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리빙랩에서의 집단학습과 매개 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이용수 34

영문명
A Case Study on Collective Learning and Intermediary Activities in Living Lab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정은(Jungeun Kim) 김은아(Eunah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9호, 815~83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15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모임 자체로서는 공동창조를 위한 학습을 자동적으로 보장하지 못한다. 집합적 지식의 창조를 위해선 관심과 배경, 경험과 지식이 상이한 여러 주체들을 상호연결하고 통합할 수 있는 매개 활동이 필수적이다. 리빙랩은 민ㆍ관ㆍ산ㆍ학의 수평적 협력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지역사회 집단학습의 장으로, 공동창조의 대표적 형식이다. 그러나 국내 리빙랩의 경우 공동창조를 통한 학습관점에서의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매개 활동을 중심으로 리빙랩의 집단학습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방법 인천시 혁신구에서 진행된 ‘원도심 공동체 활성화형 스마트팜 기획리빙랩’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집단학습을 위한 상호작용의 구조화를 위해 리빙랩 진행단계별 활동과 과제를 집합적 학습의 과정과 결과를 중심으로 정리한 후 Hakkarainen & Hyysalo(2016)의 정의에 따라 촉진 설정ㆍㆍ중개의 세부 매개 활동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리빙랩 3단계 모두에서 촉진 활동의 비중이 가장 높고, 중개 활동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창조의 과정에서 행위자의 활동을 촉진하고 행위자 간의 연결을 중개하는 매개 활동이 필수적 요소임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리빙랩의 3단계를 거치며 촉진 설정ㆍㆍ중개의 세부 매개 활동이 모두 나타났으며, 진행단계별로 세부 매개 활동의 비중이 다름을 확인했다. 이는 리빙랩을 통한 공동창조에서 간과되고 있는 매개 활동의 중요성과 다면성을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 본 연구는 리빙랩의 집단학습과 공동창조에 기여하는 매개 활동은 촉진뿐만 아니라 설정과 중개라는 세 가지 유형으로 확장시켜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기존 연구 결과를 뒷받침한다. 또한 매개 활동의 다양성은 상호작용과 학습의 결과에 따라 변화하는 나선형 발전구조를 특징인 리빙랩 운영의 실천적 지침에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 마지막으로 매개자의 고유한 연계전문성에 대한 인정과 이에 기반한 실질적 교육과정 개발 및 현장운영 지침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A group of various stakeholders itself cannot automatically guarantee learning for co-creation. For the creation of collective knowledge, intermediary activities that can interconnect and integrate several subjects with different interests, backgrounds, experiences, and knowledge are essential. Living Lab is a place of collective learning based on the horizontal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public, industry, and academia, and is a representative form of co-creation. However, in the case of Living Lab in Korea,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collective learning through co-creation has hardly been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llective learning of Living Lab and derive implications, focusing on intermediary activities. Methods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on the ‘Smart Farm Planning Living Lab for Revitalizing the Old Urban Community’ held in Innovation District, Incheon. In order to structure interactions for collective learning, ac-tivities and tasks for each stage of the Living Lab were organized around the process and results of collective learn-ing, and then classified and analyzed as detailed intermediary activities of facilitating, configuring, brokering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Hakkarainen & Hyysalo(2016). Results In all three stages of Living Lab, the proportion of facilitating was the highest, and brokering were common.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showing that intermediary activities that facilitate actors' activities and broker connections between actors are essential in the process of co-creation to solve social problems. Next, through the three stages of Living Lab, all detailed intermediary activities of the facilitating, configuring, brokering appear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portion of detailed intermediary activities was different for each stage of progress. This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importance and multifacetedness of interme-diary activities that are overlooked in co-creation through Living Lab. Conclusions This study supports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the intermediary activities that contribute to collecitve learning and co-creation of Living Lab need to be extended and understood into three types: configuring and brokering as well as facilitating. In addition, the diversity of intermediary activities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practical guidelines for Living Lab operation, which are characterized by a spiral development structure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teraction and learning. Finally, the recognition of the intermediary's unique interactional expertise and the need for research on practical curriculum development and field operation guide-lines based on it were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개념적 틀과 연구 문제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은(Jungeun Kim),김은아(Eunah Kim). (2024).리빙랩에서의 집단학습과 매개 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9), 815-838

MLA

김정은(Jungeun Kim),김은아(Eunah Kim). "리빙랩에서의 집단학습과 매개 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9(2024): 815-8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