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등교사들의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실행수준 점검 및 자기평가 분석

이용수 629

영문명
A study on the level of use on the alignment with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record and self-evalua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재창(Lee Jae Chang) 최정원(Choi Jeong W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0호, 167~18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실행수준을 파악하고 일체화 실행수준에 대해 스스로 어떠한 평가를 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교사들의 교육경력, 학교급, 일체화 관련 연수 이수 경험, 일체화 관련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경험과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관련 실행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배경변인들이 일체화 실행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를 살펴보았다.방법 설문조사는 관심기반실행모형에서 제시하는 실행수준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함으로써 실행수준을 확인하였고,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의 절차를 토대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문항을 이용하여 각 요소별 실행수준에 대한 자기평가를 확인하였다. 설문진행은 2019년 8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이루어졌으며 대상 학교는 ○지역 중학교 5개교, 고등학교 5개교였다. 중학교 교사 110명, 고등학교 교사 132명으로 총 242명의 응답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교차분석, 상관분석,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결과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학교급에 상관없이 교사들의 실행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았다. 그리고 고급수준인 갱신단계(6수준)에 이르는 비율이 극히 적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중학교 교사들은 학습자중심 수업 수행여부와 일체화에서의 모든 요소들을 연계하여 운영한다는 응답비율에서도 고등학교 교사보다 더 높은 비율을 보였다. 셋째, 일체화 관련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일체화 요소들을 더 긴밀하게 연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경력, 일체화 관련 연수, 관련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은 모두 실행수준 0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효과를 보이고 3, 4, 5수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결론 제언사항은 첫째, 중등교사들의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관련 실행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교사 연수나 교사학습공동체와 같은 전문성 신장을 위한 기회를 확대하여 제공할 것, 둘째, 연수와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에 있어서 목표, 내용, 주제, 수준을 다양화하고 각각을 전문화⋅차별화하여 구성할 것, 셋째,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에서 수업이 나머지 요소들에 미치는 영향 및 수업방식과 일체화 요소 간 연계성에 대한 심도 있는 후속 연구를 실시할 것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dentified the level of use on the alignment with curriculum - instruction - evaluation - record and self-evaluation with teache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teacher s educational career, level of school, experience in alignment-related training and experience in alignment-related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nd alignment with curriculum - instruction - evaluation - record. It also reviewed the direct effect of these background variables on adoption with alignment. Methods The survey identified overall adoption level by modifying and using scale of adoption level presented by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and teacher’s self-evaluation was identified by using questions developed this researcher based on the procedures of alignment with curriculum - instruction - evaluation - record presented by pilot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2019 to January 2020 and the subject schools included 5 middle schools and 5 high schools in the area of ○. A total of 242 responses were analyzed including 110 middle school teachers and 132 high school teachers. Descriptive statistics, crossove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ordinal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level of school, the teacher’s level of adoption of the alignment with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record are overall low. And there are very few teacher who reach the renewal level(level six). Second, middle school teather’s response rate are higher than high school teather’s not only student centered instruction factor but also connecting all the element of the alignment with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record. Third, the teacher who has participated in alignment-related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connects all the element of the alignment with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 record more. Fourth, teacher s educational career, experience in alignment-related training and experience in alignment-related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have negative effectiveness in level 0 and positive effectiveness in level 3, 4, 5. Conclusions The suggestions were given as follows. First, opportunities to develop professionalism such as teacher s training and teacher s learning community must be expanded and provided to strengthen adoption capacity related to alignment with curriculum - instruction - evaluation - record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Second, goals, contents, topics and levels must be diversified in training and activities of teacher s learning community and each of them must be specialized and differentiated. Third, in-depth follow-up study on the effect of instruction on remaining factors in the alignment with curriculum - instruction - evaluation - record and on connectivity between factors of alignment must be conduc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창(Lee Jae Chang),최정원(Choi Jeong Won). (2021).중등교사들의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실행수준 점검 및 자기평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0), 167-187

MLA

이재창(Lee Jae Chang),최정원(Choi Jeong Won). "중등교사들의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실행수준 점검 및 자기평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0(2021): 167-1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