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아교사의 놀이 인식과 놀이지원

이용수 1831

영문명
Infant and Toddler Teachers’ Perceptions and Supporting for Infant and Toddler’s Pla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임승렬(Lim Seung-ryoul) 김연미(Kim Yun-mee) 이민지(Lee Min-j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0호, 231~25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5.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아교사들의 놀이 인식과 놀이지원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방법 이를 위하여 2020년 5월부터 7월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교사 7명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실시하고, 참여관찰 하였으며, 개별면담 자료와 참여관찰 자료를 분석하였다.결과 연구 결과 영아교사들은 영아의 놀이를 선택과 자유가 있는 것, 즐거움을 느끼는 것, 자발적 탐색이 이루어지는 것 사회적 상호작용이 있는 것이라는 ‘놀이의 속성’으로 영아의 놀이를 이해하거나 가작화활동, 학습의 매개체, 혼자만의 몰입이라는 영아교사가 갖고있는 ‘놀이의 이론적 틀’로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아교사의 놀이지원은 상호작용하며 지원, 영아가 놀이를 주도하도록 지원,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지원, 마무리활동으로 유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결론 영아교사가 영아의 놀이를 이해하고, 효과적인 놀이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영아놀이에 대한 실제적인 교사교육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play perception and support for play are being done by infant and toddler teachers, and what dilemmas they feel when they understand infant and toddler’s play and support for their play. Methods For the purposes, from May to July 2020, seven infant and toddler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Seoul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observed through participation in classes, and individual interview data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data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fant and toddler teachers recognized infant and toddler’s play as a “attribute of play” that there are choice and freedom, joy and fun, voluntary search, and social interaction. Inaddition, they recognized it as a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play” held by an infant and toddler teachers, which were a pretend play, learning, and immersion alone. Second, supporting infant and toddler’s play, infant and toddler teachers were shown to interact with infants, support infants to lead play, support learning to be done, and induce finishing activities. Third, it has been shown that infant and toddler teachers experience misunderstanding of infant and toddler’s play although they understand and support their play. As a result of misunderstanding and supporting infant and toddler’s play inappropriately, teachers feel dilemma of appropriate play intervention, play process and outcome. Conclusions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 that infant and toddler teachers should be given many opprtunities (formal and informal)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play and to support play effectivel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승렬(Lim Seung-ryoul),김연미(Kim Yun-mee),이민지(Lee Min-ji). (2021).영아교사의 놀이 인식과 놀이지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0), 231-250

MLA

임승렬(Lim Seung-ryoul),김연미(Kim Yun-mee),이민지(Lee Min-ji). "영아교사의 놀이 인식과 놀이지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0(2021): 231-2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