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한 한부모의 주관적 행복감, 경제적 여건의 변화에 기초한 잠재집단 분류 및 영향 요인 탐색

이용수 104

영문명
Exploring Classification of Latent Groups and Influencing Factors based on Subjective Happiness and Changes in Economic Conditions of Single Parents Before and After COVID-19: Focused on Adolescents’ Chang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효식 연은모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7호, 81~9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15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한 한부모의 변화(주관적 행복감, 경제적 여건)에 따른 잠재집단을 확인하고, 확인된 잠재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였다. 나아가 확인된 잠재집단에 따라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한 자녀의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방법 2021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자료의 초, 중, 고 자녀를 둔 한부모 2,420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잠재집단 분류에 한부모의 성별, 연령, 학력, 정부지원유형, 한부가된 기간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자동화된 3단계 추정 방법인 R3STEP 보조변수를 사용하였으며,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한 자녀의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자동화된 3단계 추정 방법인 BCH 보조변수를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한부모가 지각한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한 주관적 행복감, 경제적 여건에 기초한 잠재집단은 ‘주관적 행복감-경제적 여건 중상’, ‘주관적 행복감 중하-경제적 여건 중’, ‘주관적 행복감-경제적 여건 중’, ‘주관적 행복감-경제적 여건 최하’, ‘주관적 행복감 중상-경제적 여건 중하’, ‘주관적 행복감-경제적 여건 중하’, ‘주관적 행복감-경제적 여건 상’의 7개로 확인되었다. 둘째, 잠재집단 분류에 한부모의 학력, 정부지원유형, 한부모가된 기간, 연령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집단 7(주관적 행복감-경제적 여건 상), 집단 1(주관적 행복감-경제적 여건 중상), 집단 5(주관적 행복감 중상-경제적 여건 중하)가 집단 4(주관적 행복감-경제적 여건 최하), 집단 2(주관적 행복감 중하-경제적 여건 중), 집단 6(주관적 행복감-경제적 여건 중하), 집단 3(주관적 행복감-경제적 여건 중)보다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한 자녀의 긍정적 변화 정도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한부모가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여 주관적 행복감, 경제적 여건이 좋아질 때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한 자녀의 학교 성적, 한부모와의 관계, 일상생활 태도, 학교생활 태도 측면의 긍정적 변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atent groups according to changes in subjective happiness and economic conditions of single parents compared to before COVID-19 and to explore variables affecting the identified potential groups. Furthermore, the study confirmed how groups of adolescent has changed compared to before COVID-19. Methods Using the Living Status of Korean Single-Parent Families Survey in 2021, this study analyzed 2,420 single parents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In specific, R3STEP were used to determine whether single parent's gender, age, education, type of government support, and duration were affected by the potential group classification, and BCH wer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children's changes compared to before COVID-19. Results First, the latent groups based on subjective happiness and economic conditions compared to before COVID-19 perceived by single parents were identified as seven groups. Second, educational background of single parents, the type of government support, the period of becoming a single parent, and their age had an effect on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group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positive change of children was different for each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children from single parents family can have more positive changes in school life when subjective happiness and economic conditions of their single parents improve compared to before COVID-19.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효식,연은모. (2023).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한 한부모의 주관적 행복감, 경제적 여건의 변화에 기초한 잠재집단 분류 및 영향 요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7), 81-97

MLA

최효식,연은모.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한 한부모의 주관적 행복감, 경제적 여건의 변화에 기초한 잠재집단 분류 및 영향 요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7(2023): 81-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