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of experiences after participation in counselors' self-reflection group counsel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주연(Joo Yeon K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9호, 457~47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15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상담자 자기성찰 집단상담 참여 이후 경험 이야기를 통해 그 경험이 연구참여자의 삶과 상담장면에 준 변화와 그것의 의미를 깊이 있게 탐색하고 이해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상담자 자기성찰 집단상담에 참여한 2인을 선정하여 각 개인의 이야기화 된 경험(storied experience)을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내러티브 탐구는 개인의 경험을 시간의 흐름(over time)과 상황(in context)에 대한 고려를 바탕으로 탐구하는 연구방법론이다(홍영숙, 2024).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과거 원가족환경에서의 관계와 특정 사건이 현재 상담실에서 내담자들을 만날 때 영향을 주고 있음을 성찰하고, 전문가로, 인간으로 성장하기 위한 배움을 이어나가고 있었다. 김지유는 약하고 우울한 엄마를 대신해 ‘타인을 돌보고 살리는’ 역할을 잘 해내며 살았다. 동시에 내면에서는 자유에 대한 갈망이 소용돌이 쳤다. 이러한 내적 역동은 외부 상황들과 엮이며 김지유를 현재 배움의 공간으로 안내하였다. 이지혜는 원가족환경에서 남동생에 가려진채 관심 받지 못하고 독립적인 아이로 자랐다. 일 잘하는 사람으로 외부 환경에서 인정을 받으며 몰두하던 삶은 아이에게 영향을 주었고, 이를 통해 현재 일과 배움의 장까지 오게 된다. 두 사람 모두 과거 삶에서 고통스러운 사건을 경험할 때 외부 환경과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였으며, 상담 교육을 접하게 된다. 그리고 이것이 자기 내면을 성찰하고 성장시키는 현재까지 이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참여자들은 집단과정에서 글 외의 신체 움직임, 이미지, 블록 등의 감각적인 도구를 활용할 때 보다 강렬한 경험을 하였으며, 자신이 깊이 체험한 도구들은 상담실에서 내담자에게 적용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전문가로 발달해 가는 과정 중에 있는 두 명의 상담사의 집단상담 참여 경험 이야기를 통해, 상담자들이 현장에서 성찰을 이뤄내고 성장, 변화해가는 과정에 대한 이해를 확장할 수 있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교욱 참여자 자리에서 그 경험을 탐색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understand in-depth the changes that the experience has made in the lives and counseling scenes of the study participants through the stories of experiences after partic-ipating in the counselor's self-reflection group counseling.
Methods To this end, two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counselor's self-reflection group counseling were se-lected and the storied experience of each individual was analyzed by Clandinin and Connelly's (2000) narrative in-quiry method. Narrative inquiry is a research methodology that explores individual experiences based on consid-erations of over time and context (Hong Young-sook, 2024).
Result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ontinuing to learn to grow into an expert and human being by reflecting on the relationship in the past original family environment and that certain events have an effect on meeting clients in the current counseling room. Kim Ji-yu lived a good job of ‘taking care of and saving others’ on behalf of her weak and depressed mother. At the same time, inside, the desire for freedom swirled. This inner dynamic was intertwined with external situations and guided Kim Ji-yu to the current learning space. Lee Ji-hye grew up as an independent child, hidden by her younger brother in the original family environment. As a good worker, the life of being recogniz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influenced the child, and through this, the present work and learning field was reached. When both experiencing painful events in life, they actively interacted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encountered counseling educ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is continued to the present where they reflected and grew their inner self. Participants had more intense experiences when using sensory tools such as body movements, images, and blocks other than text in the group process, and the tools they experienced deeply could be applied to clients in the counseling room.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rough the stories of the experiences of two counselors who ar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into experts, counselors were able to achieve reflection in the field and exp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growth and chang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to explore the experi-ences in the position of Gyowook participants will continue activel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9호 표지
- 대학 교양수업에서 학습자 중심의 팀기반 학습 경험
- 리빙랩에서의 집단학습과 매개 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9호 목차
-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한 대학생의 챗GPT 현 수준 및 중요도 분석
- 잠재성장모형(LGM)을 이용한 중학생의 자아개념이 창의성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종단분석
- 정신병동 실습을 통한 간호대학생의 자아성찰 경험
- 팀 빌딩 비주얼 싱킹을 활용한 현대 소설 수업이 고등학교 남학생의 국어 수업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어머니의 정서지능 기반 부모교육 참여경험 내러티브 탐구
- 상담자 자기성찰 집단상담 참여 이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학습 효과가 높은 수업과 낮은 수업의 학습 과정과 평가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PITR) 반응에 대한 대학생의 우울, 불안, 부정정서에 관한 연구
-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인 주제의 실천적 다문화 역사학습의 실제
- 무의식적 배움에 대한 탐색
- 대학생들의 노인자서전 쓰기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퀼봇(Quillbot)보조 바꿔 쓰기 활동이 대학 신입생의 영어 어휘 습득에 미친 영향 연구
- 대학 정량지표를 통해 본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성과와 시사점
- 학급긍정훈육법을 활용한 초등 교육과정 연계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 기숙사 장소감 형성과 대학 생활 적응 간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신체상 및 자아존중감, 섭식태도가 다이어트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마음챙김이 초등학생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간호대학생이 추구하는 교수학습법 유형
- 대학생의 애착불안, 부정정서 회피를 위한 SNS 사용, COVID-19로 인한 지각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인간-AI 협력 역량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초등학교 저학년 신체활동교육에 관한 담임교사의 경험과 시사점
-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정서조절 및 창의적 성취간의 관계
-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 참여도와 학생 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ESG 활동을 연계한 중학교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가치관, 윤리적 민감성, 간호전문직관이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보이는 것은 보이지 않는 것에 기반한다
- 학습 피드백 도구로 ChatGPT를 활용한 고등학생용 파이썬 프로젝트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SOC 기반 한국어 수업 설계 및 운영 사례 연구
-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진로준비활동 간의 관계
- 고교학점제에서 과학 선택 과목의 경향성 분석
- 지방대학의 중도 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요인 분석
- 유아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반영한 기후·생태계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ESG 인지 및 교육 유무에 따른 ESG 인식수준과 중요도 간의 차이연구
- 초등 영어몰입교육에 대한 학습자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 대학생의 우울과 자존감의 관계에서 자기격려-낙담의 병렬다중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외·내향성과 자아존중감과의 관련성
- 대학생의 내적 통제소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워킹맘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직무소진의 관계
- 대학 강의평가 서술형 문항의 감정분석 및 의미연결망 분석
- 부모의 학습지원과 지지적 학교환경이 초등학생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중요도와 실행도(IPA) 분석
- 한국 청소년의 아침 식사 유형에 따른 영양소 섭취 상태 및 아침식사의 질 평가
- 영화를 활용한 다문화 학습에 대한 연구
- 진학계 고교 영어과의 진로별 과목 분화 방안 연구
- ESD 적용 경험에 따른 환경교육 강사들의 ESD 가치에 대한인식과 친환경 행동 및 PCK 차이 분석
- 생성 AI ChatGPT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의 학습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능력과 인공지능교육 및 코딩교육 인식 간의 관계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공감능력의 의미와 구성요인에 관한 델파이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