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인 주제의 실천적 다문화 역사학습의 실제

이용수 41

영문명
The Practice of Practical Multicultural History Learning on the Topic of ‘Korean Diaspora, Koryo Peopl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허영훈(Young-hoon He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9호, 477~50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15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K초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나’의 수업을 되돌아보고 성찰한 연구로서 자전적 (autobiogra인성격phical) 을 지닌다. 연구와 실천의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학교와 지역의 맥락적 특성을 반영하려 애썼다. 마을의 다문화적 상황 특성, K초의 현황, 고려인 학생들이 처한 상황, 한국인 학생들과 고려인 학생들 서로 간의 소통의 어려움 및 동료 교사들이 고려인 학생들을 지도하는 데 있어서 겪는 어려움 등을 인지하였다. 이러한 인식에 기초하여 차별을 넘어 연대와 동행을 위한 실천적 다문화 역사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였다. 방법 먼저, 소수자 역사인 고려인 강제이주 주제를 기억과 망각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다문화교육 이론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실천적 다문화 역사교육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고려인 강제이주 주제 실천적 다문화 역사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한 후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과 함의로는 첫째, 망각 되었던 소수자 역사인 고려인 강제이주에 대한 기억을 발굴ㆍ호출했다는 점이다. 둘째, 동화주의적 시각을 넘어 공감과 상호문화주의에 기반한 다문화적 역량의 획득 다문화적 문화 해독 능력의 함양()이다 셋째 연대와 . 동행을 , 위한 참여와 실천적 경험을 했다는 것이다. 넷째, 다문화교육을 실천하는 교사로서 어떤 다문화 교사인가를 돌아본 것이다. 결론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먼저, 연구방법 측면에서 개인기억자료와 축적된 문화적 인공물(연구 노트, 학생 산출물, 사진, 영상 등)을 바탕으로 역사수업을 자전적으로 성찰하고 분석했다는 점이다. 현장의 교사들은 이를 통해 역사수업의 설계와 실행 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자신의 수업 실천 연구에 하나의 참고자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연구 내용 측면에서 다문화를 주제로 역사교육을 실천했다는 점이다. 전통적 역사교육의 한계를 인식하고, 지역 사회와 학교의 맥락적 특수성을 반영하여 실천적 다문화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했기 때문에 다문화적 상황에 놓여 있는 학교 현장에 유의미한 참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소수자 역사인 고려인과 고려인 강제이주에 주목한 점은 이주사 교육의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has an autobiographical character as it is a study that looks back and reflects on ‘my’ class based on my experience at K Elementary School. In the process of research and practice, I continuously tried to reflect the contextual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and region. I recogn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s mul-ticultural situation, the current status of K Elementary School, the situation faced by Koryoin students, the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and Koryoin students, and the difficulties that fellow teachers face in teaching Koryoin students. Based on this awareness,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practical multicultural his-tory class for solidarity and togetherness beyond discrimination. Methods First, the topic of forced migration of Koryo people, a minority history, was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memory and forgetting, and the direction of practical multicultural history education was set through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curriculum. Next, I designed and implemented a practical multi-cultural history class on the topic of forced migration of Koryo people and analyzed the process and results. Results The analysis and implications are that, first, the memory of the forced migration of Goryeo people, a for-gotten minority history, was discovered and recalled. Second, it is the acquisition of multicultural com-petency(cultivation of multicultural cultural literacy) based on empathy and interculturalism beyond the assim-ilationist perspective. Third, they had participation and practical experience for solidarity and companionship. Fourth, I looked back on what kind of multicultural teacher I am as a teacher who practices multicultural education. Conclusion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at,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history classes were autobio-graphically reflected and analyzed based on personal memory data and accumulated cultural artifacts (research notes, student output, photos, videos, etc.). Through this, teachers in the field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de-sign and execution aspects of history classes in detail and use it as a reference for their own class practice research. Next, in terms of research content, history education was practiced with the theme of multiculturalism. Because I recognized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history education and designed and implemented practical mul-ticultural classes by reflecting the contextual uniqueness of local communities and school, it can be a meaningful reference for schools in multicultural situations. Lastly, the focus on the history of minorities, the Koryo people and forced migration of Koryo people, can be a good example of migration history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실천적 다문화 역사수업의 설계
Ⅲ. 실천적 다문화 역사수업의 실행
Ⅳ. 나오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영훈(Young-hoon Heo). (2024).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인 주제의 실천적 다문화 역사학습의 실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9), 477-500

MLA

허영훈(Young-hoon Heo).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인 주제의 실천적 다문화 역사학습의 실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9(2024): 477-5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