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교사 비대면 모의 수업 실습을 위한 사범대학 실시간 온라인 수업 교과목 실행연구
이용수 60
- 영문명
- An Action Research on Real-time Online Course at the College of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Non-face-to-face Simulated Instruction Practi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민(Jungmin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4호, 667~69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예비교사의 모의 수업이 수행되는 교과목 수업 개발과 운영의 실천 경험을 통해 현장 개선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2020학년도 교과교육영역 과목의 수업에서 비대면 수업의 문제점 및 원인을 탐색하고, 모색한 개선대안을 2021학년도 2학기「교육학교과교육과정」교과 수업에서 실행하는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 비대면 수업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대안을 실천하고, 이를 통해 예비교사의 비대면 수업 역량을 증진하였다. 첫째, 비대면 학습자의 자기학습관리 능력 미흡과 수업집중 저하의 문제를 심리적 공존감 형성과 학습단위 축소로 개선하였고, 둘째, 수업 상호작용 제한을 다양한 매체 활용과 상호작용 범위 축소로 개선하였다. 셋째, 학생 간 비공식적 상호작용을 메타버스를 통해, 수업연구공동체 상호작용을 LMS를 통해 활성화했고, 넷째, 교수와 학생 사이의 지연된 상호작용과 학생들의 의사소통 불안, 팀 과제 피드백의 한계는 사회적 실재감 조성과 수업 내 피드백 시간 확보로 개선하였다. 다섯째,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중등학교 현장을 연계하고 현장감을 조성하여 현장과 유사한 실습 환경을 구현하였다.
결론 비대면 수업의 한계를 다양한 매체 활용으로 극복한 개선실천을 제공하였으며, 학교 경계를 확장한 교육자원 공유 방안으로 비대면 수업의 가능성과 미래 교육 역량으로서의 예비교사의 비대면 수업 역량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field through the practical experience of developing and operating a course in which simulated instruction practices of pre-service teachers are conducted in a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Methods An action research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roblems and causes of non-face-to-face classes in the 2020 course classes, and the improvement alternatives sought were implemented in the 2021 academic year 2nd semester “Curriculum of Educational Studies as Subject Matter” course classes.
Results The improvement alternative to the problems of non-face-to-face classes was practiced, and through this, the non-face-to-face teaching capabilities of pre-service teachers were improved. First, the problem of non-face-to-face learners' lack of self-learning management ability and poor class concentration was improved by forming a sense of psychological coexistence and reducing learning units. Second, the limitation of class interaction was improved by using various media and reducing the range of interactions. Third, informal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and the class research community were activated through the metaverse and LMS. Fourth, delayed interaction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students' communication anxiety, and the limitations of team task feedback were improved by creating a sense of social presence and securing feedback time in class. Fifth, a practical environment similar to the field was implemented by linking the secondary school field and creating a sense of realism using various media.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d an improvement practice that overcame the limitations of non-face-to-face classes through the use of various media. And the possibility of non-face-to-face instruction was suggested as a way to share educational resources that expanded the school boundaries, and the importance of the non-face-to-face teaching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as a future educational competency was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4호 목차
- 임파워링리더십과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을 통한 성격5요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청소년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을 위한 온라인 프로젝트학습(PjBL)의 만족도와 태도가 차세대영재기업인 핵심역량 및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에서의 한국어교육 실천 양상 연구
- Relationships between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in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 역량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수퍼비전 기대 차이
- 거부민감성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초등 과학과 교수학습과정에서 학습자 유형에 따른 시각자료 선택의 신경과학적 중요성과 교육적 제언
- 한국과 중국 교사 자격제도 비교연구
- 유아 자기조절력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 행복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 학교 주도적 교육과정 혁신을 지원하는 국가
- 대학 핵심 역량기반 혁신교수법 적용 강의 효과 분석
-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이 요통 노인환자의 골반움직임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 비교과 프로그램을 참여한 전문대학생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와 프로그램 만족도가 평생교육 학습 지속 의향에 미치는 영향
- 무용학과 대학생의 창의적 마인드셋과 과제수행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자기개념의 매개효과
- 청소년이 지각하는 모의 심리적 통제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에 대한 매개효과 연구
- 뉴스에 나타난 지역 간 교육격차 경향과 인구감소지역과의 비교
- 감성지능이 대학생 학습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수준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글쓰기 지도 방안
- B대학 교수자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 체계 개발
- 서울 소재 주요 대학교의 금관악기 입시곡 분석 연구
- 학습과제특성이 대학신입생의 영어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 성향점수매칭 기법을 이용한 PISA와 TIMSS의 수학 영역별 성취도 분석
- 국내 도덕과 교육 학계의 공감 연구 동향 분석
- 드론의 자율주행기술을 활용한 고등학생 대상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 학생활동중심 수업 참여 경험 및 선호도 분석 연구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예비영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한 전공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 전공자율선택제 도입에 따른 대학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방안 연구
- 코로나(COVID-19) 이전과 이후의 사교육 이용 과목의 변화 탐색
-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 대상 학습자 중심 수업 방법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 웹기반 PBL 환경에서 복잡한 정구조 문제해결을 지원하는 스캐폴딩 전략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 QR코드 학습과 동영상 자가학습 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반한 2015 및 2022 개정 과학과 공통교육과정의 생명 영역 성취기준 분석
- 초등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국악수업 개발과 2022 개정 교육과정 기반의 교과 연계 가능성 모색
- 교육 상담에서의 의사소통 중심 보드게임 활용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신규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지식과 수행자신감이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저경력 초등 교사의 육상부 운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공업계열 특성화고의 제조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중장년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국내⋅외 에듀테크의 연구동향 분석
- 완전 숙달 학습 개념 기반 온라인 문제 다변화 수시 시험 프로그램을 통한 일반물리학의 학업 성취도 향상
- 한 상담자의 자기성찰을 통한 치유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2022 개정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교과역량 함양을 위한 클래식 음악 교육내용 탐색
- 초보 미술치료사의 직업적응 경험과 슈퍼비전 교육요구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예술로 읽는 인류세의 메시지
-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 정서인식명확성, 심리적 안녕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 유아 대상 지속가능발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성인 영어 학습자의 외재적⋅내재적 학습 요인이 영어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수용전념치료 이론을 기반으로 한 불안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예비교사 비대면 모의 수업 실습을 위한 사범대학 실시간 온라인 수업 교과목 실행연구
- 한국판 다차원적 공허감 척도(K-MSES)의 타당화
- 한국과 일본 예비 유아교사의 과거 운동경험에 따른 유아체육 및 건강교육에 대한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이공계 고급인재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 한국 부모의 자녀 교육 불안의 계층화: 공정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교육과정의 교과 편제와 내용조직 비교 연구: 독일의 교과 편제와 역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