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Modern Novel Classes using Team Building Visual Thinking on Korean Language Classes of High School Male Students: Focusing on Park Wan-suh, ‘Mother’s Stake II’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양일동(Ildong Y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9호, 839~85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15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현대 소설)수업에 대해 학습자들은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 둘째, 현대 소설 수업 전반에 팀 빌딩 비주얼 싱킹을 활용해 본 학습자들의 반응은 어떠한가? 셋째, 팀 빌딩 비주얼 싱킹과 연계한 현대 소설 수업이 학습자의 흥미도, 자신감, 태도, 불안도에 미치는 효과는 무엇인가? 서울 Y 고등학교 2학년 5개 학급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팀 빌딩 비주얼 싱킹을 활용한 현대 소설 수업의 경험을 통해 국어 수업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서울 Y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행 수업을 진행하고, 활동지와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전문가(국어과 교수 1인, 교육학박사 2인)의 검토 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팀 빌딩 비주얼 싱킹을 활용한 현대 소설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는 SPSS 28.0을 이용해 기술통계 분석하였고, 개방형 문항과 활동지는 내용 분석하였다.
결과 팀 빌딩 비주얼 싱킹 수업은 작품을 깊이 이해한 학습자들이 자신의 생각과 감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이후 다른 학습자들과 의견을 소통ㆍ공유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는 학습자들의 소설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동시에 창의적 사고와 표현 능력, 팀워크 능력을 향상시켰다. 또한 팀 빌딩 비주얼 싱킹은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를 증가시켜 보다 활발하고 능동적인 수업을 만드는데 효과적이었다.
결론 팀 빌딩 비주얼 싱킹 수업은 아이디어 시각화, 아이디어 공유 및 피드백에 이르기까지 팀원들이 함께 하는 활동을 통해 협력적 학습 환경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는 디지털 전환이라는 교육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교수 학습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현대 소설 수업에서 팀 빌딩 비주얼 싱킹을 활용하고자 했던 새로운 시도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hat perceptions do learners have about Korean language (modern novel) classes? Second, what are the responses of learners who have used team building visual thinking in all modern novel classes? Third, what is the effect of modern novel classes using team building visual thinking on learners' interest, confidence, attitude, and anx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n Korean language classes through the experience of modern novel classes using team building visual sink-ing for students in five classes in the second year of Y High School in Seoul.
Methods The class was conducted for second-year students at Y High School in Seoul, data was collected through worksheets and questionnaires to analyze the results. The questionnaires were divided into a pre-test and a post-test after review by experts (one Korean language professor and two doctors of education),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udents' reactions to modern novel classes using team building visual thinking.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SPSS 28.0, and open-ended questions and worksheets were analyzed.
Results Team building visual thinking classes provided an opportunity for learners, who deeply understood the work,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impressions visually and then communicate and share their opinions with oth-er learners. This enhanced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novel while improving their creative thinking, expression skills, and teamwork skills. In addition, team building visual thinking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ir learning mo-tivation, thereby making the classes more active.
Conclusions Team building visual thinking classes helped build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through ac-tivities that team members do together, from idea visualization to idea sharing and feedback. This served as an opportunity to lay the found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that can 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education: digi-tal transform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new attempt to utilize team building visual thinking in modern novel classe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9호 표지
- 대학 교양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팀기반 학습 경험
- 리빙랩에서의 집단학습과 매개 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9호 목차
-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한 대학생의 챗GPT 현 수준 및 중요도 분석
- 잠재성장모형(LGM)을 이용한 중학생의 자아개념이 창의성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종단분석
- 정신병동 실습을 통한 간호대학생의 자아성찰 경험
- 팀 빌딩 비주얼 싱킹을 활용한 현대 소설 수업이 고등학교 남학생의 국어 수업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어머니의 정서지능 기반 부모교육 참여경험 내러티브 탐구
- 상담자 자기성찰 집단상담 참여 이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학습 효과가 높은 수업과 낮은 수업의 학습 과정과 평가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PITR) 반응에 대한 대학생의 우울, 불안, 부정정서에 관한 연구
-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인 주제의 실천적 다문화 역사학습의 실제
- 무의식적 배움에 대한 탐색
- 대학생들의 노인자서전 쓰기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퀼봇(Quillbot)보조 바꿔 쓰기 활동이 대학 신입생의 영어 어휘 습득에 미친 영향 연구
- 대학 정량지표를 통해 본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성과와 시사점
- 학급긍정훈육법을 활용한 초등 교육과정 연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 기숙사 장소감 형성과 대학 생활 적응 간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신체상 및 자아존중감, 섭식태도가 다이어트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마음챙김이 초등학생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간호대학생이 추구하는 교수학습법 유형
- 대학생의 애착불안, 부정정서 회피를 위한 SNS 사용, COVID-19로 인한 지각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인간-AI 협력 역량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교육에 관한 담임교사의 경험과 시사점
-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정서조절 및 창의적 성취간의 관계
-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 참여도와 학생 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ESG 활동을 연계한 중학교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가치관, 윤리적 민감성, 간호전문직관이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보이는 것은 보이지 않는 것에 기반한다
- 학습 피드백 도구로 ChatGPT를 활용한 고등학생용 파이썬 프로젝트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SOC 기반 한국어 수업 설계 및 운영 사례 연구
-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진로준비활동 간의 관계
- 고교학점제에서 과학 선택 과목의 경향성 분석
- 지방대학의 중도 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요인 분석
- 유아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반영한 기후·생태계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ESG 인지 및 교육 유무에 따른 ESG 인식수준과 중요도 간의 차이연구
- 초등 영어몰입교육에 대한 학습자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 대학생의 우울과 자존감의 관계에서 자기격려-낙담의 병렬다중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외·내향성과 자아존중감과의 관련성
- 대학생의 내적 통제소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워킹맘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직무소진의 관계
- 대학 강의평가 서술형 문항의 감정분석 및 의미연결망 분석
- 부모의 학습지원과 지지적 학교환경이 초등학생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중요도와 실행도(IPA) 분석
- 한국 청소년의 아침 식사 유형에 따른 영양소 섭취 상태 및 아침식사의 질 평가
-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 학습에 대한 연구
- 진학계 고교 영어과의 진로별 과목 분화 방안 연구
- ESD 적용 경험에 따른 환경교육 강사들의 ESD 가치에 대한인식과 친환경 행동 및 PCK 차이 분석
- 생성 AI ChatGPT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의 학습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능력과 인공지능교육 및 코딩교육 인식 간의 관계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공감능력의 의미와 구성요인에 관한 델파이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