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내러티브 기반 공간정보기술에 토대한 독서교육의 교사교육적 의의에 관한 연구

이용수 224

영문명
A study on the potential of the reading education using narrative-based geospatial technologies for teacher education: Focusing on the Story Maps-based online reading-travelling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고주환(Joo Hwan Go) 이동민(Dong-min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3호, 109~12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7.15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내러티브 기반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한 독서교육의 교사교육적 의의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둔다. 방법 이를 위하여 총 39명의 예비 국어교사들을 대상으로, 내러티브 기반 공간정보기술 어플리케이션의 하나인 Story Maps로 가상 독서기행을 구성하는 독서교육 활동을 2020년 11월 11일 실시하였다. 문학 작품의 내러티브나 문학가의 삶을 재현하는 활동을 시행하였다. 활동 후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성찰일지를, 학습 경험의 해석에 적합한 질적 연구 방법론인 현상기술학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2020년 12월-2021년 1월). 결과 분석 결과 대부분의 연구참여자들(유형 A, B)은 Story Maps 기반 독서교육 활동을 통하여 텍스트와 디지털 공간 내러티브의 결합을 통한 심층적⋅맥락적이면서도 의미 있는 독서 지도의 구체적 방법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였다. 그리고 독서 텍스트의 공간적 재현과 재구성에 기초한 다각적이고 창의⋅융합적인 온라인 독서 활동의 가능성 또한 모색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일부 연구참여자들 (유형 B)은 Story Maps를 활용한 가상 독서기행 활동의 독서교육적 의의를 인정하면서도, 이러한 활동의 장점이 지리적 성격이 강한 독서교육에만 국한되리라는 견해를 보였다. 그리고 1명의 연구참여자(유형 C)는 Story Maps의 독서교육적 의의에 대해서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내러티브 기반 공간정보기술이 예비 국어교사들의 독서교육에 대한 안목 증진에 기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와 더불어, 독서교육과 관련하여 공간정보기술이 갖는 한계에 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 또한 제시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layze the potential of the reading education using narrative-based geospatial technologies for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 education. Methods To proceed the research, the first author designed and conducted an online virtual reading-travelling program based on Story Maps on Novermber, 11, 2021, and a total 39 participating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Reflective journals the participating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wrote after paricipating the virtual reading-travelling program were analyzed using phenomenograph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ppropriate for interpretating learning experiences (December 2020-January 2021).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participating preservice teachers (Type A and B) deepened their understanding of how to conduct in-depth, contextual, and meaningful teaching of reading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exts and digital spatial narratives as they engaged in Story Maps-based reading-travelling activities. Moreover, they became to consider directions and methods of conducting multifacted, creative, and comprehensive reading education based on their experiences of Story Maps-based reading-travelling activities. However, a few particiapnts (Type B) pointed out that the potential of the Story Maps-based virtual reading-travelling were probably limited to highly geography- or place-oriented reading education. In addition, one participant (Type C) stated that Story Maps had little potential on reading educca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narrative-based geospatial technologies possibly contribute to improve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insigts on reading education. The results also suggest the necessity of following-up studies on the limites of the narrative-based geospatial technologies on reading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주환(Joo Hwan Go),이동민(Dong-min Lee). (2021).내러티브 기반 공간정보기술에 토대한 독서교육의 교사교육적 의의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3), 109-124

MLA

고주환(Joo Hwan Go),이동민(Dong-min Lee). "내러티브 기반 공간정보기술에 토대한 독서교육의 교사교육적 의의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3(2021): 109-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