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depression, anxiety, and negative emotions in college students in response to the Person-in the-Rain Tes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세경(SeiKyung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9호, 655~67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15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투사적 검사인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PITR)에 나타난 주관적 반응과 객관식 자기보고식 검사를 함께 활용하여 그림검사에 나타난 반응과 부정적인 심리적 측면인 우울, 불안, 부정정서를 확인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P지역 K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46부를 배부하여 125부를 수집하였고, 이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한 17부를 제외한 108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c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하였다. 변인들의 성차 확인을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였고빗속, 의 사람 그림 검사(PITR) 반응이 우울 불,안 ,부 정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우,울 ,불 안 부, 정정서 평균점수 상하 등급에 따라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PITR) 반응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PITR) 반응에서 ‘스트레스’ 반응은 우울, 불안, 부정정서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확인되지 않았 , 고대‘ 처자원’ 반응은 우울, 불안, 부정정서와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처능력’ 반응도 우울, 불안, 부정정서와 부정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는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PITR) 반응 중 ‘대처자원’ 반응과 ‘대처능력’ 반응에서 성차가 확인되었다. 셋째,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PITR) 반응은 우울, 불안, 부정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우울, 불안, 부정정서 평균점수 상하 등급에 따라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PITR) 반응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우울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PITR) 반응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불안과 부정정서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PITR) 반응의 차이는 ‘대처능력’ 반응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스트레스 자체보다는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부정적인 심리적인 측면인 우울, 불안, 부정정서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성별에, 따라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PITR) 반응에서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측면에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우울, 불안과 부정정서가 다른 심리적 특성임을 이해할 수 있었고이에, 따라 대처능력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정신건강에 어려움이 있는 대학생의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 예방 교육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근거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sponses shown in the picture test and negative psychological aspect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negative emotions by using both the subjective responses shown in the People-in-the-Rain Picture Test(PITR), a projective test, and a multiple-choice self-report test.
Methods The target was college students attending K University in Region P. 146 copies were distributed and 125 copies were collected. Of these, the data from 108 people, excluding 17 who responded insincerely, was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SPSS statics 26.0 program.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confirm gender differences in variables, and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PITR re-sponse on depression, anxiety, and negative emotions.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differences in responses to the PITR according to the upper and lower levels of the average emotional score.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checking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the ‘stress’ respons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anxiety, and negative emotions in the PITR response, and the ‘coping resources’ respons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it was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anxiety and negative emotions, and the ‘coping ability’ response was also foun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xiety, and negative emotions. Second, differences in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were confirmed in the ‘coping resources’ response and the ‘coping ability’ response among the PITR responses. Third, PITR response was found to affect depression, anxiety, and negative emotions. Fourth,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sponse to the PITR depending on the average score of depression, anxiety, and negative emotion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sponse to the PITR according to depression, the differences in responses to the PITR according to anxiety and negative emotions were verifi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coping ability’ responses.
Conclus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negative psychological aspect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negative emotions can vary depending on how one copes with the stress rather than the stress itself, and that the response to the PITR differs depending on gender in terms of coping with stres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addition,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at depression, anxiety, and neg-ative emotions are differen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t was confirmed that coping abilities vary according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d evidence for early detection, appropriate treatment, and prevention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with mental health difficul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9호 표지
- 대학 교양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팀기반 학습 경험
- 리빙랩에서의 집단학습과 매개 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9호 목차
-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한 대학생의 챗GPT 현 수준 및 중요도 분석
- 잠재성장모형(LGM)을 이용한 중학생의 자아개념이 창의성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종단분석
- 정신병동 실습을 통한 간호대학생의 자아성찰 경험
- 팀 빌딩 비주얼 싱킹을 활용한 현대 소설 수업이 고등학교 남학생의 국어 수업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어머니의 정서지능 기반 부모교육 참여경험 내러티브 탐구
- 상담자 자기성찰 집단상담 참여 이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학습 효과가 높은 수업과 낮은 수업의 학습 과정과 평가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PITR) 반응에 대한 대학생의 우울, 불안, 부정정서에 관한 연구
-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인 주제의 실천적 다문화 역사학습의 실제
- 무의식적 배움에 대한 탐색
- 대학생들의 노인자서전 쓰기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퀼봇(Quillbot)보조 바꿔 쓰기 활동이 대학 신입생의 영어 어휘 습득에 미친 영향 연구
- 대학 정량지표를 통해 본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성과와 시사점
- 학급긍정훈육법을 활용한 초등 교육과정 연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 기숙사 장소감 형성과 대학 생활 적응 간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신체상 및 자아존중감, 섭식태도가 다이어트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마음챙김이 초등학생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간호대학생이 추구하는 교수학습법 유형
- 대학생의 애착불안, 부정정서 회피를 위한 SNS 사용, COVID-19로 인한 지각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인간-AI 협력 역량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교육에 관한 담임교사의 경험과 시사점
-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정서조절 및 창의적 성취간의 관계
-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 참여도와 학생 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ESG 활동을 연계한 중학교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가치관, 윤리적 민감성, 간호전문직관이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보이는 것은 보이지 않는 것에 기반한다
- 학습 피드백 도구로 ChatGPT를 활용한 고등학생용 파이썬 프로젝트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SOC 기반 한국어 수업 설계 및 운영 사례 연구
-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진로준비활동 간의 관계
- 고교학점제에서 과학 선택 과목의 경향성 분석
- 지방대학의 중도 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요인 분석
- 유아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반영한 기후·생태계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ESG 인지 및 교육 유무에 따른 ESG 인식수준과 중요도 간의 차이연구
- 초등 영어몰입교육에 대한 학습자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 대학생의 우울과 자존감의 관계에서 자기격려-낙담의 병렬다중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외·내향성과 자아존중감과의 관련성
- 대학생의 내적 통제소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워킹맘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직무소진의 관계
- 대학 강의평가 서술형 문항의 감정분석 및 의미연결망 분석
- 부모의 학습지원과 지지적 학교환경이 초등학생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중요도와 실행도(IPA) 분석
- 한국 청소년의 아침 식사 유형에 따른 영양소 섭취 상태 및 아침식사의 질 평가
-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 학습에 대한 연구
- 진학계 고교 영어과의 진로별 과목 분화 방안 연구
- ESD 적용 경험에 따른 환경교육 강사들의 ESD 가치에 대한인식과 친환경 행동 및 PCK 차이 분석
- 생성 AI ChatGPT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의 학습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능력과 인공지능교육 및 코딩교육 인식 간의 관계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공감능력의 의미와 구성요인에 관한 델파이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