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뉴스에 나타난 지역 간 교육격차 경향과 인구감소지역과의 비교

이용수 388

영문명
A Comparison of Regions' Educational Gap and Depopulated Areas: Predicting Trends in Regional Population Characteristics through Topic Modeling of News from 2004 to 2023 and Time Series Analysi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효은(Hyoeun Kim) 이은혜(Eunhye Lee) 최나야(Naya Cho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4호, 221~24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년간의 뉴스 기사에 나타난 지역 간 교육격차의 경향을 분석하고, 인구감소지역과 비교하며 지역인구특성 추세를 예측하는 것이다. 방법 2004년부터 2023년까지 지역 간 교육격차에 관한 뉴스 기사 14,263건을 분석하여 보도 경향을 파악하였다.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기사에 나타난 키워드와 주요 토픽을 도출하였고, 상위 15개 인구감소지역의 인구특성 추세를 예측하기 위해 시계열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지역 간 교육격차에 대한 뉴스 기사의 보도 건수는 2006년과 2010년에 크게 증가하였고, 2011년부터 2019년까지는 감소-유지 추세를 보였으나, 2020년부터 다시 급증하였다. 학교급별로는 영유아와 초등교육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둘째, 기사에서 50개의 키워드와 함께 도출한 11개의 토픽은 코로나 시대의 교육, 학업성취수준, 사회⋅경제적 소외 계층 아동, 인구감소에 따른 소규모 학교 통폐합, 균형 있는 지역 교육 발전 정책, 교육복지 사업 확대, 공교육 활성화를 통한 사교육 부담 해소, 기초학력 개선 대책, 지역의 미래교육 핵심 정책, 대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마을교육공동체로 명명하였다. 이는 지역 간 교육격차 실태와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라는 두 가지 대주제로 구조화되었다. 셋째, 지역 간 교육격차 기사에 나타난 상위 15개 인구감소지역의 인구는 향후 5년간 급감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지역 간 교육격차에 관한 20년간의 장기적인 사회적 이슈를 구조화하여 살펴보았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교육격차를 인구감소의 관점에서 바라보아 총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정책 마련과 교육현장에서의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trends in regional education disparities as depicted in news articles over a 20-year period and predict regional population characteristics, comparing them with depopulated areas. Methods A total of 14,263 news articled on regional education disparities from 2004 to 2023 were analyzed to discern reporting trends. Utilizing topic modeling, key terms and major topics were extracted from the articles. Time series analysis was employed to forecast population chracteristic for the top 15 depopulated regions. Results First, the number of news articles on region educaional gap significantly increased in 2006 and 2010, followed by a decreasing trend from 2011 to 2019, but surged again from 2020 onwards. Relative lack of interest was observed i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Second, 11 topics, along with 50 keywords identified in the articles, were categorized into two overarching themes; the realities of regional education disparities and strategies for addressing them. Third, populations in the top 15 depopulated regions highlighted in the articles are predicted to decline sharply over the next five years. Conclusions This study structurally examined a long-term societal issue of regional education disparities over 20 years,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policy-making and practical implementation in the education sector by viewing education dispar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population declin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효은(Hyoeun Kim),이은혜(Eunhye Lee),최나야(Naya Choi). (2024).뉴스에 나타난 지역 간 교육격차 경향과 인구감소지역과의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4), 221-241

MLA

김효은(Hyoeun Kim),이은혜(Eunhye Lee),최나야(Naya Choi). "뉴스에 나타난 지역 간 교육격차 경향과 인구감소지역과의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4(2024): 221-2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