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and breakfast quality according to breakfast type among Korean adolescents: Analysis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2016 2019)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혜정(Hyejeong Park) 계승희(Seunghee Ky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9호, 321~33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15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아침 식사 유형별 식사의 질을 평가하고 영양섭취상태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수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12-18세 청소년 3,779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아침식사 유형은 섭취한 주요음식을 기준으로 밥식, 빵식, 면식, 시리얼식, 기타식으로 분류하였다. 아침식사 유형별 일반적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영양소 섭취량, 영양소 1일 섭취기준에 대한 영양소 섭취비율이 분석되었다. 또한 아침식사를 통한 1일 영양소 섭취량 기여율과 영양밀도가 계산되었다.
결과 청소년이 섭취한 아침 식사 유형은 밥식의 섭취비율이 약 4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빵식, 시리얼식, 면식 순이었다. 아침결식률은 청소년 여자가 43.03%로 청소년 남자 35.57%에 비하여 높았다. 1일 에너지 섭취량과 단백질 섭취량은 밥식과 빵식을 통해서 많이 섭취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일 비타민과 무기질의 섭취량은 시리얼식을 통한 섭취가 가장 많았다. 1일 에너지 섭취량에 대한 아침 식사의 기여율은 밥식과 면식이 약 23∼24%이었으며, 빵식이 약 18%, 시리얼식이 약 14%이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밥식은 우리나라 청소년의 아침식사로서 우수한 식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청소년의 아침결식률이 높아서 규칙적인 아침식사에 대한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영양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바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quality of breakfast and compare the nutritional intake by breakfast type of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3,779 adolescents aged 12 to 18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conducted from 2016 to 2019. Breakfast was classified as ‘rice’, ‘bread’, ‘noodles’, ‘cereal’, and ‘others’ based on the main food consumed.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by breakfast type were ana-lyzed, and nutrient intake and nutrient intake ratio relative to daily nutrient intake standard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dditionally, the study derived the contribution rate and nutrient density of daily nutrient intake from breakfast.
Results Regarding the type of breakfast consumed by adolescents, rice ranked first at about 45%, followed by bread, cereal, and noodles. The breakfast skipping rate was higher among female adolescents at 43.03% com-pared to males at 35.57%. Rice and bread tended to account for most of the energy and protein intake, and cereals accounted for the highest daily intake of vitamins and minerals. The contribution rate of breakfast to daily energy intake was about 23-24% for rice and noodles, about 18% for bread, and about 14% for cereal.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ice is an excellent breakfast diet for Korean adolescents. However, the high rate of breakfast skipping among adolescents suggests the need for efficient and continuous nutritional education about regular breakfas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9호 표지
- 대학 교양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팀기반 학습 경험
- 리빙랩에서의 집단학습과 매개 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9호 목차
-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한 대학생의 챗GPT 현 수준 및 중요도 분석
- 잠재성장모형(LGM)을 이용한 중학생의 자아개념이 창의성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종단분석
- 정신병동 실습을 통한 간호대학생의 자아성찰 경험
- 팀 빌딩 비주얼 싱킹을 활용한 현대 소설 수업이 고등학교 남학생의 국어 수업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어머니의 정서지능 기반 부모교육 참여경험 내러티브 탐구
- 상담자 자기성찰 집단상담 참여 이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학습 효과가 높은 수업과 낮은 수업의 학습 과정과 평가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PITR) 반응에 대한 대학생의 우울, 불안, 부정정서에 관한 연구
-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인 주제의 실천적 다문화 역사학습의 실제
- 무의식적 배움에 대한 탐색
- 대학생들의 노인자서전 쓰기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퀼봇(Quillbot)보조 바꿔 쓰기 활동이 대학 신입생의 영어 어휘 습득에 미친 영향 연구
- 대학 정량지표를 통해 본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성과와 시사점
- 학급긍정훈육법을 활용한 초등 교육과정 연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 기숙사 장소감 형성과 대학 생활 적응 간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신체상 및 자아존중감, 섭식태도가 다이어트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마음챙김이 초등학생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간호대학생이 추구하는 교수학습법 유형
- 대학생의 애착불안, 부정정서 회피를 위한 SNS 사용, COVID-19로 인한 지각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인간-AI 협력 역량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교육에 관한 담임교사의 경험과 시사점
-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정서조절 및 창의적 성취간의 관계
-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 참여도와 학생 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ESG 활동을 연계한 중학교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가치관, 윤리적 민감성, 간호전문직관이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보이는 것은 보이지 않는 것에 기반한다
- 학습 피드백 도구로 ChatGPT를 활용한 고등학생용 파이썬 프로젝트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SOC 기반 한국어 수업 설계 및 운영 사례 연구
-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진로준비활동 간의 관계
- 고교학점제에서 과학 선택 과목의 경향성 분석
- 지방대학의 중도 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요인 분석
- 유아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반영한 기후·생태계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ESG 인지 및 교육 유무에 따른 ESG 인식수준과 중요도 간의 차이연구
- 초등 영어몰입교육에 대한 학습자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 대학생의 우울과 자존감의 관계에서 자기격려-낙담의 병렬다중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외·내향성과 자아존중감과의 관련성
- 대학생의 내적 통제소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워킹맘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직무소진의 관계
- 대학 강의평가 서술형 문항의 감정분석 및 의미연결망 분석
- 부모의 학습지원과 지지적 학교환경이 초등학생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중요도와 실행도(IPA) 분석
- 한국 청소년의 아침 식사 유형에 따른 영양소 섭취 상태 및 아침식사의 질 평가
-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 학습에 대한 연구
- 진학계 고교 영어과의 진로별 과목 분화 방안 연구
- ESD 적용 경험에 따른 환경교육 강사들의 ESD 가치에 대한인식과 친환경 행동 및 PCK 차이 분석
- 생성 AI ChatGPT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의 학습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능력과 인공지능교육 및 코딩교육 인식 간의 관계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공감능력의 의미와 구성요인에 관한 델파이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