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졸 초기경력자의 직장적응 변화에 대한 종단적 분석

이용수 154

영문명
A Longitudinal Analysis of Changes in Work Adjustment Among Early-Careers of College Graduates: Focused on MZ Gener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배가나 김형란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8호, 727~74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MZ세대 대졸 초기경력자의 직장적응에 대한 종단적 변화궤적을 확인하고, 직장적응 변화궤적에 상이한 패턴을 보이는 잠재계층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각 잠재계층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과 각 잠재계층에 따른 근속과 스트레스수준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outh Panel 2007)」 9차년도(2015)부터 14차년도(2020)의 자료를 사용하여대졸 초기경력자의 직장적응에 대한 잠재성장모형 및 성장혼합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예측변인의 검증을 위해 독립변인으로 개인과 환경의 일치와 관련된 ‘업무내용과 교육수준 일치 여부’, ‘업무내용과 기술수준’ 일치 여부를 포함하였고, 조직사회화 요인으로는‘직업 교육 프로그램 참여 여부’를, 구직경험 요인으로는 ‘공채 입직’, ‘구직횟수’를 사용하였다. 결과변인으로는 근속여부 및 입직3차, 4차 년도 스트레스 수준을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대졸 초기경력자의 직장적응 세 시점에 대한 평균을 살펴본 결과, 직장적응 수준은 선형 잠재성장모형을 따르는 것으로나타났으며 초기값에 개인차가 존재하여 변화 궤적 내의 이질성이 존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졸 초기경력자 직장적응은세 개의 잠재 계층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계층별 특징에 따라 초기 직장적응 수준이 비교적 낮으나 점차 증가하는 ‘저수준 증가’ 집단(2.5%), 초기 수준은 가장 높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고수준 감소’ 집단(12.7%), 초기 수준이 중간 수준에서 소폭상승하는 패턴을 보이는 ‘중수준 유지’ 집단(84.8%)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세 개의 잠재집단을 예측하는 요인은 업무내용과 기술수준의 일치, 직업교육 프로그램 참여, 구직횟수로 나타났다. 업무내용과 기술수준이 일치할수록 ‘고수준 감소’ 집단에 비해 ‘중수준유지’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직업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면, 다른 집단 대비 ‘저수준 증가’ 집단에 속할 확률이높았다. 구직횟수가 많을수록 ‘중수준 유지’ 집단 대비 ‘고수준 감소’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넷째, 대졸 초기경력자 직장적응집단에 따라 스트레스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저수준 증가’ 집단이 ‘고수준 감소’ 집단에 비해 스트레스 수준이 낮았으며, ‘중수준유지’ 집단도 ‘고수준 감소’ 집단에 비해 스트레스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로 MZ세대 대졸 초기경력자의 직장적응 변화 양상에 다른 유형이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각 유형에 따른 직업교육 및 조직 온보딩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ork adjustment among early-career MZ generation college graduates, explore latent classes with distinct work adjustment changes, verify influencing factors, and examine tenure and stress differences based on these classes. Methods For this purpose, 9th to 14th wave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s Youth Panel 2007 were utilized to conduct analyses on the latent growth model and growth mixture model of work adjustment for early-career college graduates. Results Firstly, when examining the averages of work adjustment of early-career college graduates at three time points, the level of work adjustment followed a linear latent growth model.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at the initial stage, confirming the presence of heterogeneity within the change trajectory. Secondly, work adjustment was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classes: the “Low-Increasing” group (2.5%), the “High-Decreasing” group (12.7%), and the “Mid-Level Sustaining” group (84.8%). Thirdly, factors predicting the latent classes included congruence between job details and skill level, participation in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and the number of job search experiences. Lastly, there were differences in stress levels among the work adjustment groups of early-career college graduates. The “Low-Increasing” group had lower stress levels compared to the “High-Decreasing” group, and the “Mid-Level Sustaining” group exhibited lower stress levels than the “High-Decreasing” group.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existence of different patterns of work adjustment changes among early-career college graduates of the MZ generation and identified implications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organizational onboarding strategies for each group.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가나,김형란. (2023).대졸 초기경력자의 직장적응 변화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8), 727-746

MLA

배가나,김형란. "대졸 초기경력자의 직장적응 변화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8(2023): 727-7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