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MBTI 선호지표별 학습환경 만족도와 학습양식 분석
이용수 358
- 영문명
- Analysis of learning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learning style by MBTI personality type and preference index for non-face-to-face remote class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정은 김명진 김윤범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7호, 855~86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15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COVID-19 위기에서 고등학교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MBTI 성격유형검사와 학습양식검사를 도구로 사용하여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MBTI 성격유형의 선호지표별 강도에 따라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인식, 만족도 및 학습양식 차이를 밝히는데 초점을 두었다. 궁극에는 비대면 원격수업 설계에 있어 개인의 성격 차이를 고려하여 학습자의 학습 효과를 향상시키는 자료로 활용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방법 고등학교 진학 후 비대면 원격수업과 대면 등교수업을 동시에 경험한 서울시 구로구에 소재한 K고등학교 2학년 207명을 표집하여 MBTI 성격유형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학습양식 검사를 실시하고, 본 연구에 동의한 남학생 61명, 여학생 79명 등 총 140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SPSS 22를 사용하여 요인분석 및 분산 분석(ANOVA)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도출한 결과는 첫째,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 차이에 있어 MBTI 선호지표 중 인식기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인식기능의 강도에 따라 분명직관형(N), 약간감각형(S), 분명감각형(S), 약간직관형(N) 순으로 대면과 비대면 학습환경에 대해 차이를 인식하였다. 둘째, 비대면 학습환경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서 MBTI 선호지표 강도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MBTI 선호지표 강도에 따라 협동형, 참여형, 회피형의 학습양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협동형은 분명외향형(E), 분명직관형(N), 분명감정형(F), 분명인식형(P)이, 참여형은 분명/약간내향형(I), 약간직관형(N), 약간사고형(T), 약간판단형(P)이, 회피형은 약간외향형(E), 분명감각형(S), 분명감정형(F), 분명인식형(P)이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는 MBTI 선호지표 강도에 따라 학습환경 및 학습양식에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에 학습자의 성격유형 및 성향에 맞는 학습환경과 학습양식을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learners' reactions to non-face-to-face classes using the MBTI personality type test and learning style test as tools for students who entered high school during the COVID-19 crisis. In detail, the focus was on revealing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satisfaction, and learning styles for non-face- to-face classes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each preference index of the MBTI personality type. Ultimately, in designing non-face-to-face remote classes, the purpose was to be used as a material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of learners by considering individual personality differences.
Methods The MBTI personality type test was conducted by sampling 207 second graders of K High School located in Guro-gu, Seoul, who experienced remote and school classes at the same time after entering high school. Afterwards,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non-face-to-face remote classes and learning style test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a total of 140 students, 61 boys and 79 girls, who agreed to this study, were analyzed. The results deriv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ANOVA)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2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learning environment by 16 types of MBTI,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function among preference indicators. Depending on the strength of the recognition function, differences were recognized for the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s in the order of obvious intuition (N), slight sense (S), and slight intuition (N).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the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by strength of both MBTI personality type and preference index. Third, cooperative, participatory, and avoidance typ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styles by 16 personality types of MBTI, but competitive typ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ENFJ for cooperative type, INTJ for participatory type, and ENTP for avoidance type showed the greatest tendency.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rning styles of cooperative, participatory, and avoidance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MBTI preference index. Cooperative types were clearly extroverted (E), clearly intuitive (N), clearly emotional (F), clearly recognized (P), participating types were clearly/slightly introverted (I), slightly intuitive (N), slightly judged (T), slightly avoided (P), slightly extroverted (E), clearly sensed (S), and clearly recognized (P).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ing style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16 MBTI personality types and preference indicators. Accordingly, it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prepare conditions to effectively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by providing a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ing type suitable for the learner's personality type and tenden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7호 목차
- 기관분석(IR)에 기반을 둔 한⋅미 대학정보공시 시스템 비교연구
-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사례 분석 연구
- 초등학생의 실생활문제해결역량 발달을 위한 앙트러프러너십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실행 효과
- 또래 놀이에서 나타나는 5세 유아의 리더십 탐색
- 중⋅고등학교 태블릿 PC와 랩톱 PC 활용 교육에 대한 효과성 인식 조사
- 중학교 삼각비 교과서 과제 및 교사 설계 과제 비교⋅분석
- Ivan Illich의 핵심사상에 기반한 중등 진로교육의 대안적 패러다임 탐색 연구
- 간호학과 신입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 현장 전문가가 인식하는 기업가정신 기반 발명교육 수업 모형의 타당화
- 중국 안지놀이 유치원 교사의 놀이중심교육 실천 사례 연구
- Middle-aged Korean Students’ English Learning (De)Motivation: A Mixed-Methods Investigation
- 초등학생 대상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도덕교육적 의의
- 장기체류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 내 삶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간호대학생의 동영상 활용과 가상 시뮬레이션 실습에 대한 온라인 임상실습교육의 효과
- 시민성 함양을 위한 중학생 대상 데이터 리터러시 수업 설계전략 및 상세지침 개발
- 대학생의 회피애착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 중학생 비행 유형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시점 예측요인 탐색
- The Expert English Teachers’ Use of Motivational Strategy and Learning Styles for Teaching Young English Learners
- 대학 EFL 학습자들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플랫폼 활용 교양 영어 쓰기 교수⋅학습 방안
- 주요 국가의 교육 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원자력 발전 내용 분석
- 학습분석학 기반 대학생의 학업저성취 예측 요인 탐색
- 사무직 중년 여성의 퇴직과 진로구성 이야기
- 중년 여성의 라반움직임분석(LMA) 참여경험
-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한 한부모의 주관적 행복감, 경제적 여건의 변화에 기초한 잠재집단 분류 및 영향 요인 탐색
- 자막 수정 활동이 학습자의 영어 독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그림책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중등음악수업 설계 방안 연구
- 영어유치원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들의 경험에 대한 현상연구
- 중학교 혼성학급 체육수업 실천에 관한 교사 경험에 대한 셀프 내러티브 탐구
-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내담자가 경험한 상담효과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 중년 직장인들의 퇴직 이후 사회참여에 관한 인식 연구
- 서해안권 국가지질공원 안내판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시각적 주의 분석
- 고3 담임교사 진로 진학 지도 교육 경험의 해석현상학적 분석
- 동료 슈퍼비전 관련 국외 연구 동향
- 유아기 부모의 자녀 권리존중 인식 평가도구의 구성요인 타당화 연구
- 중국 서예교과 전공 대학생의 학습 자기효능감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공간의 비자살적 자해 연구 동향
-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유아 성교육에 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연구
- 대면수업 상황에서 팀 학습활동,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습성과 간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AI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중등 사회과 교사의 인식 및 연수 수요 분석
-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
-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유아안전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습태도, 전공몰입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이 지각한 교수⋅학습지원 환경과 핵심역량의 관계에서 자율동기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부모와의 관계 인식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분석
- 형제사고 목격자의 트라우마와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집행기능곤란, 문제행동의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 간 종단적 이행양상 분석
- 음악대학원 중국인 박사과정 유학생 지도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MBTI 선호지표별 학습환경 만족도와 학습양식 분석
- 중등교육 시기의 자녀를 둔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1990-2022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