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교사의 한국어 교육 현장 경험과 시사점

이용수 485

영문명
Teacher’s field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ir Implic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차정흔(Cha Jung Hun) 이윤정(Lee Yun J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3호, 423~436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7.15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사들의 한국어 교육 현장 경험과 이를 토대로 한국어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10명의 한국어 교사이며, 2019년 2월부터 4월까지 반구조화된 질문지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Glaser와 Strauss(1967)의 분석적 귀납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첫째, 한국어 교사는 교육기관 별로 다른 교재를 사용하는데, 기관마다 달성하고자 하는 교육 목표가 달라 교재의 내용이 다를 수 있지만, 최소한 단계별 한국어 문법체계는 일치하기를 제안하였다. 둘째, 기관별로 다른 한국어 교육 평가는 학습자의 승급 목적에 맞춰져, 평가 결과가 한국어 교육 전반에 선순환이 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기관별로 인정받을 수 있는 평가의 체계화가 필요하였다. 셋째, 한국어 교사들은 학습자와 한국어 교실의 명칭을 통하여 학습자를 이해하고, 한국어 단계를 알 수 있으므로, 현재 혼재되어 쓰이고 있는 한국어 학습자 및 한국어 교실 명칭의 통일이 필요하다. 넷째, 한국어 수업을 하는 교실 환경의 개선과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한 세분화된 학급 편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한국어 교사는 수업 이외에 조언자로서 다양한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이를 위한 교육이 필요하며, 보수교육도 일률적이 아니라 교사 경력별로 다양화하고, 횟수 확대와 접근 용이성을 강조하였다. 여섯째, 한국어 교실 운영담당자의 적극적인 지원 및 협력 관계도 질적인 한국어 수업을 위해 필요하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을 위해 한국어 교재 문법의 일치, 한국어 교육 평가의 체계화, 한국어 관련 명칭의 통일, 교실 환경의 개선, 한국어 교사의 다양한 역할 수행을 위한 교육,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보수교육의 확대, 운영담당자의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eachers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Methods The research were participated by 10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took in-depth interviews from February 2019 to April 2019.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analytical induction method of Glaser & Strauss(1967). Results First, Korean language teachers use different textbooks at each and every educational institution with differing contents and goals of education. suggesting that Korean grammar education system should enhance its minimum consistency for each level. Second, although evaluation system of the differs by institution is tailored to purposes of learner s promotion, the evaluation results may not be in a virtuous cycle for overall language education, implying that it was necessary to systematize the evaluation system across institutions. Third, as the teachers can recognize learners and/or levels of their classrooms through their names, necessarily they should be unified in some way so as to minimize any confusion. Fourth, classroom environment may have to be improved with subdivided class system according to level of learners. Fifth, as the teachers are playing roles of advisors as well as class teachers. so education for the advisory role is also necessary, including re-education, in a systematic way reflecting teachers’ careers, and its frequency and accessibility should be upgraded. Sixth, active support and cooperative relationship should be provided by classroom management personnel for quality instruction. Conclusion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match Korean textbook grammar, systematize evaluation, unify names, improve classroom environment, perform various roles and expand refresher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pport from management personnel hav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정흔(Cha Jung Hun),이윤정(Lee Yun Jung). (2021).한국어 교사의 한국어 교육 현장 경험과 시사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3), 423-436

MLA

차정흔(Cha Jung Hun),이윤정(Lee Yun Jung). "한국어 교사의 한국어 교육 현장 경험과 시사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3(2021): 423-4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