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중등 사회과 교사의 인식 및 연수 수요 분석
이용수 833
- 영문명
-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Perception and Training Demand for AI-based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소영 이상일 김세창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7호, 743~75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15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AI 활용 교육에 대한 사회과 교사들의 인식 및 AI 활용 연수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중⋅고등학교급 사회과(일반사회, 역사, 지리, 도덕⋅윤리) 교사 1,16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AI에 대한 교육(AI 학습 요소, 학습 역량), AI를 활용한 교육(AI 활용 수업 시 예상되는 어려움, AI 활용 연수에 대한 수요) 영역으로 구성된다. 최종 확정된 문항에 대해서는 신뢰도 계수를 산출하고, 이후 기술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각 과목별 문항에 따른 통계적 차이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실제적 유의성 확인을 위해 효과 크기(에타 제곱) 역시 함께 산출하였다. 서술형 문항에 대해서는 이슈 파악을 위해 각 단어의 출현 빈도를 계산하고, 워드클라우드를 시각화하였다.
결과 1) 사회과 교사들은 AI의 사회적 영향, 머신러닝, 데이터를 중요한 AI 학습 요소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들은 학생들이 AI의 기술적 한계와 윤리적인 영향력에 대해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2) 학교 현장 활용에 있어서 가장 큰 어려움으로, AI를 활용한 수업 사례가 부족한 것을 꼽았다. 3) 과거 코딩 경험이나 AI 연수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사는 많지 않지만, AI 관련 연수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71.2%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AI의 교육적 도입뿐만 아니라 만족도 높은 AI 활용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and beliefs of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towards AI-based education and to assess their demand for training in this area.
Methods To this end,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1,164 middle and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civics, history, geography, and ethics). The survey consists of two parts: learning about AI (learning elements of AI and capabilities of AI) and learning with AI (difficulties of teaching with AI and demand for teacher training in AI-based education). First,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the questionary items was calculated, follow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fferences by teachers’ specialty,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and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to confirm the practical significance. For descriptive answers, the word frequency was calculated and visualized in a word cloud to identify prominent issues.
Results 1) It was discovered that social studies teachers consider AI's social impact, machine learning, and data as crucial learning components. Particularly, teachers believed that students should be aware of artificial intelligence's technical limitations and ethical implications. 2) Assuming the class situation, the teachers indicated that the greatest anticipated challenge would be the lack of ‘exemplary practices for social studies classes using AI’. 3) Despite the fact that few teachers have prior experience with coding or AI training, 71.2% of all respondents agreed that teacher training program in AI-based education is necessary.
Conclusions This study is anticipated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I-based training programs and the introduction of AI in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AI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7호 목차
- 기관분석(IR)에 기반을 둔 한⋅미 대학정보공시 시스템 비교연구
-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사례 분석 연구
- 초등학생의 실생활문제해결역량 발달을 위한 앙트러프러너십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실행 효과
- 또래 놀이에서 나타나는 5세 유아의 리더십 탐색
- 중⋅고등학교 태블릿 PC와 랩톱 PC 활용 교육에 대한 효과성 인식 조사
- 중학교 삼각비 교과서 과제 및 교사 설계 과제 비교⋅분석
- Ivan Illich의 핵심사상에 기반한 중등 진로교육의 대안적 패러다임 탐색 연구
- 간호학과 신입생의 긍정심리자본과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 현장 전문가가 인식하는 기업가정신 기반 발명교육 수업 모형의 타당화
- 중국 안지놀이 유치원 교사의 놀이중심교육 실천 사례 연구
- Middle-aged Korean Students’ English Learning (De)Motivation: A Mixed-Methods Investigation
- 초등학생 대상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도덕교육적 의의
- 장기체류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 내 삶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간호대학생의 동영상 활용과 가상 시뮬레이션 실습에 대한 온라인 임상실습교육의 효과
- 시민성 함양을 위한 중학생 대상 데이터 리터러시 수업 설계전략 및 상세지침 개발
- 대학생의 회피애착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 중학생 비행 유형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시점 예측요인 탐색
- The Expert English Teachers’ Use of Motivational Strategy and Learning Styles for Teaching Young English Learners
- 대학 EFL 학습자들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플랫폼 활용 교양 영어 쓰기 교수⋅학습 방안
- 주요 국가의 교육 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원자력 발전 내용 분석
- 학습분석학 기반 대학생의 학업저성취 예측 요인 탐색
- 사무직 중년 여성의 퇴직과 진로구성 이야기
- 중년 여성의 라반움직임분석(LMA) 참여경험
-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한 한부모의 주관적 행복감, 경제적 여건의 변화에 기초한 잠재집단 분류 및 영향 요인 탐색
- 자막 수정 활동이 학습자의 영어 독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그림책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중등음악수업 설계 방안 연구
- 영어유치원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들의 경험에 대한 현상연구
- 중학교 혼성학급 체육수업 실천에 관한 교사 경험에 대한 셀프 내러티브 탐구
-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내담자가 경험한 상담효과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 중년 직장인들의 퇴직 이후 사회참여에 관한 인식 연구
- 서해안권 국가지질공원 안내판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시각적 주의 분석
- 고3 담임교사 진로 진학 지도 교육 경험의 해석현상학적 분석
- 동료 슈퍼비전 관련 국외 연구 동향
- 유아기 부모의 자녀 권리존중 인식 평가도구의 구성요인 타당화 연구
- 중국 서예교과 전공 대학생의 학습 자기효능감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공간의 비자살적 자해 연구 동향
-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유아 성교육에 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연구
- 대면수업 상황에서 팀 학습활동,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습성과 간의 관계 분석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AI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중등 사회과 교사의 인식 및 연수 수요 분석
-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탐색
-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유아안전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습태도, 전공몰입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이 지각한 교수⋅학습지원 환경과 핵심역량의 관계에서 자율동기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부모와의 관계 인식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분석
- 형제사고 목격자의 트라우마와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집행기능곤란, 문제행동의 변화궤적에 따른 잠재집단 간 종단적 이행양상 분석
- 음악대학원 중국인 박사과정 유학생 지도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MBTI 선호지표별 학습환경 만족도와 학습양식 분석
- 중등교육 시기의 자녀를 둔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1990-2022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