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인 남녀의 시간관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86

영문명
Mediated Effects of Resilience on Post-traumatic Growth by Adult Men & Women’s Time Pespectiv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희주 안주아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8호, 691~70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성인남녀의 시간관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의 과거 외상 경험이 있는 20 ~ 50대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여, 450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spss 2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Pearson 상관분석을 하였고, 시간관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과거긍정 시간관, 현재쾌락 시간관, 미래지향 시간관은 회복탄력성 및 외상 후 성장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과거부정 시간관, 현재운명 시간관은 회복탄력성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외상 후 성장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외상후 성장은 회복탄력성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과거긍정 시간관, 현재쾌락 시간관, 미래지향 시간관이 높을수록 외상 후 성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거긍정 시간관, 현재쾌락 시간관, 미래지향 시간관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를 회복탄력성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시간관이 외상 후 성장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인임과 동시에 시간관 외에도 회복탄력성을 함께 고려하였을 때외상 후 성장의 수준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러한 변인들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외상 사건 경험 후 나타나는 부정적 변화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조력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men and women’s time perspective and post-traumatic growth. Methods To this end, 450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50s who have experienced past trauma nationwide were analyzed.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 28.0,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effect of time views on post-traumatic growth. Results The past negative time perspective and the present fatalistic time perspectiv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recovery elasticity,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ost-traumatic growth, and post-traumatic growth showed a static correlation with recovery elasticity. In addition, the higher the past positive time perspective, present hedonistic time perspective, and future time perspective, the higher the post-traumatic growth, and resili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st positive time perspective, present hedonistic time perspective, and future time perspectiv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ime perspective are an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post-traumatic growth and that resilience can effectively increase the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an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it can be a basic data to help people suffering from negative changes after experiencing trauma.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희주,안주아. (2023).성인 남녀의 시간관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8), 691-703

MLA

최희주,안주아. "성인 남녀의 시간관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8(2023): 691-7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