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반한 2015 및 2022 개정 과학과 공통교육과정의 생명 영역 성취기준 분석
이용수 92
- 영문명
- Comparison Analysis of Life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and 2022 Revised Common Education Science Curriculum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진(Hyun Jin Kim) 신영준(Youngjoon Sh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4호, 207~21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하여 2015 및 2022 개정 과학과 공통교육과정의 생명 영역 성취기준을 비교⋅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방법 연구를 위하여 2015 및 2022 개정 교육과정 생명 영역의 성취기준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성취기준이 지시하는 목표가 2가지 이상인 경우 이를 복문으로 분류하였다. 복문 분류 후 추출된 2015와 2022 개정 교육과정 생명 영역 성취기준 각각 65개와 60개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목표 분석의 틀을 기준으로 예비 분석한 후 5인의 연구자와 일치도를 검증한 후 실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2015 및 2022 개정 공통교육과정 생명 영역의 성취기준 모두 지식 차원의 분류 결과 사실적 지식이 가장 많았으며 메타인지 지식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은 없었다. 인지과정 차원의 분류 결과 ‘이해하기’에 해당하는 지식이 가장 많았으며 ‘분석하기’, ‘평가하기’, ‘창안하기’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이 적었다. 학년군별로 비교한 결과 3~4학년군에서는 교육과정 개정이 진행되며 사실적 지식이 증가하고 절차적 지식이 감소한 반면 5~6학년군에서는 사실적 지식이 감소하고 절차적 지식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2022개정 공통교육과정을 학년군별로 분석한 결과 모든 학년군에서 사실적 지식과 ‘이해하기’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이 가장 많으며 ‘기억하기’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은 학년군이 올라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성취기준이 특정 차원에 편중되어 있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았다. 성취기준이 다양한 지식과 인지과정 차원을 반영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또한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교실 현장에서 구현하는 교사가 다양한 차원의 지식과 인지과정이 포함되도록 수업을 설계하여 학생들의 전인적인 성장에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life domain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and 2022 revised science and common curriculum based on Bloom's new educational goal classification system.
Methods Standards of the life area of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if there were two or more goals indicated by the achievement standards, they were classified as double texts. 65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life domai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60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After preliminary analysis based on the target analysis framework, the agreement was verified with five researchers, and the actual analysis was conducted, and conclusions were drawn based on the resul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classification of knowledge dimensions in both the 2015 and 2022 revised common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life area, factual knowledge was the most common, and there were no achievement standards corresponding to metacognitive knowledge.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at the cognitive process level, the knowledge corresponding to ‘understanding.’ was the most,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corresponding to ‘analyzing.’, ‘evaluating’, and ‘inventing’ were small. As a result of comparison by grade group, it was found that in the 3rd and 4th grade groups, factual knowledge increased and procedural knowledge decreased as the curriculum was revised, while in the 5th and 6th grade groups, factual knowledge decreased and procedural knowledge increas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2022 revised common curriculum by grade group, the achievement standards corresponding to factu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re the most common in all grade group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corresponding to ‘remembering’ tend to increase as the grade group increases. It seemed.
Conclusions The problem that achievement standards are concentrated in certain dimensions has still not been improved.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be intentionally structured to reflect diverse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dimensions. In addition, teachers who set learning goals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and implement them in the classroom need to design classes to include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at various levels to help students develop holisticall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4호 목차
- 임파워링리더십과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을 통한 성격5요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청소년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을 위한 온라인 프로젝트학습(PjBL)의 만족도와 태도가 차세대영재기업인 핵심역량 및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에서의 한국어교육 실천 양상 연구
- Relationships between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in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 역량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수퍼비전 기대 차이
- 거부민감성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초등 과학과 교수학습과정에서 학습자 유형에 따른 시각자료 선택의 신경과학적 중요성과 교육적 제언
- 한국과 중국 교사 자격제도 비교연구
- 유아 자기조절력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 행복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 학교 주도적 교육과정 혁신을 지원하는 국가
- 대학 핵심 역량기반 혁신교수법 적용 강의 효과 분석
-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이 요통 노인환자의 골반움직임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 비교과 프로그램을 참여한 전문대학생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와 프로그램 만족도가 평생교육 학습 지속 의향에 미치는 영향
- 무용학과 대학생의 창의적 마인드셋과 과제수행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자기개념의 매개효과
- 청소년이 지각하는 모의 심리적 통제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에 대한 매개효과 연구
- 뉴스에 나타난 지역 간 교육격차 경향과 인구감소지역과의 비교
- 감성지능이 대학생 학습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수준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글쓰기 지도 방안
- B대학 교수자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 체계 개발
- 서울 소재 주요 대학교의 금관악기 입시곡 분석 연구
- 학습과제특성이 대학신입생의 영어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 성향점수매칭 기법을 이용한 PISA와 TIMSS의 수학 영역별 성취도 분석
- 국내 도덕과 교육 학계의 공감 연구 동향 분석
- 드론의 자율주행기술을 활용한 고등학생 대상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 학생활동중심 수업 참여 경험 및 선호도 분석 연구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예비영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한 전공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 전공자율선택제 도입에 따른 대학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방안 연구
- 코로나(COVID-19) 이전과 이후의 사교육 이용 과목의 변화 탐색
-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 대상 학습자 중심 수업 방법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 웹기반 PBL 환경에서 복잡한 정구조 문제해결을 지원하는 스캐폴딩 전략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 QR코드 학습과 동영상 자가학습 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반한 2015 및 2022 개정 과학과 공통교육과정의 생명 영역 성취기준 분석
- 초등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국악수업 개발과 2022 개정 교육과정 기반의 교과 연계 가능성 모색
- 교육 상담에서의 의사소통 중심 보드게임 활용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신규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지식과 수행자신감이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저경력 초등 교사의 육상부 운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공업계열 특성화고의 제조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중장년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국내⋅외 에듀테크의 연구동향 분석
- 완전 숙달 학습 개념 기반 온라인 문제 다변화 수시 시험 프로그램을 통한 일반물리학의 학업 성취도 향상
- 한 상담자의 자기성찰을 통한 치유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2022 개정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교과역량 함양을 위한 클래식 음악 교육내용 탐색
- 초보 미술치료사의 직업적응 경험과 슈퍼비전 교육요구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예술로 읽는 인류세의 메시지
-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 정서인식명확성, 심리적 안녕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 유아 대상 지속가능발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성인 영어 학습자의 외재적⋅내재적 학습 요인이 영어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수용전념치료 이론을 기반으로 한 불안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예비교사 비대면 모의 수업 실습을 위한 사범대학 실시간 온라인 수업 교과목 실행연구
- 한국판 다차원적 공허감 척도(K-MSES)의 타당화
- 한국과 일본 예비 유아교사의 과거 운동경험에 따른 유아체육 및 건강교육에 대한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자유의지 논쟁의 지형과 칸트의 위치
- 마이클 핸드의 계약주의적 도덕교육론: 비판적 고찰
- 배럿의 ‘구성된 감정이론’의 도덕 상대주의 문제에 관한 연구: 초등 도덕교육적 시사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