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중⋅고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수행 양상 및 인식 분석

이용수 1285

영문명
Analysi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performance patterns and perception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변숙자(Byeon Sook-JA)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3호, 149~16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7.15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중⋅고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인식과 실행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충청북도 전 지역의 초⋅중⋅고 교사 579명을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실행 양상과 전반적 인식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교차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 초⋅중⋅고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실행과 역량 인식은 미디어의 윤리적 사용 영역이 가장 높았다. 반면, 미디어를 활용한 자료생산과 미디어의 정보판별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학교급별로는 초>중>고 순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가장 적합한 과목은 정보 교과로 인식하였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학교의 디지털 교육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교미디어교육센터의 역할로는 장비⋅시설 대여, 교수⋅학습 자료 개발⋅보급, 역량 강화 연수 등 연구, 연수, 커뮤니티의 중층적 역할을 기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역량 함양을 위한 다각적 지원이 필요하며, 학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교육환경 개선 및 지원 체계 구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성취기준이 가장 많이 제시된 국어 교육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활성화되지 못함을 시사하는 바, 국어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 제고는 물론, 미디어 리터러시를 교과 교육과정에 반영하기 위한 총체적 방향 모색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on media literacy educa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79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3 to July 3, 2020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chi-square test.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term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practice and competency recogni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e ethical use of media education area was the highest. It was the lowest in terms of data production using media and information discrimination education area of media.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hool levels in the order of ‘elementary school > middle school > high school’. The most suitable subject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was recognized as an information subject. The recognition of the improvement of the digital education environment in schools was the highest. The role of the school media education center was expected to play a role in research, training, and community as a supporting institution for school media literacy educa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e problem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which has the most media literacy-relate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annot be activated in the school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변숙자(Byeon Sook-JA). (2021).초⋅중⋅고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수행 양상 및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3), 149-167

MLA

변숙자(Byeon Sook-JA). "초⋅중⋅고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수행 양상 및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3(2021): 149-1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