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 미디어 리터러시 활용

이용수 1837

영문명
The Effects of a Sex Education Program Using Media Literacy for Adolesc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영원(Park Young Won) 서은희(Seo Eun H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3호, 201~21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7.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청소년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성지식’ ‘성태도’ ‘성인지감수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Hobbs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모형을 기반으로 청소년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활용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2회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실험군에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활용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회기당 45분씩 총 6회기 실시하였고 대조군에는 일반적인 성교육을 똑같은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미디어 리터러시 활용 성교육 프로그램 중재 후 성지식, 성태도, 성인지감수성이 증가하였다. 한 달 뒤 실시한 사후검사에서도 그 효과성이 지속됨을 알 수 있었는데 대조군의 경우에는 사전검사, 사후검사Ⅰ, 사후검사Ⅱ에 따른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 이는 성교육 시 미디어에 대한 식별력을 기를 수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 내용과 방법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x education program using media literacy for adolescent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knowledge of sexual matters, sex attitude, and gender sensitivity of them. Methods Based on Hobbs’ media literacy education model, this study designed a sex education program using the media literacy for adolescents. 444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tal six sessions of sex education program using the media literacy were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45 minutes per session, while the general sex education was conducted in the control group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repeated measures ANOVA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sex knowledge, sex attitude, and gender sensitivity of pre/post test I and post test II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increased sex knowledge, sex attitude, and gender sensitivity after the intervention of the sex education program using the media literacy. And the effects lasted for a month.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pre/post test I and post test II. Conclusions The sex education program using the media literacy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sex knowledge, sex attitude, and gender sensitivity of adolescents than a general sex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영원(Park Young Won),서은희(Seo Eun Hee). (2021).청소년 미디어 리터러시 활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3), 201-215

MLA

박영원(Park Young Won),서은희(Seo Eun Hee). "청소년 미디어 리터러시 활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3(2021): 201-2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