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뉴스에 나타난 지역 간 교육격차 경향과 인구감소지역과의 비교
이용수 388
- 영문명
- A Comparison of Regions' Educational Gap and Depopulated Areas: Predicting Trends in Regional Population Characteristics through Topic Modeling of News from 2004 to 2023 and Time Series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효은(Hyoeun Kim) 이은혜(Eunhye Lee) 최나야(Naya Cho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4호, 221~24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년간의 뉴스 기사에 나타난 지역 간 교육격차의 경향을 분석하고, 인구감소지역과 비교하며 지역인구특성 추세를 예측하는 것이다.
방법 2004년부터 2023년까지 지역 간 교육격차에 관한 뉴스 기사 14,263건을 분석하여 보도 경향을 파악하였다.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기사에 나타난 키워드와 주요 토픽을 도출하였고, 상위 15개 인구감소지역의 인구특성 추세를 예측하기 위해 시계열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지역 간 교육격차에 대한 뉴스 기사의 보도 건수는 2006년과 2010년에 크게 증가하였고, 2011년부터 2019년까지는 감소-유지 추세를 보였으나, 2020년부터 다시 급증하였다. 학교급별로는 영유아와 초등교육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둘째, 기사에서 50개의 키워드와 함께 도출한 11개의 토픽은 코로나 시대의 교육, 학업성취수준, 사회⋅경제적 소외 계층 아동, 인구감소에 따른 소규모 학교 통폐합, 균형 있는 지역 교육 발전 정책, 교육복지 사업 확대, 공교육 활성화를 통한 사교육 부담 해소, 기초학력 개선 대책, 지역의 미래교육 핵심 정책,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마을교육공동체로 명명하였다. 이는 지역 간 교육격차 실태와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라는 두 가지 대주제로 구조화되었다. 셋째, 지역 간 교육격차 기사에 나타난 상위 15개 인구감소지역의 인구는 향후 5년간 급감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지역 간 교육격차에 관한 20년간의 장기적인 사회적 이슈를 구조화하여 살펴보았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교육격차를 인구감소의 관점에서 바라보아 총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정책 마련과 교육현장에서의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trends in regional education disparities as depicted in news articles over a 20-year period and predict regional population characteristics, comparing them with depopulated areas.
Methods A total of 14,263 news articled on regional education disparities from 2004 to 2023 were analyzed to discern reporting trends. Utilizing topic modeling, key terms and major topics were extracted from the articles. Time series analysis was employed to forecast population chracteristic for the top 15 depopulated regions.
Results First, the number of news articles on region educaional gap significantly increased in 2006 and 2010, followed by a decreasing trend from 2011 to 2019, but surged again from 2020 onwards. Relative lack of interest was observed i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Second, 11 topics, along with 50 keywords identified in the articles, were categorized into two overarching themes; the realities of regional education disparities and strategies for addressing them. Third, populations in the top 15 depopulated regions highlighted in the articles are predicted to decline sharply over the next five years.
Conclusions This study structurally examined a long-term societal issue of regional education disparities over 20 years,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policy-making and practical implementation in the education sector by viewing education dispar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population declin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4호 목차
- 임파워링리더십과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을 통한 성격5요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 행복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유아 대상 지속가능발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전공자율선택제 도입에 따른 대학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방안 연구
- 학교 주도적 교육과정 혁신을 지원하는 국가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예비영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 코로나(COVID-19) 이전과 이후의 사교육 이용 과목의 변화 탐색
- 초보 미술치료사의 직업적응 경험과 슈퍼비전 교육요구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한 전공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 대상 학습자 중심 수업 방법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 웹기반 PBL 환경에서 복잡한 정구조 문제해결을 지원하는 스캐폴딩 전략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 QR코드 학습과 동영상 자가학습 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반한 2015 및 2022 개정 과학과 공통교육과정의 생명 영역 성취기준 분석
- 초등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국악수업 개발과 2022 개정 교육과정 기반의 교과 연계 가능성 모색
- 교육 상담에서의 의사소통 중심 보드게임 활용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신규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지식과 수행자신감이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저경력 초등 교사의 육상부 운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공업계열 특성화고의 제조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중장년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국내⋅외 에듀테크의 연구동향 분석
- 완전 숙달 학습 개념 기반 온라인 문제 다변화 수시 시험 프로그램을 통한 일반물리학의 학업 성취도 향상
- 한 상담자의 자기성찰을 통한 치유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2022 개정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교과역량 함양을 위한 클래식 음악 교육내용 탐색
- 예술로 읽는 인류세의 메시지
-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 정서인식명확성, 심리적 안녕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인 영어 학습자의 외재적⋅내재적 학습 요인이 영어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수용전념치료 이론을 기반으로 한 불안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베트남에서의 한국어교육 실천 양상 연구
- Relationships between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in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 역량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수퍼비전 기대 차이
- 초등 과학과 교수학습과정에서 학습자 유형에 따른 시각자료 선택의 신경과학적 중요성과 교육적 제언
- 한국과 중국 교사 자격제도 비교연구
- 대학 핵심 역량기반 혁신교수법 적용 강의 효과 분석
- 청소년이 지각하는 모의 심리적 통제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에 대한 매개효과 연구
- 예비교사 비대면 모의 수업 실습을 위한 사범대학 실시간 온라인 수업 교과목 실행연구
- 청소년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을 위한 온라인 프로젝트학습(PjBL)의 만족도와 태도가 차세대영재기업인 핵심역량 및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 거부민감성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자기조절력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이 요통 노인환자의 골반움직임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 비교과 프로그램을 참여한 전문대학생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와 프로그램 만족도가 평생교육 학습 지속 의향에 미치는 영향
- 무용학과 대학생의 창의적 마인드셋과 과제수행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자기개념의 매개효과
- 뉴스에 나타난 지역 간 교육격차 경향과 인구감소지역과의 비교
- 감성지능이 대학생 학습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수준 분석
-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글쓰기 지도 방안
- B대학 교수자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 체계 개발
- 서울 소재 주요 대학교의 금관악기 입시곡 분석 연구
- 학습과제특성이 대학신입생의 영어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 성향점수매칭 기법을 이용한 PISA와 TIMSS의 수학 영역별 성취도 분석
- 국내 도덕과 교육 학계의 공감 연구 동향 분석
- 드론의 자율주행기술을 활용한 고등학생 대상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 학생활동중심 수업 참여 경험 및 선호도 분석 연구
- 한국판 다차원적 공허감 척도(K-MSES)의 타당화
- 한국과 일본 예비 유아교사의 과거 운동경험에 따른 유아체육 및 건강교육에 대한 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