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국악수업 개발과 2022 개정 교육과정 기반의 교과 연계 가능성 모색

이용수 98

영문명
Developing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es for elementary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linking subjects based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은주(Eunjoo Par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4호, 277~30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국가 수준에서 강조하는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국악수업을 개발하고, 이를 2022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교과 연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했다. 방법 이를 위해 첫째, 생태전환교육의 방향과 현황을 교육과정과 시⋅도교육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기후와 농경문화의 연관성을 농업노동요와 농가월령가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셋째,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국악수업을 개발하였다. 넷째, 2022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교과 연계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결과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국악수업은 HOT(Hot. Our. Try.) 지구를 구해줘!를 주제로 7차시 프로젝트 수업으로 개발하였다. 마댕이소리와 농가월령가를 통해 기후와 작물의 관계를 이해한 후 OO에코센터를 방문하여 기후와 생태변화를 체험하고, 기후행동 달력으로 교수학습활동을 구체화하여 프로젝트 산출물로 구현하였다. 교과별 성취기준에 따르면 초등학교 전 학년을 대상으로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국악수업의 교과 연계 가능성을 발견하였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교과 연계 모형으로 포가티의 통합 모형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국악수업은 교육 실현을 위해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범교과적인 측면에서 교과 연계 수업을 모색하는 예비 연구의 성격을 지닌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어업노동요 적용, 교과목별 농업노동요 수록 제안, 음력⋅양력 학습 활용 등 다각적인 관점에서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es for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emphasized at the national level due to climate change,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linking subjects centering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the direction and status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focusing on the curriculum and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and agricultural culture was examined, focusing on agricultural labor songs and farm households. Third, a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was developed for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Fourth, the possibility of linking subjects was explored based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Results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 for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was developed as a project class for the 7th session under the theme of Save the HOT(Hot. Our. Try.) Earth. Afte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and crops through Madengyisori and Farmhouse Wolryeongga, he visited the OO Eco Center to experience climate and ecological change, and embodie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with a climate action calendar to be implemented as a project output.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subject, the possibility of linking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es for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was discovered for all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an integrated model of Fogarty was proposed as a subject-linked model to realize this. Conclusions This study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ecological conversion education for a sustainable life centered on Korean classical music classes and to explore subject connection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order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realization in the educational field. Therefo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the application of fishing labor songs, proposals for agricultural labor songs for each subject, and the use of learning of the lunar and solar calenda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국악수업 개발
Ⅳ. 2022 개정 교육과정 기반의 교과 연계 가능성 모색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은주(Eunjoo Park). (2024).초등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국악수업 개발과 2022 개정 교육과정 기반의 교과 연계 가능성 모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4), 277-304

MLA

박은주(Eunjoo Park). "초등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국악수업 개발과 2022 개정 교육과정 기반의 교과 연계 가능성 모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4(2024): 277-3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