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집행기능곤란, 문제행동의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 간 종단적 이행양상 분석
이용수 339
- 영문명
- A Longitudinal Analysis of Tran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Latent classes of Mother’s Controlling Child-rearing Behavior,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and Internalizing/Externalizing Problem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허무녕 김춘경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7호, 427~45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15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기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학령초기 집행기능곤란, 학령기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의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을 확인하고 잠재집단 간 이행양상을 파악함으로서 학령기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예방 및 감소를 위한 개입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PSKC)의 4차~12차년도까지 조사에 모두 참여한 어머니와 아동 860명을 대상으로 하여 SPSS와 Mplu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주요변인의 전체적인 종단적 변화 형태를 추정하기 위해 잠재성장모형(LGM)을 실시하였다. 또한, 주요변인들의 변화궤적에 대한 잠재집단을 살펴보기 위한 성장혼합모형(GMM)과 각 변인의 잠재집단 간 이행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순차적 과정 성장혼합모형(SP-GMM)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각 변인의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을 파악한 결과 유아기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에 대해 3개, 학령초기 집행기능곤란에 대해 5개, 학령기 내재화 문제행동에 대해 4개,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해 3개의 잠재집단이 발견되었다. 또한, 각 변인의 잠재집단 간 이행양상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이 높은 잠재집단일수록 집행기능곤란이 높은 잠재집단으로 이행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행기능곤란이 높은 잠재집단일수록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도 높은 잠재집단으로 이행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집단 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요인과 아동 개인적 요인을 살펴본 결과, 각각의 영향요인들이 잠재집단별로 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학령기 아동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학령초기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을 감소 및널예방해주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유아기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을 감소시켜주는 개입이 도움될 수 있다. 또한,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을 해소하고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감소시켜주기 위해 모든 대상에게 동일한 개입을 하기보다 다른 특성을 지닌 잠재집단별로 다른 개입을 실시해주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latent classes according to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mothers' controlling controlling child-rearing behavior in infancy,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early school age, an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 school age, and to identify the transition patterns between latent classes for finding interventions to prevent and reduce problem behaviors.
Methods 860 mothers and children's data taken from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s 4th to 12th years were analyzed. For the analyses of this study, SPSS Statistics 23.0 and Mplus 8.7 were used, and latent growth model(LGM), growth mixture model(GMM), sequential-process growth mixture model(SP-GMM) were used as statistical analysis models.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GMM, 3 latent classes for the mother's controlling child-rearing behavior, 5 latent classes for the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children's early school age were found. Also, 4 latent classes for the internalizing problems in the school age of children and 3 latent classes for the externalizing problems in the school age of children were found. Second, result of SP-GMM showed that, there were high probability of transition from the latent class for high level of mother's controlling child-rearing behavior with child in infancy to the latent class for high level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children's early school age through the latent classes for high level of internalizing/externalizing problems in children's the school age.
Conclusions In order to prevent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 school-age children, it is necessary to reduce and prevent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 early school-age children, and for prevention the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interventions that reduce the mother's controlling child-rearing behavior in infancy can be helpful.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implement different interventions for each latent class than to do the same intervention for all childten in order to reduc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and prevent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7호 목차
- 기관분석(IR)에 기반을 둔 한⋅미 대학정보공시 시스템 비교연구
-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사례 분석 연구
- 초등학생의 실생활문제해결역량 발달을 위한 앙트러프러너십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실행 효과
- 또래 놀이에서 나타나는 5세 유아의 리더십 탐색
- 중⋅고등학교 태블릿 PC와 랩톱 PC 활용 교육에 대한 효과성 인식 조사
- 중학교 삼각비 교과서 과제 및 교사 설계 과제 비교⋅분석
- Ivan Illich의 핵심사상에 기반한 중등 진로교육의 대안적 패러다임 탐색 연구
- 간호학과 신입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 현장 전문가가 인식하는 기업가정신 기반 발명교육 수업 모형의 타당화
- 중국 안지놀이 유치원 교사의 놀이중심교육 실천 사례 연구
- Middle-aged Korean Students’ English Learning (De)Motivation: A Mixed-Methods Investigation
- 초등학생 대상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도덕교육적 의의
- 장기체류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 내 삶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간호대학생의 동영상 활용과 가상 시뮬레이션 실습에 대한 온라인 임상실습교육의 효과
- 시민성 함양을 위한 중학생 대상 데이터 리터러시 수업 설계전략 및 상세지침 개발
- 대학생의 회피애착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 중학생 비행 유형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시점 예측요인 탐색
- The Expert English Teachers’ Use of Motivational Strategy and Learning Styles for Teaching Young English Learners
- 대학 EFL 학습자들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플랫폼 활용 교양 영어 쓰기 교수⋅학습 방안
- 주요 국가의 교육 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원자력 발전 내용 분석
- 학습분석학 기반 대학생의 학업저성취 예측 요인 탐색
- 사무직 중년 여성의 퇴직과 진로구성 이야기
- 중년 여성의 라반움직임분석(LMA) 참여경험
-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한 한부모의 주관적 행복감, 경제적 여건의 변화에 기초한 잠재집단 분류 및 영향 요인 탐색
- 자막 수정 활동이 학습자의 영어 독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그림책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중등음악수업 설계 방안 연구
- 영어유치원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들의 경험에 대한 현상연구
- 중학교 혼성학급 체육수업 실천에 관한 교사 경험에 대한 셀프 내러티브 탐구
-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내담자가 경험한 상담효과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 중년 직장인들의 퇴직 이후 사회참여에 관한 인식 연구
- 서해안권 국가지질공원 안내판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시각적 주의 분석
- 고3 담임교사 진로 진학 지도 교육 경험의 해석현상학적 분석
- 동료 슈퍼비전 관련 국외 연구 동향
- 유아기 부모의 자녀 권리존중 인식 평가도구의 구성요인 타당화 연구
- 중국 서예교과 전공 대학생의 학습 자기효능감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공간의 비자살적 자해 연구 동향
-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유아 성교육에 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연구
- 대면수업 상황에서 팀 학습활동,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습성과 간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AI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중등 사회과 교사의 인식 및 연수 수요 분석
-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
-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유아안전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습태도, 전공몰입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이 지각한 교수⋅학습지원 환경과 핵심역량의 관계에서 자율동기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부모와의 관계 인식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분석
- 형제사고 목격자의 트라우마와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집행기능곤란, 문제행동의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 간 종단적 이행양상 분석
- 음악대학원 중국인 박사과정 유학생 지도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MBTI 선호지표별 학습환경 만족도와 학습양식 분석
- 중등교육 시기의 자녀를 둔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1990-2022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