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통합보육을 실천하는 교사의 어려움과 제도적 방안연구

이용수 177

영문명
A study on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institutional measures in implementing disability integrated childcar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태윤 심윤희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18호, 545~556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국공립어린이집에서 장애통합보육을 운영하는 유아특수교사 및 장애영유아를 위한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장애통합보육 현장에서 통합보육 실천을 위해 어떠한 어려움이 있는지 파악하고 통합보육을 실천하는 제도적 방안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서울시와 경기도의 국공립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장애영유아를 위한 보육교사 3명과 유아특수교사 3명을 세평적사례선택을 통해 대상자로 선정 하였다. 이후, 5월부터 6월까지 장애영유아를 위한 보육교사 3명과 대면 면담 및 유아특수교사 3명과 비대면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 하였다. 자료분석시, 질적연구 경험이 많은 교수1인과 연구참여자들의 도움으로 보다 객관적이고 통합적인 분석이 가능하였다. 결과 장애통합보육을 실천하는 교사의 어려움은 첫째, 장애영유아를 보육하는 교사 자격의 다원화이며 둘째, 장애통합보육 교사교육 및 연수 기회 부족이다. 셋째, 비현장적인 장애통합반의 입소기준이며 넷째, 장애유아를 위한 치료적 중요성 간과이다. 그들이이야기하는 통합보육의 질 제고 실천을 위한 제도적 방안은 첫째, 전문성 강화를 위한 양성과정 개편 둘째, 산관학 연계 통합보육자문 시스템 구축 셋째, 맞춤형 통합보육 운영기준 마련이다. 결론 장애영유아를 위한 보육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통합보육 현장 목소리로 장애통합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제도적 방안을 제시한 점에서 의미를 갖고 다양한 장애통합보육 현장 목소리를 전달하는 질적 연구와 장애통합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운영 및 물리적 환경 관련 설문 조사를 병행한 추가연구를 제언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llenges of implementing integrated childcare in public childcare centers for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institutional measures to implement integrated childcare. Methods 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disability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state-run integrated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and non-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early childhood specialists to collect and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practicing disability integrated childcare are, first, the diversification of qualifications for teaching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and second, the lack of education and training opportunities for disability integrated childcare teachers. Third, they are faced with admission criteria that is inconsiderate of the childcare facility, and fourth, the therapeutic importanc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overlooked. The institutional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disability integrated childcare are: first, reforming childcare programs to strengthen professionalism; second, establishing an integrated childcare advisory system linked to cooperative institutions, industries and government; and third, establishing customized integrated childcare operation standard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institutional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integrated childcare for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voices of childcare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ists. It recommends further research that combines a qualitative study that conveys various voices of integrated childcare and a survey on the operational and physical environ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integrated childca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태윤,심윤희. (2023).장애통합보육을 실천하는 교사의 어려움과 제도적 방안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18), 545-556

MLA

김태윤,심윤희. "장애통합보육을 실천하는 교사의 어려움과 제도적 방안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8(2023): 545-5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