공업계열 특성화고의 제조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중장년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국내⋅외 에듀테크의 연구동향 분석
- 완전 숙달 학습 개념 기반 온라인 문제 다변화 수시 시험 프로그램을 통한 일반물리학의 학업 성취도 향상
- 한 상담자의 자기성찰을 통한 치유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2022 개정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교과역량 함양을 위한 클래식 음악 교육내용 탐색
- 초보 미술치료사의 직업적응 경험과 슈퍼비전 교육요구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예술로 읽는 인류세의 메시지
-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 정서인식명확성, 심리적 안녕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 유아 대상 지속가능발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성인 영어 학습자의 외재적⋅내재적 학습 요인이 영어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수용전념치료 이론을 기반으로 한 불안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예비교사 비대면 모의 수업 실습을 위한 사범대학 실시간 온라인 수업 교과목 실행연구
- 한국판 다차원적 공허감 척도(K-MSES)의 타당화
- 한국과 일본 예비 유아교사의 과거 운동경험에 따른 유아체육 및 건강교육에 대한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이공계 고급인재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 한국 부모의 자녀 교육 불안의 계층화: 공정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교육과정의 교과 편제와 내용조직 비교 연구: 독일의 교과 편제와 역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